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란계 순수익 66.5%↑…계란 산지가격 상승 영향
육계·계란·비육돈·한우 비육우 생산비 하락…육우↑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지난해 축산물 순수익에서 산란계가 전년 대비 66.5% 급증하며 두드러진 상승세를 기록했다. 반면 한우 비육우와 육계는 감소하면서 엇갈린 양상을 보였다.
27일 통계청의 '2024 축산물생산비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산란계 마리당 순수익은 8042원으로 전년(4830원) 대비 66.5% 증가했다. 산란계는 계란 산지가격 상승으로 순수익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비육돈은 농가수취가격 상승으로 마리당 순수익이 2만3000원에서 3만2000원으로 39.2% 증가했다. 젖소도 원유 농가판매가격 상승으로 마리당 173만1000원에서 215만원으로 24.3% 올랐다.
![]() |
'2024 축산물생산비조사' [자료=통계청] 2025.05.27 plum@newspim.com |
한우 번식우는 송아지와 한우 암소 산지가격 상승으로 마리당 순수익이 -127만원에서 -111만원으로 12.6% 올랐다. 육우는 경락가격 상승으로 순수익이 -202만원에서 -180만원으로 10.5% 증가했다.
반면, 한우 비육우는 경락가격 하락으로 마리당 순수익이 -142만원에서 -161만원으로 13.2% 감소했다. 육계는 위탁생계가격 하락으로 마리당 순수익이 159원에서 -31원으로 19.6% 하락했다.
축산물 순수익은 생산비와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지난해 축산물 생산비는 육우(4.5%), 송아지(2.5%), 우유(1.5%) 등에서 늘었고 육계(6.2%), 계란(5.0%), 비육돈(1.2%), 한우 비육우(1.1%) 등에서 줄었다.
특히 사료비가 감소한 육계, 계란, 비육돈, 한우 비육우 등 축종에서 생산비가 크게 낮아진 반면 송아지, 육우 등은 송아지 구입비와 고용노동비 증가 영향으로 생산비가 늘었다.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