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뉴스핌 채널 추가
뉴스핌 채널 추가 안내
글로벌 미국·북미

[뉴욕 프리뷰] 미 주가지수 선물 반발 매수 속 상승...코스트코↓ VS 리비안·차지포인트↑

기사입력 : 2023년09월27일 22:08

최종수정 : 2023년09월27일 22:08

[휴스턴=뉴스핌] 고인원 특파원= 전날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에 뉴욕증시 개장 전 미 주가지수 선물이 상승 중이다.

미국 동부 시간으로 27일 오전 9시 기준 미국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서 E-미니 S&P500 선물은 전장 대비 15.75(0.37%) 오른 4330.50에, E-미니 다우 선물은 91.00(0.27%) 상승한 3만3966.00에 거래되고 있다. E-미니 나스닥100 선물은 49.75(0.34%) 전진한 1만4764.75에 거래되고 있다.

뉴욕증권거래소 [사진=블룸버그]

전날 뉴욕증시는 미국채 금리 상승 부담과 셧다운 우려 등 각종 악재 속에 급락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388포인트(1.14%) 하락했는데, 이는 퍼센트 기준으로 3월 22일 이후 최대 일일 낙폭이다. S&P500지수는 63.91포인트(1.47%), 나스닥 종합지수는 207.71포인트(1.57%) 각각 하락 마감했다.

미국의 8월 신규 주택 판매가 지난 3월 이후 최저로 줄어든 데다, 9월 소비자신뢰지수가 예상보다 저조한 것으로 확인되며 미 경제에 대한 우려가 부각됐다.

미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8월 신규 주택 판매(계절조정치 연율 환산)는 전월 보다 8.7% 감소한 67만5000채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3월 이후 가장 부진한 수치다.

또 미국의 민간 경제 조사기관인 컨퍼런스보드가 공개한 9월 소비자신뢰지수는 103으로 8월의 108.7보다 후퇴했고, 전문가 예상치 105도 하회했다.

블랑케 셰인웰스 매니지먼트의 로버트 셰인 최고 투자 책임자는 CNBC에 "현재 시장이 계절적으로 약한 9월"을 보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9월 S&P 500 지수는 5.2% 하락했고, 다우 지수는 3.2%, 나스닥은 7% 가까이 떨어졌다.

하지만 그는 시장이 10월까지 높은 변동성을 이어가다 전환점을 맞을 것이라며 "10월 중순부터 실적 시즌이 시작되는데, 실적이 예상보다 좋으면 이번 시장 조정을 끝내는 데 필요한 촉매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주초 16년 만에 최고치를 찍은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이날 소폭 후퇴하고 있는 점도 시장에 안도감을 줬다. 전날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4.549%를 기록했고, 연준 금리 전망을 적극 반영하는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5.127%를 기록했다.

이날 현재 10년물 금리는 6.1bp(1bp=0.01%포인트) 내린 4.497%, 2년물 금리는 1.5bp 밀린 5.06%에 각각 거래되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강도 긴축에도 미 경제는 여전히 강력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개장 전 발표된 미국 내구재(3년 이상 사용 가능한 제품) 수주는 8월 전달보다 0.2% 늘었다. 0.5% 감소할 것이라는 월가 예상도 뒤엎는 결과다. 국방을 제외한 내구재 수주는 0.7% 감소했는데, 전달에는 6.0% 줄었었다.

기업의 투자지표인 항공기를 제외한 비국방 자본재 수주도 보합에 머물 것이라는 예상을 엎고 0.9% 늘었다. 전월에는 0.4% 감소한 것으로 수정됐다.

코스트코 매장 [사진=업체 제공]

개장 전 특징주로는 창고형 할인점인 ▲코스트코(종목명:COST)의 주가가 1% 넘게 하락하고 있다. 4분기 실적이 예상을 웃돌았지만, 미국에서 동일점포 매출이 전년 대비 0.2% 늘어나는 데 그쳤다는 데 투자자들은 실망했다.

전기차 기업인 ▲루시드(LCID)와 ▲리비안(RIVN)의 주가는 2~4%대 상승 중이다. 전미자동차노조(UAW)가 포드·제너럴모터스(GM)·스텔란티스 등 미국 3대 자동차 제조사를 상대로 파업을 이어가는 가운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파업을 독려했다는 보도에 이들 전기차 기업이 상대적으로 수혜를 입을 것이란 기대가 커졌다.  

전기차 충전 기업인 ▲차지포인트(CHPT)도 개장 전 주가가 4% 넘게 상승 중이다. UBS가 회사에 '매수' 투자 의견을 제시한 것이 호재로 작용했다.

