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소득 임산물 인기...임업 소득 향상에 기여
산림청, 2024년 주요 임가경제조사 발표…정책 지원 확대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 지난해 국내 임가의 평균 자산은 5억6014만원으로 전년 조사보다 2.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산림청은 전국 임가를 대상으로 소득 및 지출과 같은 경제 주요 지표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은 소득 증가 현상이 확인됐다고 28일 밝혔다.
![]() |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 지난해 국내 임가의 연평균 소득이 3841만원으로, 전년도 대비 2.7%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산림청은 전국 임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소득 및 지출에 관한 경제 지표 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임가의 소득 증가 현상이 확인된 것으로 나타났다.[2024년 임가경제조사 결과 인포그래픽=산림청 제공]kboyu@newspim.com |
주요 소득 증가 요인은 임산물 판매 수입, 임업 외 소득인 근로소득과 자본 수입, 임업보조금 등의 이전소득으로 분석됐다. 평균 자산은 5억6014만원으로 전년 조사보다 2.7% 증가했다.
부채는 임가용과 임업용 외의 부채가 모두 증가해 약 3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3.8% 늘었다. 임가경제조사 결과는 산림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지수 산림청 산림빅데이터팀장은 "수실류 재배업, 조경 재업 등 단기소득 임산물 재배업의 판매 수입 증가 등으로 임가 소득이 상승했다"면서 "앞으로도 정확한 통계 조사로 임업인의 경영 활동과 수익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 기반의 정책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kbo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