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 인접 요양원 등 '초고속 산불' 대피계획 수립
행안부, 관계기관 협력 통한 대피 체계 강화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 경북 북동부 5개 시·군을 강타한 산불이 발생한 지 한 달이 지났다. 산림당국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인해 피해 면적이 약 10만㏊로 2000년 동해안 산불의 4배를 초과했으며, 산림 피해액은 4조원, 재산 및 시설 피해액은 1조원을 웃돌 것으로 보인다.
![]() |
[영덕=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초대형산불'로 종이상자처럼 구겨진 경북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2025.05.06 nulcheon@newspim.com |
또한, 이번 산불은 가장 많은 인명 피해를 초래했고, 남은 이들의 삶의 터전까지 빼앗겼다. 이러한 산불은 매년 주택과 도심을 위협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주민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초고속 산불' 발생 대비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로 결정했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7일 초고속 산불 대비 주민 대피 체계 개선 방안 점검 회의를 열고, 지난달 발표한 '초고속 산불 대비 주민 대피 체계 개선 방안'의 현장 적용을 위한 기관별 후속 조치 계획을 논의했다고 8일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관계자들은 지난 4월 발표한 계획을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검토하고, 최근 산불 발생 시 주민을 신속히 대피시킨 사례를 공유했다.
지난달 26일 강원 인제군 산불 발생 당시, 발화지점 인근 마을뿐만 아니라 확산 방향에 있던 시군에서도 주민이 선제적으로 대피했다. 양양군은 강풍으로 인한 산불 초고속 확산 가능성을 감안하여 장애인 생활시설 입소자 124명을 미리 마을회관으로 이동시켰다.
같은 달 28일 대구 함지산 산불의 경우, 노인복지시설 어르신들이 대구 시내에 위치한 의료원 등으로 안전하게 대피했다. 인근 지역인 칠곡군, 경산시, 영천시도 산불 상황을 주민에게 안내했다.
이에 산림청은 초고속 산불의 정의와 전개 양상, 국민 행동 요령 등을 재난 표준 매뉴얼에 포함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는 산림 지역과 인접한 요양원 및 대피 취약시설의 위치, 산불 피해 여부와 대피 계획 수립 여부를 조사할 계획이다.
아울러 산불이 잦은 경북, 경남, 울산 지역 지자체들은 정부 가이드라인에 맞춰 주민 대피 체계를 지역 상황에 맞게 개선할 예정이다.
홍종완 사회재난실장은 "정부가 마련한 대피 체계가 현장에서 작동되려면 지자체와 관계기관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초고속 산불로 인한 인명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각 기관의 철저한 이행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kbo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