 

koinwo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비트코인 터졌다…'FOMO' 자금 유입 속 42K 돌파 임박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가격 상승 탄력이 붙기 시작한 비트코인이 4만2000달러 부근까지 치솟았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한국시간으로 5일 오전 8시 26분께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4.47% 뛴 4만1864.61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시총 2위 이더리움은 같은 시각 2.11% 상승한 2233.93달러를 지나고 있다. 비트코인 가격 1년 추이 [사진=코인데스크 차트] 2023.12.05 kwonjiun@newspim.com 지난주까지만 해도 3만8000달러 저항선 돌파에 어려움을 겪던 비트코인은 비둘기(완화 선호)적으로 해석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의 발언 이후 4만달러까지 수직상승한 뒤 간밤 랠리 속도를 키우며 4만2000달러 부근까지 치솟았다. 동일한 파월 호재에 뉴욕증시가 하루 상승한 뒤 다시 숨 고르기에 들어간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 증시와 달리 코인시장을 탄탄히 떠받치는 요인 중 하나는 바로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승인 기대감이다. 내년 초로 예상되는 현물 ETF 승인과 내년 4월 예정된 비트코인 반감기를 앞두고 기관 등 투자자금이 봇물을 이룰 것이란 전망이 가격을 계속 밀어 올리고 있다. 이러한 낙관론 속에 비트코인 가격은 올해 들어 150% 넘게 뛰었고, 비트코인 상승 분위기와 맞물려 시총 2위 코인인 이더리움은 가격이 80% 넘게 올랐다. 비트코인 가격 랠리는 코인 관련 기업들의 주가도 들썩이게 만드는 중이다. 대표적으로 뉴욕증시에 상장된 암호화폐 거래소 기업 코인베이스 주가는 연초와 비교해 네 배 이상 뛰었고, 미국 암호화폐 채굴업체 마라톤 디지털 주가는 연초 이후 3배 넘게 상승했다. 코인데스크는 뚜렷해진 코인시장 상승 분위기 속에 '나만 소외될 수 없다(FOMO)'는 '패닉 매수' 자금이 유입되면서 가격 상승 속도를 키우고 있다고 설명했다. 코인 시장을 향하는 투자자들의 발걸음이 빨라지면서 코인 시장 전체 시가총액은 1조5000억달러를 돌파, 2022년 5월 이후 최대 수준으로 불어났다. 코인셰어즈가 공개한 최근 자금 이동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주 코인 시장은 1억7200만달러의 자금 순유입을 기록했으며, 이로써 10주 연속 자금 유입이 나타났다. 다만 애널리스트들 일부는 낙관론에 기댄 최근 가격 상승이 지나치게 가파르다면서 단기 리스크들을 유념할 것을 권고했다. 갤럭시의 리서치 대표 알렉스 손은 비트코인 주소의 85% 정도가 수익 상태여서 추가적인 가격 상승이 나타났을 때 차익 매물이 출회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kwonjiun@newspim.com 2023-12-05 08:34
사진
'요소수 대란' 또 재연되나...홈플러스 등 일부 온라인 품절 사태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중국 세관의 요소 수출 제한으로 또 다시 국내 요소수 수급 차질 우려가 높아지면서 일부 온라인 사이트에선 품절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현재 판매 중지 상태인 요소수. [사진=유룩스] 5일 오전 대표적인 요소수 판매사인 롯데정밀화학의 '유록스' 홈페이지엔 '이 상품은 현재 구매하실 수 없는 상품'이라는 공지가 떴다. 재입고시 구매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유록스'는 개인당 1개로 구입을 제한했지만 품절 사태가 다시 벌어졌다. 앞서 9월에도 품절 사태가 빚어졌다.  롯데정밀화학, 금성이앤씨 회사의 국내 차량용 요소수 시장 점유율은 50%가 넘는다. 금성이앤씨는 도매로 요소수를 취급한다.  쿠팡 등 다른 온라인 사이트는 유룩스 공식 홈페이지보다 비싼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 중인 홈플러스 등은 품절 상태다. 롯데정밀화학 관자는 "주문이 밀리면 자동으로 멈추는 시스템"이라며 "내년 3월까지 재고 물량이 충분하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어 중국 규제 지속 시 방안에 대해선 '중동 쪽 수입물량이 중국 수입 물량을 대체가능하다"며 "전체 판매량에서 온라인 판매량은 1% 밖에 되지 않아 도매상 통한 공급에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9월 초 중국 최대 화학비료 수출입 업체인 중눙그룹홀딩스가 중국 내 비료 공급과 가격 안정을 이유로 "요소 수출량을 적극적으로 줄이겠다""고 발표하고 외신 보도를 통해 국내에서 '제2의 요소수 대란' 우려가 불거졌을 때도 "문제없다"며 여론 진화에 나선 바 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중국 세관이 한국으로의 요소 수출 통관을 돌연 보류하면서 '요소수 대란' 재발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5일 오후 서울 서초구 만남의광장 주유소에 요소수가 진열되어 있다. 2023.12.05 mironj19@newspim.com 정부는 또 다시 진화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국무조정실·기획재정부·외교부·환경부 등은 전날 정부-업계 합동 요소 공급망 대응 회의를 열어 "정부와 업계가 함께 차량용 요소 수급 안정화를 위해 신속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달 말 중국 관세청인 해관총서가 롯데정밀화학, 금성이앤씨 등 국내 차량용 요소수 제조업체들의 중국산 요소 수입을 중단한 데 따른 것이다.  2년전 '요소수 대란'에도 불구하고 중국산 요소 수입 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점은 정책적 과오라는 평가도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중국산 비중은 2021년 '요소수 대란' 이후 수입 다변화로 72%까지 낮췄지만 가격 경쟁력 등을 이후로 90%대까지 다시 복귀한 상황이다. 다만 정부는 추가 비축분(3개월 분)을 확보하고 있는 만큼 과거와 같은 공급 대란을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aaa22@newspim.com 2023-12-05 09: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