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I·실업수당 발표 앞두고 뉴욕 선물 보합세
기업 실적 혼조… 개별 종목 희비 엇갈려
UBS "변동성 대비 필요"… 완화 기대 속 경계 주문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14일(현지시간) 개장 전 주가 지수 선물 가격이 보합권에 머물고 있다. 이번 주 월가가 연일 강세를 보이며 S&P500과 나스닥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투자자들은 이날 예정된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와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 건수 발표를 주목하고 있다.
미 동부시간 오전 8시 25분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S&P500 E-미니 선물은 0.25포인트 오른 6,489.00에, 다우 선물은 9.00포인트(0.02%) 상승한 4만5,034.00에 거래 중이다. 나스닥100 선물은 6.00포인트(0.03%) 오른 2만3,951.00로 보합에 머물고 있다.
![]() |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트레이더 [사진=블룸버그통신] |
◆ PPI·실업수당 발표 앞두고 뉴욕 선물 보합세
최근 발표된 고용지표 부진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였다.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시장은 25bp(1bp=0.01%포인트) 인하 가능성을 99% 이상 반영하고 있으며, 10월과 12월에도 비슷한 폭의 추가 인하를 기대하고 있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하루 전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연준이 9월 '빅컷' 즉, 0.5% 포인트 인하를 시작으로 금리인하 사이클에 들어가야 한다며 재차 연준을 압박하는 등 트럼프 행정부의 연준 압박이 이어지고 있다.
앞서 12일 발표된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보다 나쁘지 않게 나오면서 투자심리는 완화됐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인플레이션이 53개월 연속 목표치(2%)를 웃도는 만큼 금리 인하 확정론이 지나치게 낙관적이라는 경계론도 제기된다.
마이클 브라운 페퍼스톤 수석연구전략가는 "시장은 9월 금리 인하를 기정사실화하고 있지만 물가 흐름은 여전히 연준 목표와 거리가 있다"며 "특히 파월 의장의 판단이 최종 결정에 절대적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이제 시장의 관심은 이날 개장 전 발표될 미국의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로 쏠리고 있다.
시장 컨센서스에 따르면, 전년 동월 대비 PPI는 2.4% 상승해 6월(2.3%)보다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전월 대비 상승률은 0.2%로 전망된다.
변동성이 큰 식품·에너지를 제외한 핵심 PPI는 전년 대비 2.9% 오를 것으로 보인다. 6월 수치(2.6%)보다 높은 수준이다. 월간 증가율도 0.2%가 예상된다.
골드만삭스의 엘시 펑 이코노미스트는 "기업들이 지금까지는 관세 부담의 상당 부분을 자체 흡수했지만, 앞으로는 소비자 가격에 전가할 가능성이 높다"며 PPI 상승 압력을 경고했다.
PPI는 향후 소비자물가(CPI) 흐름을 가늠하는 선행 지표로, 예상치를 웃돌 경우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 경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기업 실적 혼조… 개별 종목 희비 엇갈려
기업 실적은 엇갈렸다. ▲시스코 시스템즈(종목코드:CSCO)는 4분기 매출이 시장 전망을 소폭 웃돌았으나 주가는 장전 거래에서 1% 넘게 하락했다.
농기계 제조업체 ▲디어(DE)는 분기 순이익 감소와 연간 가이던스 하향 조정 여파로 6% 급락했다. 코치 브랜드를 보유한 ▲태피스트리(TPR) 역시 연간 실적 전망이 부진해 13% 넘게 급락했다. 두 기업 모두 관세 부담이 경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이더리움 가격이 강세 흐름을 이어가며 이더리움 트레저리 기업 ▲비트마인 이머전 테크놀로지스(BMNR)의 주가는 개장 전 2% 가까이 오르고 있다. 어제 뉴욕 증시에 상장한 암호화폐 플랫폼 ▲불리쉬(BLSH)도 개장 전 주가가 11% 넘게 상승 중이다.
![]() |
시스코 시스템즈 전시 부스 [사진=블룸버그] |
◆ UBS "변동성 대비 필요"… 완화 기대 속 경계 주문
투자은행 UBS는 변동성 지표인 VIX가 지난해 12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지만, 무역 갈등 심화·경제지표 악화·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시 변동성이 빠르게 되살아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UBS는 "이미 전략적 비중만큼 주식을 보유한 투자자는 자본 보전형 구조화 전략을 고려하고, 비중이 낮은 투자자는 조정 시 매수에 나서는 점진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