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속보

더보기

中国科技股备受瞩目 在韩掀起投资热潮

기사입력 : 2025년03월12일 09:51

최종수정 : 2025년03월12일 09:51

纽斯频通讯社首尔3月12日电 近年来,由于收益率低迷,中国股市逐渐被韩国投资者所冷落。然而今年以来,阿里巴巴、腾讯、小米、美团等中国科技巨头股价大幅上扬,重新引发韩国投资者对该板块的热情追捧。

【图片=网络】

新冠疫情后,美国科技股凭借零利率环境和人工智能(AI)热潮的推动而飙升,而中国科技股则相对表现疲软。不过,最近美中科技股的收益率出现了明显的逆转趋势。

美国股市上涨的核心动力来自七大科技巨头——微软、苹果、Alphabet(谷歌母公司)、亚马逊、英伟达、Meta(Facebook)和特斯拉。然而,随着市场进入调整期,专注投资这些企业的美国科技TOP10 ETF在连续两年上涨后,今年以来呈现大幅下跌,其中特斯拉的跌幅尤为显著。

受此影响,韩国市场上市的美股大型科技ETF表现不佳。其中,未来资产旗下的TIGER美国科技TOP10 ETF(资产规模约3.06万亿韩元)今年以来收益率为-16%,而韩国投资信托运用的ACE美国科技TOP7 Plus ETF和三星资产运营的KODEX美国科技10(H) ETF也分别下跌-17%和-15%。

相比之下,中国科技企业的表现却截然不同。今年以来,中国科技股ETF呈现强劲反弹,涨幅远超市场预期。其中,恒生科技ETF成为最具代表性的产品,该ETF囊括了在香港上市的30家中国科技公司,包括中国十大科技企业:比亚迪、小米、腾讯、阿里巴巴、百度、网易、京东、中芯国际(SMIC)、美团和吉利汽车。

2020年,韩国的未来资产、三星资产等金融机构纷纷推出恒生科技ETF,当时的发行净值为1万韩元。然而,受市场调整影响,该ETF去年一度跌破5000韩元。不过,随着生成式AI"Deep Seek"的成功问世,中国科技企业重新获得市场关注,股价止跌回升。韩国上市的恒生科技ETF今年以来已飙升29%,当前交易价格约为9500韩元,距离净值1万韩元仅一步之遥。

韩国散户投资者的热情也日益高涨。据未来资产透露,截至上月,TIGER恒生科技ETF的个人累计净买入额突破3000亿韩元。此外,三星资产的KODEX恒生科技ETF和TIGER中国电动车SOLACTIVE ETF也重新吸引资金流入。

近期,未来资产会长朴炫柱的市场预测成为热门话题。他在分析全球市场走势时指出,特斯拉和量子计算公司估值过高,需保持警惕。而就在特朗普政府重新执掌美国后,科技股连日暴跌,使他的预测再次得到市场验证。

朴炫柱尤为看好今年的中国股市,未来资产整体也在逐步减少美股投资比重,同时增加中国科技股的配置。例如,未来资产旗下"未来资产G2创新投资基金"(主要投资美国和中国的创新企业)今年已将中国(包括台湾和香港)股票的比重提升至20%左右,相比去年美国股票占比近90%的情况,这一变化尤为显著。

过去几年,中国股市表现低迷导致投资者对其失去信心。2020年底,韩国投资者持有的中国股票总额高达8.8万亿韩元,创下历史新高,同比增长92%。但由于中国政府实施严格的封控政策,中国股市随之陷入低迷,韩国投资者也纷纷抛售中国股票,转而投资美股。

截至2024年,韩国投资者持有的中国股票规模已萎缩至3.9万亿韩元,较2020年底减少了56%。相比之下,同期韩国投资者在美股的持仓规模增长3倍以上,达到162.5万亿韩元,形成鲜明对比。

但今年以来,这一趋势开始逆转。韩国投资者的中国股票持仓金额大幅增长8700亿韩元,达到4.7万亿韩元。这既反映了中国股市的回暖,也说明散户投资者重新加大了买入力度。

相反,今年以来美股市场下跌,导致韩国投资者在美股的持仓金额减少了20万亿韩元。但即便如此,中国股票的持仓规模仍仅占美股持仓规模的3.3%。

近期,生成式AI"Deep Seek"的成功问世,更是让中国政府和科技巨头信心倍增,资本投资氛围也明显回暖。越来越多的国际投资者开始重新关注中国科技股,全球资金流入中国股市的趋势可能进一步加速。

