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首尔将开启"汉江水上新时代" 有望创造近1万亿韩元经济效益

기사입력 : 2024년05월02일 10:45

최종수정 : 2024년05월02일 10:45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纽斯频通讯社首尔5月2日电 韩国首尔市政府计划到2030年开启"汉江水上新时代",让1000万首尔市民利用汉江水域。市政府将推动汉江水域的开发利用,使市民能够在汉江上班,并确保各种大小船只的航行和停泊。目标是打造一个充满魅力和活力的"River City——首尔",不仅让市民欣赏汉江,还让他们享受、体验和感受到汉江的乐趣。

【图片=首尔市政府提供】

根据市政府的预测,这项计划有望每年创造6445亿韩元的生产波及效应和2811亿韩元的增值效应,总共创造9256亿韩元的经济效益。市政府计划通过这项计划创造超过6800个工作岗位。

首尔市政府推算经济波及效应时,根据1千万人利用汉江水域时的支出,应用诱发系数(根据2015年地区产业关联表的首尔部分),得出了生产波及效应、增值效应以及就业创造效应。

目前,汉江水域利用率低,处于空闲状态。利用水域的市民每年仅有90万人,远远少于汉江公园的6900万游客数量,汉江上的船只数量也极少。相较于首尔注册的水上休闲动力设备超过3000艘,可停泊船只的停靠设施仅有130个船位,绝对不够。

首尔市政府计划在汉江修建水上办公楼,在汝矣岛汉江公园水光舞台旁边修建漂浮酒店,还打造类似明洞美食街的汉江美食街——水上美食区,让市民在品尝全球各地美食的同时欣赏表演。同时,建造滑水橇场,将纛岛风帆场的开放范围从会员扩大到普通市民,让更多市民享受水上休闲活动的乐趣。

市政府还计划到2030年将船只停靠设施的船位数量从目前的130个扩大到1000个,以满足摩托艇等水上休闲动力设备持有人数持续增加的"My Boat 时代"的需求。市政府将在今年上半年正式开放兰芝首尔水上运动中心,并在二村和蚕室扩建城市型码头。此外,从今年10月起每年将有1000次航班在汝矣岛和京仁阿拉运河之间运行,并且运营汉江水上巴士,大力提升汉江水域的利用率。

首尔市长吴世勋宣布了以上述内容为核心的"汉江水域发展综合计划"。这项计划是去年3月首尔市政府为挖掘汉江无限潜力而发布的"伟大汉江项目"的后续计划,包括细化水上领域政策并创造协同效应的新项目,有望改善首尔市民的生活质量,创造经济效益和就业机会,有利于提升首尔的城市竞争力。 

"汉江水域发展综合计划"包括3大战略、10个推进课题和26个具体项目,旨在将汉江打造成充满魅力和活力的"2030 River City——首尔"。重点是打造有助于提升日常生活质量的水上环境;实现水上活动的多样化,为市民提供生动的体验;扩充水上基础设施,增强城市竞争力。

为此,市政府将投入5501亿韩元的预算(民间:3135亿韩元,政府:2366亿韩元)。"汉江水域发展综合计划"的3大战略包括日常空间、休闲中心、发展据点,具体内容如下。

首先,汉江将重生为"日常空间"。它将不再只是特殊日子才去的地方,而是日常生活中的主要舞台。为此,市政府将在汉江修建即使水位上涨也很安全的水上浮动设施,包括水上酒店和水上办公楼。

同时,打造能够在欣赏汉江风景的同时品尝世界各地美食的水上美食区,并运营便利舒适的水上交通工具——汉江水上巴士。其中,汉江水上巴士将成为连接首尔市内主要住宅区和办公区等地的公共交通工具,同时也将成为游客的旅游交通方式。

一艘汉江水上巴士可同时容纳199名乘客,船内配备有乘客座椅、小餐厅、洗手间等设施,能够为广大市民提供舒适便捷的上下班环境。汉江水上巴士计划于今年10月正式投入运营。

其次,将汉江打造成"休闲中心",让在日常生活中感到疲惫的市民选择汉江作为享受各种休闲活动的心灵治愈空间。为此,市政府将运营适合初学者利用的滑水橇场,并将纛岛风帆场的开放范围从会员扩大到普通市民。此外,还将从2025年开始推进韩国首个"水上灾难安全体验馆"建设项目,让市民利用VR和4D技术学习水上灾难应对方法。

再次,将汉江打造成"发展据点",在汉江修建水上综合基础设施,增强城市竞争力。为此,将船只停靠设施的船位数量扩大到1000个,在蚕室扩建城市型码头。此外,还将在汝矣岛修建码头,提升汝矣岛至京仁阿拉运河的利用率,修建首尔港,让市民可以在汝矣岛登船,沿着汉江抵达西海。

