임원의 내부통제 관리의무 등 공유
AI 등 신기술 활용한 내부통제 강화사례 발표
[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금융감독원은 4일 '2025년 상반기 은행권 내부통제 워크숍'을 개최했다.
금감원은 금융사고 대응 및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매반기별로 은행권과 함께 개최하고 있으며 금번 워크숍에는 은행지주(8개사)와 은행(20개사)의 내부통제 담당자 등 160여명이 참석했다.
최근 내부통제 관련 주요 이슈 및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내부통제 등을 테마로 외부전문가 특강, 금감원 및 은행별 사례 발표로 진행됐다.
![]() |
[사진=뉴스핌DB] |
박충현 금감원 부원장보는 "최근 AI 기술이 우리사회 전반에 걸쳐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은행권에서도 AI 기술의 효율적 활용과 함께 이에 수반되는 새로운 리스크를 명확히 인지하고 적정한 내부통제절차와 거버넌스를 갖춰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4월 발표한 준법제보 활성화 방안이 금융사고 조기 적발 및 예방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제보자를 철저히 보호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책무구조도가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실질적 제도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이행 현황을 철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외부전문가 특강을 맡은 법무법인 율촌 김시목 변호사는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AI 기본법의 주요내용과 은행업무에 AI를 활용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설명했으며 PwC 지배구조센터 장온균 센터장은 올해부터 시행되는 자금부정통제 공시 의무화와 관련해 감사(위원회)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하나‧부산‧케이 등 3개 은행은 AI 등을 활용한 내부통제 사례를 공유했다.
하나은행은 수출입 관련 서류의 복잡성 등으로 실무 담당자의 수작업에 의존하던 수출입여신 심사업무에 AI를 도입해 결제리스크를 개선했으며 부산은행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보안성과 투명성을 강화한 디지털 시민증 및 대학 장학금 디지털 바우처 도입, 운영중이다.
케이뱅크는 생성형 AI 기술을 광고심의, 의심거래보고 거래건 추출, 고객 증빙서류 검증 및 신분증 위변조 탐지 등에 활용하고 있다.
금감원은 "내부통제워크숍, 간담회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은행권과 지속적으로 소통을 강화하면서 은행이 내부통제 기능의 실효성을 제고하고 자체적인 사고위험 관리 역량을 강화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