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상륙정 100% 자체 설계·건조 가능한 국내 유일 조선사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HJ중공업(대표이사 유상철)은 오는 31일까지 나흘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2025 국제해양방위산업전(MADEX)에 참가한다고 28일 밝혔다.
HJ중공업은 이번 행사에서 강점인 함정의 전시는 물론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영업활동에도 적극적으로 나선다는 복안이다.
![]() |
HJ중공업이 건조한 고속상륙정(LSF-II) [사진=HJ중공업] |
마덱스는 최신 해양 방위 기술과 무기체계를 소개하는 국내 최대 해양방산 전시회로 해군이 지난 1999년부터 격년으로 개최하고 있다.
특히 방산, 수출기업뿐 아니라 해군과 해병대, 해양 관련 기업, 연구소, 해외 군사 대표단 등이 대거 참여할 만큼 해양 방산 분야에서 국제적인 행사로 알려져 있다.
2023년 행사에서는 15개국 150개사, 26개국 110명의 해외 해군대표단과 군 관계자 2470명, 전문바이어 1만5089명이 참가했다.
올해 역시 국제 정세로 인해 방산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부스 규모가 565개에서 700개로 늘어나고 30여 개국 대표단이 내한하는 등 역대 최대 규모가 될 전망이다.
국내에서는 HJ중공업과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등 국가대표급 해양방산업체들이 모두 참가하며, 이외에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LIG넥스원, KAI, 대한항공, 국방과학연구소, 한국선급 등 국내를 대표하는 방산업체와 록히드 마틴, 롤스로이스, GE, 탈레스 등 해외 유명 방산업체들이 참가한다.
HJ중공업은 그간 쌓아온 경험과 기술력을 강점인 수송함과 상륙함정, 경비함정 분야의 대표 모델을 통해 선보일 예정이다.
국내 최대 대형수송함이자 해군의 지휘함인 마라도함과 독도함, 독보적인 기술을 자랑하는 고속상륙정(LSF-II), 해역함대의 전초 전력인 유도탄고속함(PKG), 3천톤급 및 500톤급 해경 경비구난함으로 부스를 꾸린다.
HJ중공업은 1974년 대한민국 최초의 해양방위산업체로 지정된 이래 독보적인 기술과 경험을 통해 설계와 건조, MRO 사업에 이르기까지 함정의 생애주기에 걸쳐 1200여 척이 넘는 다양한 최신예 함정과 경비함, 군수지원 체계 사업을 수행해 왔다.
국내 최대 규모의 함정인 독도함과 마라도함을 모두 건조한 조선사로 명성을 떨쳤으며, 이들 대형수송함에 탑재되는 초수평선 상륙작전의 핵심 전력인 공기부양 고속상륙정(LSF-II)을 건조할 수 있는 국내에서 유일한 조선사이기도 하다.
실제로 HJ중공업은 해군이 발주한 고속상륙정(LSF-I, LSF-II) 8척을 모두 수주, 건조하였을 뿐 아니라, 이들 함정의 유지·보수·정비(MRO) 사업까지 완벽히 수행하면서 인도한 지 20년 가까이 된 고속상륙정 1~2번함이 현재까지 제 성능을 발휘할 만큼 기술력으로 정평이 나 있다.
지난 50여 년간 국내외 함정 건조와 MRO 사업을 통해 해양주권 수호에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해 온 결과, 해양방위산업체의 종가(宗家)이자 명가(名家)로 인정받고 있는 HJ중공업은 이번 전시회를 계기로 해양방산 선도기업으로서 입지와 영향력을 더욱 확대하는 한편 공격적인 마케팅 활동을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모색할 계획이다.
개막일인 28일에는 국내 중형조선사와 부산기자재협동조합 간 '조선기자재 공동납품플랫폼 구축 및 공동납품사업 수행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는다.
오는 30일에는 호주와 아랍에미리트 등 해외 사절단의 영도조선소 방문 환영 행사를 주관하여 수출시장 재진입을 위한 해외 방산 네트워크 강화에도 소홀함이 없도록 만전을 기하겠다는 각오다.
유상철 HJ중공업 대표이사는 "벌써부터 각국 대표단으로부터 함정 관련 문의와 함께 영도조선소 견학 요청이 쇄도하는 등 관심이 높다"며 "국내 대표 해양방위산업체로서 축적된 경험과 끊임없는 기술개발을 통해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입증하겠다"고 밝혔다.
kim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