韩国纽斯频(NEWSPIM·뉴스핌)通讯社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李정부, 123개 국정과제 공식 확정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정부가 향후 5년간 국정 운영의 핵심 로드맵이 될 123대 국정과제를 본격 추진한다. 정부는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국정과제를 포함한 국정과제 관리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국무회의에서 확정된 123대 국정과제는 지난달 13일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제안한 '이재명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을 정부 차원의 검토 및 조정·보완을 거쳐 확정한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오전 취임 후 처음으로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직접 주재하면서 국가균형발전에 대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KTV] 최종 확정된 국정과제 체계는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국가비전 아래 5대 국정목표, 23대 추진전략, 123대 과제로 구성됐다. 5대 국정목표는 ▲국민이 하나되는 정치 ▲세계를 이끄는 혁신경제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 ▲기본이 튼튼한 사회 ▲국익 중심의 외교안보다. 우선 정부는 국민주권 실현 및 대통령 책임 강화를 위한 개헌을 추진한다. 4년 연임제 및 결선투표제 도입, 감사원 국회 소속 이관, 대통령 거부권 제한, 국무총리 국회추천제 도입 등이 개헌안에 담길 전망이다. 권력기관 개혁을 통한 민주주의 확립, 독자 인공지능(AI) 생태계 및 AI고속도로 구축, 5극3특 중심 혁신·일자리 거점 조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 산재 감축 등의 내용도 국정과제에 담겼다. 또 이재명 정부 임기 내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완료하는 강군 육성 방안도 포함됐다. 행정수도 세종 완성과 2차 공공기관 이전도 차질없이 진행할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오전 취임 후 처음으로 정부세종청사에서 국가균형발전 관련 국무회의를 직접 주재하고 있다. [사진=KTV]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범정부 추진체계도 구축한다. 온라인 국정관리시스템과 오프라인 범부처 협의체를 운영, 국정과제 추진상황을 지속 관리한다. 입법성과 조기 창출을 위해 법제처에 국정입법상황실을 두고, 국정과제 입법 전주기를 밀착 관리한다. 국정과제 중 입법조치가 필요한 사항은 법률 751건, 하위법령 215건 등 총 966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 법률안 110건은 연내 국회 제출하고, 하위법령 66건 올해 제·개정한다는 계획이다. 국정과제 추진과정에서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정책성과를 국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 온라인 소통창구인 '국정과제 소통광장'을 마련, 국민이 제기한 의견을 정부가 신속히 답하는 쌍방향 소통채널을 만든다. 국민만족도 조사는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민생 관련 중요 국정과제는 민관합동 현장점검을 실시한다. 국정과제 추진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정부업무평가 기본계획('25~'27)' 및 '2025년도 정부업무평가 시행계획 수정안'도 이날 국무회의에서 확정됐다. 올해는 미래 전략산업 육성 등 각 부처가 역점 추진하는 정책과제, 신산업 등 규제 합리화, AI 활용 일하는 방식 혁신, 디지털 소통·홍보 노력 강화 등을 중점 평가할 예정이다. 국민주권정부에 걸맞게 평가 과정에 국민 참여를 확대하고, 국민 만족도 조사 결과도 비중 있게 반영한다. 국무조정실은 "향후 국정과제 추진과정에서 국민의견을 수시로 청취하고 소통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며 "국민요구와 정책여건 변화를 반영해 이행계획도 지속 보완하며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9-16 14:04
사진
코어위브, 엔비디아와 8조원대 계약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데이터센터 운영업체인 코어위브(종목코드: CRWV)는 인공지능(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와 63억 달러(8조7160억원)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 주문 계약을 체결했다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엔비디아는 이번 계약을 통해 2032년 4월 13일 까지 코어위브가 고객에게 판매하지 않은 모든 클라우드 용량을 구매하기로 했다. 엔비디아와 수주 계약 체결 소식이 전해진 후 코어위브 주가는 뉴욕 정규장 거래에서 8% 상승했다. 지난 3월 상장 이후 이 회사 주가는 3배 뛰었다. 코어위브는 미국과 유럽에서 엔비디아의 GPU 칩을 탑재한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며 이를 임대하거나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을 판매하고 있다. 이번 계약으로 코어위브는 엔비디아의 핵심 클라우드 파트너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AI 컴퓨팅 용량 수요 감소 가능성에 대한 완충장치를 마련하게 됐다고 로이터 통신은 평가했다. 코어위브는 일찌감치 엔비디아의 눈도장을 받아 2023년 투자를 받았다. 엔비디아는 코어위브 지분을 6% 넘게 보유하고 있다. 코어위브는 지난 3월 공모가 40달러에 뉴욕 증시에 상장한 후 AI 열풍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 급증에 힘입어 주가가 급등했다. 투자은행 바클레이즈는 "이번 계약은 최종 고객과 상관없이 용량이 활용될 것을 보장함으로써 코어위브의 안전장치 역할을 한다"며 "투자자들은 코어위브가 최대 고객사 2곳(마이크로소프트와 오픈AI) 외에 데이터센터 용량을 채울 수 있을지 우려해왔는데, 이번 계약으로 이런 우려가 사라졌다"고 분석했다.  코어위브 로고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9.16 kongsikpark@newspim.com 코어위브는 지난 3월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119억 달러 규모의 5년 계약에 합의하며,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을 제공하기로 한 바 있다. 오픈AI는 2029년 4월까지 40억 달러까지 지급하기로 약속하는 추가 협정을 맺었다. kongsikpark@newspim.com 2025-09-16 13:03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