尽管前景向好,但中国科技股仍然面临美中贸易摩擦的风险。近期,特朗普政府宣布对华实施"10+10%"关税政策,中国也随即从10日起对美国农产品加征第二轮报复性关税。两国的经济对抗持续升温,给市场带来巨大不确定性。

即便如此,相比于美股科技股的高估值,中国科技股的估值仍处于相对较低水平,未来增长潜力仍然巨大。中国股市一旦启动上涨,其爆发力可能极为强劲。

今年以来,市场普遍认为中国股市的上涨潜力将超过美股。不过,考虑到中国股市波动性较大,投资者仍需谨慎布局。(完)

韩国纽斯频(NEWSPIM·뉴스핌)通讯社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재계 총수들, '트럼프 Jr' 만남 총출동 [서울=뉴스핌] 서영욱 남라다 김아영 조민교 기자 = 30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를 만나려는 재계 인사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 내 사업 현안을 전달하고 정책적 협력을 요청하기 위한 행보다. 트럼프 주니어와 재계 인사들의 면담은 트럼프 주니어가 묵고 있는 서울 강남구 조선팰리스 호텔의 한 구역에서 열렸다. 트럼프 주니어를 초청한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집무실이 있는 건물이다. 건물 주변에 많은 취재진이 대기 중이지만, 철저한 보안으로 인해 오고 가는 재계 인사들을 마주치기 어려운 상황이다. 30일 오전 트럼프 주니어가 묵고 있는 서울 강남구의 한 호텔 인근 커피 매장에서 포착된 김동선 부사장(왼쪽)과 김동원 사장 [사진=독자 제공] 이날 오전 한화그룹의 김동관 부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 3형제가 트럼프 주니어를 만난 재계 인사 중 가장 먼저 언론에 포착됐다. 한화솔루션은 미국 조지아주에 태양광 모듈 일관 생산단지 '솔라 허브' 프로젝트를 조성 중이다. 연간 8.4GW 규모의 이 시설은 약 130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현지 생산 비중을 70%까지 높여 미국의 자국 우선 조달 정책에 대응하고 관세 부담도 줄이겠다는 구상이다. 한화그룹은 방산·조선 사업에서도 미국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최근 호주의 방산 조선업체 오스탈 지분을 확보하며 미국 시장 공략에 나선 상황이다. 오스탈은 앨라배마와 샌디에이고에 조선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 해군 소형 수상함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 중이다. 롯데그룹도 트럼프 주니어와의 접촉에 나섰다. 신동빈 회장과 인도네시아 출장에 나섰던 장남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 부사장은 이날 오전 귀국해 트럼프 주니어를 만났다. 롯데는 미국 뉴욕 시러큐스에 보유한 바이오 공장을 중심으로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아시아 바이오기업과 항체약물접합체(ADC) 신약 임상 물질 생산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 공장에서 첫 양산이 이뤄질 예정이다. 미국 내 관세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선제적 설비 확충과 고객사 확보에 나선 롯데는, 신 부사장을 통해 트럼프 주니어와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29일 오후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에 도착해 탑승기에서 내리고 있다. 2025.04.29 choipix16@newspim.com 이재현 CJ그룹 회장도 이날 트럼프 주니어와 비공개 개별 면담을 가졌다. CJ제일제당은 미국 중서부 사우스다코타주 수폴스에 북미 최대 규모의 아시안 식품 신공장을 짓고 있다. 총 7000억 원이 투입되는 이 공장은 2027년 완공을 목표로 하며, 미국 시장 내 K푸드 수출 거점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 회장은 미국 내 식품 수출 시 애로사항과 관세 이슈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외 이해진 네이버 의장, 허용수 GS에너지 사장 등도 트럼프 주니어와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는 이날 "인공지능(AI)과 테크, 글로벌 진출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상호 협력에 대한 긍정적인 이야기 나눴다"고 설명했다.   이날 오후에도 트럼프 주니어를 만나려는 재계 인사들의 발길이 이어질 전망이다. 이번 트럼프 주니어의 방한은 정용진 회장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트럼프 미 행정부와의 소통 채널을 만들어달라는 재계 요청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입국한 트럼프 주니어는 곧장 정 회장 자택으로 이동해 만찬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주니어는 재계 면담이 끝나는 대로 이날 밤 출국할 예정이다. syu@newspim.com 2025-04-30 14:24
