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송은정 기자 =AI 자동화 솔루션 전문기업 그리드원이 업무를 직접 자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에이전트 서비스 '고두(GO;DO)'로 생성형 AI 서비스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 |
[사진=그리드원] |
그리드원은 18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그리드원 테크데이24 오토메이션 2.0, 자율 AI 에이전트' 행사를 개최했다.
그동안 챗GPT 제미나이 같은 거대 언어 모델(LLM)기반 생성형AI 서비스가 뛰어난 말과 그림 생성 능력으로 주목을 받았지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저는 직접 작업을 수행할 수 없어서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 주겠다'는 답변을 할 뿐이었다.
이에 그리드원은 생성형 AI에 화면을 인식하고 클릭할 수 있는 자동화 솔루션을 결합해 AI 스스로 사람처럼 인식하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 서비스를 개발했다.
김계관 그리드원 대표는 "AI 에이전트 고두(GO;DO)는 직접 행동하는 GPT"라며 "그리드원은 지난 20여년간 다양한 자동화 솔루션을 개발해 왔기 때문에 개발된 솔루션을 AI의 눈과 손으로 활용해 우리의 업무를 직접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그리드원은 업무 자동화 솔루션 기업이다. 컴퓨터를 클릭하고 제어할 수 있는 로보틱스 프로세스 자동화(RPA)와 비정형 그림과 화면을 인식할 수 있는 인공지능 광학 문자 인식(AI OCR) 솔루션 같은 다양한 AI 자동화 솔루션 모듈과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생성형AI를 결합해 사람처럼 직접 행동을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김 대표는 생성형AI 주안점을 둔 부분에 대해서는 "생성형AI가 중요한 기술이라 생각해 사람과 같이 일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완성도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그래야만 고객들에게 만족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자동화의 완성도'를 서비스 구현하는 데 있어서 가장 큰 주안점을 두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AI는 100% 완벽할 수 없다. 그 부분을 어떻게 확인하고 검증할 수 있냐가 중요하다 생각한다"라며 "그 부분에 대해서 회사는 1% 오류를 자동으로 찾아내는 특허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자동화의 핵심은 '비정형화'라고 설명했다. 그리드원은 기업의 비정형 데이터 검색에 집중했다는 설명이다.
자사만의 경쟁력으로는 'AI 검색'을 제공하는 것을 꼽았다. 기존의 검색이 대부분 키워드로 이뤄졌지만, 그리드원은 AI 검색을 제공해 기존과는 다른 차원의 검색을 제공한다는 설명이다.
김 대표는 타사와의 차별점에 대해 "기존의 서비스는 정보 제공, 아이디어 제공 수준에 머물렀다면 그리드원은 실행 여부, 액션에 집중했다"고 답했다.
올해 회사는 기업 간 거래(B2B) 서비스를 확장해나가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할 예정이다. 회사는 내년에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올해는 매출 200억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 대표는 "고성능 경량화 대형언어모델(LLM)을 업무에 맞게 튜닝해 도입 부담을 줄이고 실질적으로 업무를 직접 수행할 수 있는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상반기 출시될 B2B 서비스를 시작으로 일상생활을 말로 수행할 수 있는 글로벌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 개인 비서 서비스도 하반기에 출시하고 내년 IPO도 추진해 퀀텀 점프의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리드원은 이날 행사에서 AI 에이전트의 구성 기술 차세대 RPA, 개발 자동화, AI 테스트 솔루션 등 AI 에이전트 기반 신제품을 연이어 공개했다.
그리드원 관계자는 "AI 에이전트가 업무에 필요한 앱도 직접 개발 하고 검증할 수 있는 테스트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구현 중"이라며 "그리드원은 이에 필요한 모든 솔루션이 이미 준비돼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AI 서비스를 더 기대해 주셔도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
yuni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