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플랫폼과 오프라인 거점으로 교육 접근성 확대
의정부지역 경전철 활용, 학생 수 3배 증가
임태희 교육감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사회적 가치도 실현"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교육청이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학교 밖 자원과 연계해 운영하는 공교육 확장 모델, '2025년 경기공유학교'의 질적 도약을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 |
경기도교육청이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학교 밖 자원과 연계해 운영하는 공교육 확장 모델, '2025년 경기공유학교'의 질적 도약을 추진한다. [사진=경기도교육청] |
도교육청에 따르면 경기공유학교는 학생들의 다양한 교육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해 지역사회 자원과 공간을 활용하는 '세상에서 가장 큰 학교' 개념으로, 온라인 시스템 구축과 오프라인 거점 확장, 학점인정형 프로그램 운영, 융합모델 개발 등을 핵심 과제로 한다.
도교육청은 먼저 공유학교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프로그램 개설부터 신청, 이력 관리, 이수증 발급까지 전 과정을 디지털화하고, 향후 양방향 소통 기능도 추가할 계획이다.
또한 접근성 강화를 위해 학생 생활권을 중심으로 총 226개의 '거점활동공간'을 마련한다. 이는 이전에 고품질 프로그램이 있어도 접근성이 떨어져 수요자가 제한됐다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조치로, 학교 유휴공간, 공공기관, 대학 등과 협력해 공간을 확보했다.
특히 학교 내부에서 개설이 어려운 과목을 지역 자원과 연계해 운영하는 '학점인정형 공유학교'는 고등학생들에게 실질적 교육 선택권을 보장하고, 공교육의 유연한 확장을 모색하는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경기도의정부교육지원청은 이러한 도 정책 기조에 발맞춰 지역형 대표 모델 '경전철 타고 공유학교'를 운영 중이다. 이는 의정부 경전철과 통학버스 노선을 따라 거점활동공간을 마련해 학생 접근성을 높이는 전략으로, 지역교통과 교육을 연계한 선도 사례다.
실제로 의정부지역 공유학교 참여 학생 수는 2024년 1527명에서 2025년 5월 현재 4280명으로 대폭 증가했다. 현재까지 42개의 거점 공간이 확보됐으며, 경전철 역사와 통학버스 내 광고,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대학연계 프로그램 등 교육 혜택도 적극적으로 홍보 중이다.
또한 스포츠 공유학교 확장 운영을 통해 주말과 방과 후 시간대에 컬링, 축구, 배드민턴, 뉴스포츠 등 체육 활동을 중심으로 한 공유 프로그램도 활성화되고 있다.
임태희 교육감은 "경기공유학교는 지역사회와 교육청이 함께 만들어가는 새로운 공교육 생태계"라며 "의정부 사례처럼 지역의 잠재 자원을 학생 교육과 연계하면 배움의 기회를 넓힐 뿐만 아니라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사회적 가치도 실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경기도교육청은 향후 도내 31개 시·군 여건에 맞는 맞춤형 공유학교 모델 개발, 지역 간 교육자원 교류, 장기 심화형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해 지역 격차 해소와 교육의 질 제고를 동시에 꾀할 방침이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