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GAM]미중 전환점 이끌 APEC에 쏠린 눈③ 수혜 기대 '3대 섹터'

기사입력 : 2023년11월16일 08:35

최종수정 : 2023년11월16일 08:50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양대 투자방향에 부합, 3대 섹터 수혜 기대
기관이 선정한 3대 섹터 대표 추천주 소개

이 기사는 11월 13일 오전 10시31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미중 전환점 이끌 APEC에 쏠린 눈① G2 해빙 모드 급물살>, <미중 전환점 이끌 APEC에 쏠린 눈② 주목할 '2대 투자방향'>에서 이어짐.

◆ 미중 갈등 완화기2. 수혜 기대 '3대 섹터'

현지 증권기관은 올해 2분기 수익구조와 3분기 고율관세 부과액 등을 기준으로 판단할 때 '높은 해외의존도+고율관세 징수대상'의 두 가지 기준에 가장 부합되는 반도체, 자동차부품, 백색가전의 세 가지 산업이 이번 미중 관계 회복 주기 기간 동안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내다봤다.

1) 반도체

재신증권(財信證券)은 최근 D램(DRAM)과 낸드플래시(NAND Flash)의 양대 메모리 반도체 제품 가격 하락세가 멈추고 수요 증가에 따른 가격 안정화 흐름이 가시화되는 가운데, 반도체 사이클 전환점 도래에 주목하며 △중국을 대표하는 선도 메모리 반도체 모듈 제조업체 : 대표적으로 강파룡(江波龍∙Longsys 301308.SZ) △눈에 띄는 실적 개선을 이뤄내고 있는 팹리스(반도체 설계) 업체 : 대표적으로 보염반도체(普冉股份·PUYA 688766.SH) 등에 주목할 것을 권고했다. 

9월 반도체 설비 수입액이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중국 기술국산화 실현 급선무 영역이자 반도체 산업체인에서 가장 높은 성장잠재력을 지닌 분야로 꼽히는 '최첨단 설비 영역'의 흐름도 주목된다. 

반도체 설비는 원재료와 함께 기술국산화 가속화가 기대되는 대표적인 반도체 산업체인 영역으로 꼽힌다. 반도체 산업의 국산화율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지만 반도체 설비 영역의 국산화율은 5%에도 미치지 못한다. 특히 최첨단 초미세공정 반도체 생산에 반드시 필요한 극자외선(EUV) 리소그래피(실리콘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새기는 공정) 장비나 이온주입기 등 핵심 장비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중국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SMIC(中芯國際·중신궈지 688981.SH/0981.HK)를 비롯해 중국 대표 에칭(식각)∙세정 장비 생산업체 북방화창(北方華創∙NAURA 002371.SZ)과 에칭 장비와 유기화학증착장비(MOCVD) 영역에서 리더적 입지를 구축하고 있는 중미반도체(中微公司·AMEC 688012.SH) 등 설비 분야에서 기술 경쟁 우위를 띄고 있는 선도 기업들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설비 중에서도 후공정 설비 수입 규모는 전공정 설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수입분을 대체해 기술국산화를 선도할 국내 후공정 설비 업체들의 성장세도 기대된다. 집적회로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및 분류장비 연구개발업체 장천과기(長川科技 300604.SZ), 반도체 테스트 장비 생산업체 정측전자그룹(精測電子 300567.SZ) 등이 추천주로 거론된다. 

참고로 반도체 제조 설비는 프론트 엔드(Front-end·전공정)와 백 엔드(Back-end·후공정) 설비로 나뉜다. 프론트 엔드는 열처리, 노광, 에칭(Etching·식각), 이온주입, 박막침적, CMP(웨이퍼 표면 평탄화)의 공정으로 이어지는데 관련 장비로는 급속열처리기, 산화·확산장비, 노광장비, 에칭장비, 스트리핑(stripping·포토레지스트 제거)장비, 이온주입장비, 박막침적장비, CMP장비 등을 들 수 있다. 백 엔드 공정과 관련해서는 패키지장비와 각종 테스트 장비 정도로 구분할 수 있다.

