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톱텐] <2 > 중국10대 고도(古都), 무비자시대 중국여행 <상>

기사입력 : 2024년12월30일 11:16

최종수정 : 2024년12월31일 16:08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2024년 11월 중국이 일반 한국인에 대해 입국 비자를 면제한 후 중국 여행이 증가 추세입니다. 한중 주요도시간 직항이 늘어나고 여행사들의 중국 단체 관광상품 판매와 개인 중국여행도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2025년엔 중국 여행 증가 속도가 훨씬 빠를 것으로 여행업계는 보고 있습니다. 지대박물(地大博物)의 나라로 불리는 중국은 세계 인바운드 여행국 순위 3위 국가입니다. 유구한 역사에 국토 면적이 우리의 93배에 달하는 중국엔 먹고 보고 즐길 거리가 넘쳐납니다. 뉴스핌은 주한 중국대사관 여유국(관광사무소)의 협력하에 도시, 명승지, 명산, 고도(古都),고사찰, 전통 마을(古镇), 음식, 명주, 중드, 한국기업 투자낙원 등 인문 자연 경제 분야의 세부 항목별로 '중국 톱텐(중국 랭킹 10위)'을 선정해 시리즈로 연재합니다.

 

중국에는 도읍을 정한지 수백년, 길게는 수천년된 역사적인 도시들이 많이 있습니다. 고도들은 도시 자체가 거대한 역사 박물관으로서 옛 왕조의 흥망성쇄를 말해줍니다. 중국은 도시의 현대화 발전에 주력하는 한편으로 역사 전통 인문적 가치를 보존 계승하는데도 상당한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숱한 역사 도시들 중에서도 베이징과 셴양(咸阳) 시안(西安, 장안) 뤄양(洛阳) 난징(南京) 카이펑(开封) 항저우(杭州) 안양 (安阳) 정저우(郑州) 다퉁(大同) 등 10대 고도에 대해 알아봅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베이징 고궁. 사진 = 중국 SNS. 2024.12.30 chk@newspim.com

베이징: 공산당의 신중국까지 '4개 왕조' 수도

중국 공산당이 1949년 신중국을 세우고 수도로 정한 베이징은 600여년 전 원나라때 처음 본격적인 왕조의 수도로 건립됐습니다. 이후 원나라를 멸망시키고 들어선 명나라는 당초 도읍을 난징으로 정했지만 왕조 초기에 베이징으로 천도를 합니다. 명을 이은 청나라까지 역사적인 도시 베이징은 세 왕조에 걸쳐 수도로서 기능을 했습니다.

공산당의 신중국(중화인민공화국) 까지 더하면 '네번째 왕조'의 수도 역할을 하고 있는 셈입니다. 고도로서의 베이징은 고궁, 천단, 이화원 등 세계문화유산이 넘쳐 납니다. 특히 중국은 베이징의 남대문으로 일컬어지는 남쪽의 융딩문(永定门)에서 첸먼과 천안문광장 고궁(자금성) 종고루까지 7.8미터의 '베이징 인문 중축선'을 통째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등재했습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섬서성 셴양.  사진 = 중국 SNS.  2024.12.30 chk@newspim.com

셴양(咸阳), 한나라와 당나라의 제2도성

셴양(咸阳)은 2천여년 전 진한의 역사에 많이 등장하는 유서깊은 도성입니다.
샨시(陝西, 섬서)성 수도 시안(西安, 장안) 인근의 셴양은 한나라 전 왕조로서 진시 황제가 세운 나라 진(秦)의 도성입니다. 진나라를 이은 한나라와 이후에 번영을 누린 당 왕조가 이곳 셴양을 제 2의 도성으로 활용했습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진시황릉이 시안 인근의 이곳 셴양에 있고, 수십만평 거대한 야산의 당나라 첸릉(乾陵)과 한양릉(汉阳陵)도 모두 셴양에 속해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섬서성 시안. 사진 = 중국 SNS. 2024.12.30 chk@newspim.com

시안(西安) : 중국 역사 문화의 발원지

2천여년전 창안(长安)으로 불렸던 섬서성의 시안(西安)은 오랜 역사에 걸쳐 무려 13개 왕조의 도읍이었다고 합니다. 시안은 중국 역사 문화의 발원지라는 영예의 별칭을 가지고 있습니다. 천년 고도로서 시안은 진시황릉 병마용 다옌타(大雁塔, 대안탑, 기러기탑) 구청챵(古城墙, 고대장벽) 등 타의추종을 불허하는 심원한 역사 유적들을 거느리고 있습니다.  이중 대안탑은 현장법사가 실크로드를 통해 천축국(옛날 인도)에서 가져온 불경과 불상을 보관하기 위해 당나라때 건립한 탑입니다.  시안은 중국을 방문하는 외국 정상들에게도 가장 인기있는 방문지라고 합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허난성 뤄양.  사진=  중국 SNS.  2024.12.30 chk@newspim.com



