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지난 10년간 수도권 대학의 쏠림 현상이 더 심각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윤석열 정부를 비롯한 역대 정부가 '지방' 시대를 추진했지만, 효과가 없었다는 지적이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분석한 '2014~2024년 지역별 대학생 비중 추이'를 살펴보면 지난해 수도권 대학 학생수 비중은 43.37%였다. 조사는 교육통계의 학생수를 지역별 비중으로 산정했다.
![]() |
/제공=김문수 의원실 |
대학생 100명 중 43명이 수도권에 있는 대학에 다니는 셈으로 최근 10년 사이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수도권 대학에 다니는 학생이 늘면서 비수도권 대학 재학생은 줄었다.
4년제 일반대학은 2014년 37.27%에서 지난해 42.52%로 5.25% 포인트(P) 증가했고, 전문대는 42.56%에서 46.54%로 10년 3.98%P 증가했다.
10년 사이에 전문대학은 서울이 2.36%P로, 일반대학은 경기가 3.65%P로 각각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보였다.
'이제는 지방대학 시대'를 국정과제로 삼았던 윤 정부에서도 수도권 쏠림 현상은 이어졌다. 전문대학은 2022년 45.20%에서 2024년 46.54%로 1.34%P 증가했고, 대학은 같은 기간 1.72%P 늘었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서울, 인천, 대전, 세종, 경기 등 5곳 대학의 학생이 늘었고, 부산, 대구 등 12곳은 줄었다.
김 의원은 "윤석열 정부가 지방대학 시대를 열겠다고 공언했지만, 수도권에 첨단분야를 증원하는 등 이중적인 모습을 보이면서 상황은 나빠졌다"며 "지방 소멸과 교육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지방대 집중투자와 국가 균형발전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