2) 자동차 부품

민생증권(民生證券)은 자동차 스마트 부품 섹터의 투자가치가 재평가될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 자율주행 관련 정책이 빠르게 정립되는 가운데 최근 자율 주행 보조 시스템인 NOA(Navigate On Autopilot) 기능을 탑재한 신차가 집중적으로 등장하면서, 자율주행 관련 산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스마트화+열관리+경량화'를 핵심 키워드로 꼽으면서 해당 영역에서 기술력 경쟁 우위를 보유한 자동차 부품 섹터 종목에서 발굴할 투자기회에 주목했다. 

대표적으로 전기차 주행거리를 좌우하는 '열관리 시스템'과 주행의 품질을 결정짓는 '서스펜션(노면의 충격이 운전자와 승객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 구조장치)' 분야의 기술 강자 중정홀딩스(中鼎股份, 000887.SZ)를 비롯해 아태기전(亞太股份 002284.SZ), 탁보그룹(拓普集團 601689.SH), 상해보륭자동차(保隆科技 603197.SH), 백특리(伯特利 603596.SH) 등의 자율주행 대표 테마주를 추천주로 꼽았다. 

지능형 고성능 차량에 필요한 디지털 콕핏(차량용 조종석) 대장주도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디지털 콕핏 핵심 기술로 꼽히는 도메인 컨트롤러 기술을 보유한 징웨이헝룬(經緯恒潤 688326.SH), 덕새서위(德賽西威 002920.SZ), 균승전자(均勝電子 600699.SH), 화양(華陽集團 002906.SZ)이 대표적이다.  

자동차 업계의 기술 격전지로 떠오른 인간-기계 인터페이스(HMI) 기술경쟁력을 지닌 화안흠창(華安鑫創 300928.SZ), 과박달기술(科博達 603786.SH), 상성전자(上聲電子 688533.SH)등도 주목할 추천주로 거론된다. 

최근 자동차 업계의 핵심 트렌드로 떠오른 '자동차 경량화' 기술경쟁력을 갖춘 부품 공급업체 종목도 관심주로 꼽힌다. 자동차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팅(융용 금속을 금형에 주입하는 주조법) 기술 연구개발에 종사하는 두 기업인 문찬집단(文燦股份 603348.SH)과 애가적(愛柯迪 600933.SH) 등이 대표적이다. 

3) 백색가전 

차이나갤럭시증권(中國銀河證券)은 중앙정부의 내수촉진 및 지방정부의 소비 진작 정책 등에 힘입어 국내 주택 구매 수요가 점진적이나마 회복되는 가운데 부동산 사이클 전환점 도래에 따른 최대 수혜주로 백색가전 산업을 꼽았다. 

