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산업 구조와 고용 수요에 기반해 산·학·연·관 협력 강화로 맞춤형 일자리 정책 추진
[전주=뉴스핌] 이백수 기자 = 전북자치도는 3일 전주 더메이 호텔에서 청년 인구 유출과 고용환경 변화 등 지역 현안에 대한 맞춤형 정책 대응 전략을 공유하며, 실질적 협력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전북 일자리 거버넌스 대표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김관영 전북지사를 비롯해 전세희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 배지연 전주고용센터소장 등 도내 일자리 유관기관 대표 21명과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해 거버넌스의 실행력 강화와 협업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 |
전북특별자치도 일자리 거버넌스 대표협의회[사진=전북자치도]2025.07.03 lbs0964@newspim.com |
'전북특별자치도 일자리 거버넌스'는 지난해 9월 출범한 산·학·연·관 협의체로, 지역 산업 구조와 고용 수요에 기반한 맞춤형 일자리 정책을 발굴하고, 유관기관 간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대표협의회에서는 기존 22개 참여기관에 새만금개발청과 한국산업단지공단 전북본부가 새롭게 합류하면서 협의체가 총 24개 기관으로 확대됐다.
특히 두 기관은 지역 산업 특화 일자리 정책의 실행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회의는 ▲전북 고용환경 변화에 따른 정책 개선 방안(강남호 교수, 원광대) ▲청년 인구 유출 원인과 대응 전략(이국용 교수, 군산대) ▲청년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 정책 방향(김수은 박사, 전북연구원) 등 3건의 주제 발표가 이어졌으며, 고용 여건 변화에 대응한 지역 맞춤형 일자리 전략이 논의됐다.
전북자치도는 이날 논의된 전문가 의견과 참여기관의 제안을 실무협의회 및 산업별 분과에서 구체화해 실제 정책에 신속히 반영할 방침이며, 이를 통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고용 성과 창출과 현장 실행력을 동시에 확보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김관영 전북지사는 "일자리 거버넌스는 산·학·연·관이 함께 지역 고용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협력의 틀"이라며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성과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lbs096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