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8기 농업생 지원 정책…농가소득 상승 견인
스마트 농업기술·에너지 절감 시설의 경제적 효과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 농가소득이 역대급 전국 2위를 달성했다.
이정곤 경남도 농정국장은 26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통해 "지난해 경남 농가소득이 5000만 원을 돌파하며 전국 9개 도 중 2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 |
이정곤 경남도 농정국장이 26일 오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2024 농가경제조사 결과를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경남도] 2025.05.26 |
통계청이 지난 23일 발표한 '2024년 농가 및 어가 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남 농가소득은 전년 대비 10% 이상 증가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전국 농가 평균 소득은 5060만 원으로 전년보다 0.5% 감소했다.
전국적으로 농업소득은 958만 원으로 전년 대비 14.1% 급감했다. 이는 지난해 폭염과 폭설 등 이상기온으로 인한 축산가구 피해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농업소득은 2023년 1143만 원에서 지난해 958만 원으로 감소해 1000만 원 밑으로 내려갔다.
반면 경남 지역의 농업소득은 899만 원으로 전년 대비 39.0% 증가했다. 이는 경남 지역의 채소값 상승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농가소득은 농업소득, 농업외소득, 이전소득, 비경상소득으로 구성된다. 전국적으로 농업외소득(+0.7%), 이전소득(+6.1%), 비경상소득(+5.5%) 등은 모두 증가했다. 이전소득 증가는 공익직불금 등 공적보조금이 전년 대비 7.2% 늘었기 때문이다.
쌀값 하락 사태를 겪은 논벼농가의 경우 소득이 2023년 3796만7000원에서 2024년 3661만3000원으로 3.6% 감소했다. 반면 채소농가 소득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실적을 보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쌀값 하락과 한우·육계 도매 가격 하락, 한우 사육 마릿수 감축 등도 농업소득 감소의 원인으로 분석했다. 인건비와 전기료 상승 등으로 인한 농가경영비 증가도 농업소득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어업소득은 김 값 상승 등의 영향으로 30% 급증하며 농업과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는 수산업 분야의 호황을 반영한 결과로 해석된다.
농가 부채 문제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어가의 경우 평균부채가 7082만 원에 달해 농어민들의 경제적 부담이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정곤 국장은 "민선8기 농업정책뿐만 아니라 경남 농업인이 현장에서 노력한 결과가 농가소득 증대로 이어졌다"면서 "농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스마트 농업기술 확대, 경영비 절감을 위한 에너지 절감 시설, 외국인계절근로자 확대 등 경남의 농가소득이 지속적으로 향상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