특히 해외 시장의 수요 확대 및 위안화 평가절하(가치하락)에 따른 수출 증대로 백색가전 산업이 안정적인 개선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미중 무역 갈등 완화에 따라 수출이 더욱 확대될 수 있는 대표적 품목이라는 점에서 백색가전 산업이 수익 확장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증시 가전 섹터 양대 대장주인 메이디그룹(美的集團·Midea 000333.SZ)과 하이신가전(海信家電·Hisense 000921.SZ/0921.HK)이 주목해볼 대표 종목으로 꼽힌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李정부, 123개 국정과제 공식 확정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정부가 향후 5년간 국정 운영의 핵심 로드맵이 될 123대 국정과제를 본격 추진한다. 정부는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국정과제를 포함한 국정과제 관리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국무회의에서 확정된 123대 국정과제는 지난달 13일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제안한 '이재명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을 정부 차원의 검토 및 조정·보완을 거쳐 확정한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오전 취임 후 처음으로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직접 주재하면서 국가균형발전에 대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KTV] 최종 확정된 국정과제 체계는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국가비전 아래 5대 국정목표, 23대 추진전략, 123대 과제로 구성됐다. 5대 국정목표는 ▲국민이 하나되는 정치 ▲세계를 이끄는 혁신경제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 ▲기본이 튼튼한 사회 ▲국익 중심의 외교안보다. 우선 정부는 국민주권 실현 및 대통령 책임 강화를 위한 개헌을 추진한다. 4년 연임제 및 결선투표제 도입, 감사원 국회 소속 이관, 대통령 거부권 제한, 국무총리 국회추천제 도입 등이 개헌안에 담길 전망이다. 권력기관 개혁을 통한 민주주의 확립, 독자 인공지능(AI) 생태계 및 AI고속도로 구축, 5극3특 중심 혁신·일자리 거점 조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 산재 감축 등의 내용도 국정과제에 담겼다. 또 이재명 정부 임기 내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완료하는 강군 육성 방안도 포함됐다. 행정수도 세종 완성과 2차 공공기관 이전도 차질없이 진행할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오전 취임 후 처음으로 정부세종청사에서 국가균형발전 관련 국무회의를 직접 주재하고 있다. [사진=KTV]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범정부 추진체계도 구축한다. 온라인 국정관리시스템과 오프라인 범부처 협의체를 운영, 국정과제 추진상황을 지속 관리한다. 입법성과 조기 창출을 위해 법제처에 국정입법상황실을 두고, 국정과제 입법 전주기를 밀착 관리한다. 국정과제 중 입법조치가 필요한 사항은 법률 751건, 하위법령 215건 등 총 966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 법률안 110건은 연내 국회 제출하고, 하위법령 66건 올해 제·개정한다는 계획이다. 국정과제 추진과정에서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정책성과를 국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 온라인 소통창구인 '국정과제 소통광장'을 마련, 국민이 제기한 의견을 정부가 신속히 답하는 쌍방향 소통채널을 만든다. 국민만족도 조사는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민생 관련 중요 국정과제는 민관합동 현장점검을 실시한다. 국정과제 추진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정부업무평가 기본계획('25~'27)' 및 '2025년도 정부업무평가 시행계획 수정안'도 이날 국무회의에서 확정됐다. 올해는 미래 전략산업 육성 등 각 부처가 역점 추진하는 정책과제, 신산업 등 규제 합리화, AI 활용 일하는 방식 혁신, 디지털 소통·홍보 노력 강화 등을 중점 평가할 예정이다. 국민주권정부에 걸맞게 평가 과정에 국민 참여를 확대하고, 국민 만족도 조사 결과도 비중 있게 반영한다. 국무조정실은 "향후 국정과제 추진과정에서 국민의견을 수시로 청취하고 소통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며 "국민요구와 정책여건 변화를 반영해 이행계획도 지속 보완하며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9-16 14:04
사진
코어위브, 엔비디아와 8조원대 계약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데이터센터 운영업체인 코어위브(종목코드: CRWV)는 인공지능(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와 63억 달러(8조7160억원)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 주문 계약을 체결했다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엔비디아는 이번 계약을 통해 2032년 4월 13일 까지 코어위브가 고객에게 판매하지 않은 모든 클라우드 용량을 구매하기로 했다. 엔비디아와 수주 계약 체결 소식이 전해진 후 코어위브 주가는 뉴욕 정규장 거래에서 8% 상승했다. 지난 3월 상장 이후 이 회사 주가는 3배 뛰었다. 코어위브는 미국과 유럽에서 엔비디아의 GPU 칩을 탑재한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며 이를 임대하거나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을 판매하고 있다. 이번 계약으로 코어위브는 엔비디아의 핵심 클라우드 파트너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AI 컴퓨팅 용량 수요 감소 가능성에 대한 완충장치를 마련하게 됐다고 로이터 통신은 평가했다. 코어위브는 일찌감치 엔비디아의 눈도장을 받아 2023년 투자를 받았다. 엔비디아는 코어위브 지분을 6% 넘게 보유하고 있다. 코어위브는 지난 3월 공모가 40달러에 뉴욕 증시에 상장한 후 AI 열풍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 급증에 힘입어 주가가 급등했다. 투자은행 바클레이즈는 "이번 계약은 최종 고객과 상관없이 용량이 활용될 것을 보장함으로써 코어위브의 안전장치 역할을 한다"며 "투자자들은 코어위브가 최대 고객사 2곳(마이크로소프트와 오픈AI) 외에 데이터센터 용량을 채울 수 있을지 우려해왔는데, 이번 계약으로 이런 우려가 사라졌다"고 분석했다.  코어위브 로고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9.16 kongsikpark@newspim.com 코어위브는 지난 3월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119억 달러 규모의 5년 계약에 합의하며,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을 제공하기로 한 바 있다. 오픈AI는 2029년 4월까지 40억 달러까지 지급하기로 약속하는 추가 협정을 맺었다. kongsikpark@newspim.com 2025-09-16 13:03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