뤄양(洛阳, 낙양) : 목단꽃으로 유명한 한나라의 천년고도

현재 허난성에 속한 뤄양(洛阳)은 삼국지에도 많이 등장하는 고도로서, 역사적으로 동주(東周)와 동한 등 여러 왕조의 도읍이었습니다. 옛날엔 청저우(成周) 선두(神都) 뤄징(洛京)으로 불렸다고 합니다. 한국 관광객들에게도 인기가 높은 용문석굴과 백마사 관림(关林) 등의 유적지가 모두 뤄양의 문화 유산입니다. 뤄양은 특히 중국의 국화인 목단 꽃이 가장 아름답기로 소문난 지역입니다. 매년 초여름 이곳에서는 국제 규모의 목단화 축제가 열립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장쑤성 난징.  사진 = 중국 SNS.  2024.12.30 chk@newspim.com

난징(南京) : 옛 왕조 문화 정치 도읍지. 현대엔 장강 경제 허브

현재 연해안 발달지역 장쑤성의 수도인 난징은 과거 진링(金陵)으로 불렸던 고대 도성입니다. 일찌기 동오(东吴)와 동진(东晋) 남조(南朝) 등 여러 왕조의 도성이었습니다. 옛날 장강 하류지역 문화 정치의 중심이었으며 현대 들어서는 장강권 경제의 허브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손문의 묘인 중산릉과 명효릉 난징성벽 등의 역사 유적지가 역사 고도 난징의 명함입니다. 명나라가 원나라를 멸망시키고 이곳에 도읍을 정했다가 베이징으로 도읍을 옮겨갔습니다. 근대 들어서는 일본의 침략을 받아 30만명이 학살당하는 비운의 대참사를 겪기도 했습니다. 중국은 과거의 역사를 똑바로 기억하자는 차원에서 매년 이곳 난징에서 '난징대학살'을 기념하는 국가 주도의 제사를 지냅니다.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 특파원) chk@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별세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이 25일 별세했다. 향년 63세. 재계에 따르면 한 부회장은 휴식 중 갑작스러운 심정지로 별세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부회장은 1962년생으로, 삼성전자의 TV 사업을 19년 연속 세계 1위로 이끈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 [사진=뉴스핌DB] 천안고와 인하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한 뒤 1988년 삼성전자 영상사업부 개발팀에 입사해 LCD TV 랩장, 개발그룹장, 상품개발팀장을 역임했다. 2017년에는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사장)에 올랐고, 2021년 말 부회장으로 승진해 디바이스경험(DX) 부문장을 맡았다. 이후 TV뿐 아니라 스마트폰, 생활가전 등 다양한 제품군에서 기술 혁신을 이끌며 국내외 전자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내부 게시글을 통해 "지난 37년간 회사에 헌신하신 고인의 명복을 빈다"며 "고인은 TV사업 글로벌 1등을 이끌었으며, 어려운 대내외 환경 속에서도 세트부문장 및 DA사업부장으로서 최선을 다해오셨다"고 애도했다. 빈소는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발인은 3월 27일, 장지는 시안가족추모공원이다. ▲한종희(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씨 별세 - 빈소: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17호실- 발인: 3월 27일(목)- 장지: 시안가족추모공원 syu@newspim.com 2025-03-25 10:04
사진
한덕수 탄핵 기각 尹선고 영향은 [서울=뉴스핌] 이재창 정치전문기자 = 헌법재판소의 한덕수 총리 탄핵에 대한 기각 결정이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선고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결론적으로 두 건은 본질이 다른 별개의 사안이어서 직접적인 영향은 없을 것이지만 여론의 흐름 등 간접적인 영향은 있을 수 있다. 헌재가 여론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어서다. 기각 결정이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는 헌재의 윤 대통령 탄핵에 대한 논의 정도에 달려 있다. 헌재가 인용 또는 기각으로 가닥을 잡았다면, 영향은 없다고 봐야 한다. 여전히 가닥을 잡지 못한 상황이라면 헌재가 일정 부분 여론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의 무리한 탄핵소추가 잇따라 기각되면서 야당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커질 수 있다. 현재까지 9(기각) 대 0(인용)이다. 