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무 특강·상담 통해 프리랜서 권익 보호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5월 2일부터 6월 5일까지 플랫폼·프리랜서 노동자를 대상으로 '종합소득세 신고 지원·세무상담'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배달라이더와 다양한 프리랜서들은 개인사업자 또는 자유직업 소득자로 분류돼, 매년 5월 전년도 소득에 대한 종합소득세를 신고해 세금을 정산해야 한다. 그러나 세무신고에 대한 익숙함 부족으로 신고 오류나 미신고가 발생해, 가산세를 부과받거나 환급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았다.
![]() |
플랫폼·프리랜서 노동자 세무상담 홍보물 [자료=서울시] |
이에 서울시는 2021년부터 전문 세무사를 통해 세무 상담과 신고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 4년간 약 2200건의 상담이 진행됐으며, 상담을 받은 노동자 87%가 결과에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또 90% 가까운 응답자는 세무상담 사업의 확대를 요청했다고 시는 덧붙였다.
올해에도 5월 2일부터 6월 5일까지 서울시가 운영하는 3개 노동센터에서 관련 분야 전문 세무사가 직접 세무상담을 실시한다. 상담 내용은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여부, 신고에 필요한 서류, 세무신고 방법과 유의점, 세금 납부요령, 절세 방법, 공제 기준 등이며, 센터별로 주 2~3회 정해진 요일에 진행된다. 전화 상담도 가능하다.
센터 방문이 어려운 노동자는 '찾아가는 상담'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시는 대리운전·퀵서비스기사 등 플랫폼 노동자가 주로 찾는 '휴서울이동노동자쉼터' 3곳과 '지하철 쉼터' 2곳에서 총 12회의 상담을 진행할 예정이다. 전담 세무사 3명이 1대 1 상담을 통해 종합소득세 신고 완료를 지원하며, 찾아가는 상담은 오후 6시 이후 야간 시간에 진행된다.
아울러 5월 16일에는 휴서울이동노동자 합정쉼터 교육실에서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과 절세 방안에 대해 세무사가 설명하는 '종합소득세 신고 세무특강'도 열린다.
시는 노동자의 권익 보호를 위해 '서울노동권익센터'와 2개의 지역 노동자 종합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상담, 법률 구제 지원, 노동 교육 등을 제공하고 있다.
임승운 서울노동권익센터장은 "세무 신고에 어려움을 겪는 플랫폼 노동자와 프리랜서들이 이번 상담과 특강을 적극 활용해 불이익을 방지하고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