사진
'김문수·한동훈' 최종 승자는 누구 [서울=뉴스핌] 박서영 김가희기자 = 국민의힘 대통령선거 결선 진출자에 김문수·한동훈 후보가 이름을 올렸다. 반탄(탄핵반대)파 김 후보와 찬탄(탄핵찬성)파 한 후보가 2파전을 겨루게 된 가운데 최종 1인 자리를 놓고 치열한 공방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 선거관리위원회는 29일 오후 3차 경선에 진출할 후보자 2명을 발표했다. 안철수·홍준표 후보는 탈락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29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국민의힘 3차 경선 진출자 발표 행사에서 3차 경선에 진출한 김문수(가나다순) 후보와 한동훈 후보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4.29 pangbin@newspim.com 황우여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장은 경선 결과를 발표하며 "과반 득표자가 없어 3차 경선으로 이어지게 됐다"며 "우리 당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깊이 고민하시고 이번 투표에 참여해주신 존경하는 당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말했다. 2강 후보에 진입한 김 후보는 "한 후보와 같이 마지막 경선을 하게 된 것을 매우 감사하게 생각한다. 미래가 창창한 대한민국을 위해 한 후보께서 많은 역할 해주시길 기대한다"고 인사를 전했다. 한 후보는 "어려운 대선 상황에서 김 후보와 제가 생각은 조금 다르지만 2인 3각의 마음으로 하나의 후보로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맞서야 한다"며 "남은 경선 과정에서 김 후보를 경쟁자가 아닌 동반자로 생각하고 함께 이재명과 싸워 이기는 한 팀이 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홍 후보는 경선 결과 발표 직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을 입당시켜, 3차 경선에 진출하는 2명의 후보와 '원샷 국민 경선'을 진행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는 "그 부분은 조금 더 논의를 해봐야 한다"고 말을 아꼈다. 그는 경선 결과 발표 직후 기자들과 만나 "한 대행도 아직 출마선언을 하지 않았다. 지금 제가 답을 드리는 것 자체가 너무 앞서가는 것이고 당에서도 생각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차차 논의될 것으로 본다"고 즉답을 피했다. 한 후보는 한 대행을 포함한 '원샷 경선'이 공정성에 어긋난다고 강조했다. 그는 "나머지 (탈락한) 6명은 치열한 과정을 통해 여기까지 왔기 때문에 갑자기 (한 대행이) 들어와서 여기서 경선한다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며 "우리는 전통이 있고 룰이 있는 정당"이라고 반대 의사를 내비쳤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29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국민의힘 3차 경선 진출자 발표 행사에서 진출에 실패한 안철수 후보가 소감을 밝히고 있다. 2025.04.29 pangbin@newspim.com 한편 이날 결선 문턱을 넘지 못한 안 후보는 "누가 최종 후보가 되든 이재명을 막고 정권교체 이루는 데 제 힘을 바치겠다. 우리 당의 승리가 국민 승리고 역사의 승리"라고 소회를 전했다. 홍 후보는 이날 결선 탈락을 끝으로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홍 후보는 "정치인생을 오늘로서 졸업하게 되어 감사하다. 이제 시민으로, 자연인으로 돌아가서 좀 편하게 살도록 하겠다. 이번 대선에서 제 역할은 여기까지"라고 했다. 앞서 지난 27∼28일 진행된 국민의힘 2차 경선은 당원투표 50%, 국민 여론조사 50%의 룰이 적용됐다. 당원 투표엔 76만5773명 중 39만4명(50.93%)이 참여했고 국민 여론조사는 5개 기관에서 6000명(역선택 방지 적용)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후보들의 순위와 득표율은 공개되지 않았다. 따라서 결선에 진출한 김 후보와 한 후보 중 누가 앞섰는지 알 수 없다. 이날 3차 경선에 진출한 김문수·한동훈 후보 2명은 오는 30일 양자 토론회를 진행한다. 국민의힘 선관위는 다음달 1∼2일 양일 동안 선거인단 투표(50%)·국민 여론조사(50%)를 거친 후 같은달 3일 전당대회에서 최종 1명을 선출할 계획이다. seo00@newspim.com 2025-04-29 15:4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