특히 헌재가 한 총리의 재판관 임명 보류에 대해 '위법이지만 중대성이 없다'는 조건부 기각 입장을 밝힘에 따라 향후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 문제가 최대 변수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24일 정부서울청사로 직무에 복귀하기 위해 출근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27일 국회에서 탄핵안이 가결된 이후 87일 만이다. 헌법재판소는 이날 한 총리 탄핵심판 사건 선고 공판에서 헌재 재판관 8명 중 기각 5명; 각하 2명; 인용 1명으로 기각했다.2025.03.24.gdlee@newspim.com 헌재는 24일 한 총리 탄핵을 기각하면서 윤 대통령 부분을 교묘하게 피해 갔다. 한 총리 선고에서 윤 대통령 선고의 힌트를 얻을 수 없도록 언급을 하지 않았다. 윤 대통령 탄핵 사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됐다. 여야의 기대 섞인 예상은 모두 빗나갔다. 비상계엄이 위법·위헌적이라는 판단을 기대했던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은 물론 내란죄 삭제가 심각한 절차상 흠결이라는 지적을 듣고 싶어 했던 국민의힘도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국회의 한 총리 탄핵소추 사유는 ▲'김건희 여사·해병 대원 순직 사건' 특검법 재의요구권 행사 ▲비상계엄 선포 묵인·방조·공모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공동 국정 운영 체제 ▲내란 상설특검 임명 불이행 ▲헌법재판관 임명 거부 등 5가지다. 이 중 윤 대통령 사건과 겹치는 부분은 비상계엄 선포 묵인·방조·공모 부분이다. 즉 내란죄와 관련한 것이다. 헌재는 한 총리의 적극적인 반대가 있었는지에 대한 판단을 했을 뿐 윤 대통령 관련된 부분은 언급하지 않았다.    헌재의 판단에서 주목할 대목은 헌법재판관 임명과 관련된 판단이다. 기각 의견을 낸 5명 중 4명(문형배·이미선·김형두·정정미 재판관)은 한 총리가 국회에서 선출된 조한창·정계선·마은혁 재판관 후보자의 임명을 보류한 것이 헌법과 법률을 위반한 것이라면서도 파면을 정당화하는 사유로는 인정하지 않았다. 이들은 한 총리가 국회가 선출한 3인을 재판관으로 임명해야 할 헌법상 구체적 작위의무를 부담한다고 봤으며, 그 의무를 위반했다고 봤다. 그렇지만 임명 거부가 현직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을 진행하는 헌재를 무력화시키기 위한 목적 또는 의사에 기인했다고까지 인정할 증거나 객관적 자료는 발견되지 않는다고 했다. 파면을 정당화하는 이유로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한 총리가 마 후보자 임명을 마냥 미뤄도 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헌재는 기각 사유로 "당시 재판관 임명을 둘러싼 정치적 갈등이 지속되던 와중에 현직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 의결로 피청구인의 대통령 대행으로서의 역할과 범위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었다는 점 등을 고려한 것"이라고 했다. 대통령 대행의 재판관 임명 의무가 있는지 등이 불분명한 상황이었다는 것이다. 지금은 사정이 달라졌다. 헌재가 권한쟁의심판에서 권한대행에 재판관 임명 의무가 있다는 결론을 내린 상태다. 최상목 전 대행에게 사실상 마 후보자 임명을 요구한 것이다. 따라서 한 총리가 마 후보자 임명을 계속 미루고, 민주당이 이를 문제 삼아 한 총리를 탄핵한다면 이번엔 인용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물론 언제까지 임명해야 하느냐는 기준은 없다. 여전히 논란거리다. 민주당은 당장 임명하라고 압박하고 나섰고 국민의힘은 임명에 반대하고 있다. 한 총리는 임명을 하지 않을 수는 없다. 다만 시기를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마 후보자 임명은 헌재 상황과 맞물린다. 재판관의 판단이 5(인용) 대 3(기각 또는 각하)으로 갈려있다면 마 후보자 임명은 결정적인 변수다. 현재 만장일치 인용에서 4대 4, 심지어는 5.5대 2.5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선고가 예상대로 28일 이뤄질 경우 인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거꾸로 4월로 넘어간다면 기각 또는 각하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이번 주를 넘긴다면, 마 후보자 임명을 둘러싼 여야와 야당과 한 대행의 대립이 한층 격화될 가능성이 높다. 야당이 탄핵카드를 꺼낼 가능성도 없지 않다. leejc@newspim.com 2025-03-24 16:0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