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시·군 산불 재난폐기물 154만t...처리비용 1381억원 규모
공장 재난폐기물도 지원 대상 포함...경북도 지속 건의 '성과'
[안동·의성·청송·영양·영덕=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도가 산불 재난 폐기물 처리 비용 전액을 국비 지원받게되면서 신속 처리에 들어갔다.
'경북초대형산불'에 따른 피해지역 5개 시군에서 발생한 산불 재난폐기물은 154만t 규모이며, 이번에 지원받는 국비는 1381억원 규모이다.
![]() |
[안동=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도가 산불 재난 폐기물 처리 비용 전액을 국비 지원받게되면서 신속 처리에 들어갔다. 2025.05.07 nulcheon@newspim.com |
앞서 경북도는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피해지역의 조속한 복구위해 폐기물처리비 1381억원에 대한 국비 지원을 건의해 왔다.
지역별로는 △안동시 431억원(48만t) △영덕군 415억원(47만t) △청송군 385억원(45만t) △의성군 115억원(11만t) △영양군 35억원(3만t) 등이다. 국비를 지원받는다.
경북도는 총 154만t의 폐기물을 처리 위해 철거 전문 업체 80개 사와 운반·처리업체 40개 사, 차량 244대를 동원해 지속적으로 처리를 진행해 이달 1일 기준 약 12만t의 재난폐기물을 처리했다.
산불 피해가 심각했던 안동, 의성, 영덕 지역의 경우, 철거율은 45~51%까지 진행됐다.
다만 철거가 마을 단위로 진행된 후 일정량의 폐기물이 집계되면 운반이 이뤄지는 작업 특성 때문에 폐기물처리가 철거율보다 다소 낮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경북도는 산불로 피해를 본 공장과 기업에 대한 폐기물 처리도 지원한다.
현행법상 공장 재난폐기물은 국비 지원 대상이 아니지만, 경북도의 지속적인 노력과 환경부 및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적극적인 협의로 국비를 지원받게 됐다.
도내 공장 폐기물은 65개 사에서 총 2만7000t 규모이다.
현재까지 안동 남후농공단지와 영덕 지역의 4545t이 처리됐다. 나머지 지역도 철거 일정에 맞춰 폐기물처리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계획이다.
이경곤 경북도 기후환경국장은 "2025년 6월 말까지 주거시설에서 발생한 폐기물의 전량 처리를 목표로 가용자원을 총동원하고, 환경부 및 시군과 긴밀히 협조하고 있다"며 "이번 산불로 삶의 터전을 잃은 도민들이 하루라도 빨리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폐기물을 처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