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간담회서 14건의 신규사업 논의
기존 철도 인프라 활용… 경제적 효율성 증대 목표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정부가 대구·경북의 기존 철도 인프라 기반를 기반으로 광역경제생활권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새 광역교통시행계획 수립에 나선다.
![]() |
8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9일 오후 대구테크노파크(동대구캠퍼스)에서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2026~2030년) 수립을 위한 대구권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사진=뉴스핌DB] |
8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는 오는 9일 오후 대구테크노파크(동대구캠퍼스)에서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2026~2030년) 수립을 위한 대구권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강희업 대광위원장, 홍성주 대구광역시 경제부시장을 비롯해 한국교통연구원, 대구정책연구원, 경북연구원 관계자 등이 참석한다. 광역교통시설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할 사업에 대해 논의한다.
광역교통시행계획이란 '광역교통법'에 따라 광역교통시설의 확충과 광역교통체계의 개선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5년 단위로 수립하는 법정 계획이다. 현재 5개 대도시권(인구 50만 이상의 대도시 중 도청소재지인 도시와 그 도시와 같은 교통생활권)은 수도권, 부산·울산권, 대구권, 광주권, 대전권이다.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2021~2025년)에선 광역철도 47개, 광역도로 25개, 광역BRT 12개, 환승센터 44개 등 총 146개 사업이 반영됐다. 총투자규모(국비)는 28조원으로, 5개년 국비 기준 7조1000억원이다.
간담회에서는 대구정책연구원과 경북연구원이 대구·경북의 교통 현황과 광역교통 개선방향에 대해 발표한다.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가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된 사업의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 건의 사업을 발표한다.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 수립 연구의 주관기관인 한국교통연구원이 건의 사업에 대한 1차 검토 결과와 향후 추진일정을 설명할 예정이다. 대구광역시는 지난해 말 개통한 지방권 최초의 도시철도 연장형 광역철도인 안심~하양선(연장 8.9km, 정거장 3개소)을 비롯해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됐던 기존 사업 10건의 추진 현황을 공유한다. 1건의 광역도로 사업을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해 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경상북도는 안심~하양선을 연장하는 대구 1호선 영천 연장(연장 5.77km, 정거장 2개소) 등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포함됐던 기존 사업 3건의 추진 현황을 소개한다. 9건의 광역철도, 3건의 광역도로, 1건의 환승센터 등 총 13건의 신규사업을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추가해줄 것을 건의할 예정이다.
한국교통연구원은 대구권 신규 건의사업 14건에 대한 검토 결과를 보고한다. 사업별 경제성 분석(B/C), 자체 신규 사업 발굴, 지자체 협의, 공청회 개최 등 앞으로의 일정에 대해 설명한다.
강 대광위원장은 "대구와 경북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광역교통망 구축을 통해 두 지역이 하나의 광역경제생활권으로 성장하고, 수도권에 대응하는 지역의 거점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대광위는 3월 부산·울산권, 4월 광주권 간담회를 각각 개최했다. 이달 9일 대구권, 5월 14일 대전권 간담회와 6월 중 수도권 간담회를 순차적으로 개최해 상반기 내 권역별 의견 수렴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