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산업 자동차

속보

더보기

완성차업계, 4월 '신차 효과'로 방긋…르노코리아만 울었다

기사입력 : 2023년05월02일 17:36

최종수정 : 2023년05월02일 17:36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그랜저 9997대 판매되며 4월 최다 판매
토레스·트랙스 앞세운 KG 모빌리티·GM도 '방긋'
르노코리아, 내수·수출 모두 전년비 감소

[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 완성차업계의 4월 실적이 신차 효과에서 갈렸다. 현대자동차와 기아, GM, KG모빌리티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판매량이 늘어난 반면 르노코리아자동차는 유일하게 판매량이 줄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 4월 국내 6만6660대, 해외 26만9552대 등 전 세계 시장에서 총 33만6212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국내 판매 12.2%, 해외 판매 7.6%가 증가하고, 전체 8.5%가 늘어난 수치다.

현대차의 내수 실적은 지난해말 출시된 그랜저가 견인했다. 그랜저는 9997대가 판매되며 세단과 RV 모델을 합쳐 4월 베스트셀링카에 올랐다.

현대자동차 '디 올 뉴 그랜저' [사진=현대차]

세단은 그랜저 뒤를 이어 아반떼가 5278대, 쏘나타가 2232대, 아이오닉6가 1316대 판매됐다.

RV는 투싼이 4112대로 가장 많이 판매됐고 팰리세이드가 4096대, 코나가 4048대, 캐스퍼가 3420대, 싼타페가 2774대, 아이오닉5가 2123대 순으로 뒤를 이었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G90 1023대, G80 4573대, GV80 2916대, GV70 2766대 등 총 1만2187대가 팔렸다. 현대차는 4월 해외 시장에서 전년 동월보다 7.6% 증가한 26만9552대가 판매됐다.

현대차는 싼타페 완전변경 모델과 아이오닉5의 고성능 모델 아이오닉5 N 등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기아는 지난 4월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4만9086대, 해외 20만9945대, 특수 493대 등 전년 동기 대비 8.3% 증가한 25만9524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국내는 1.8% 감소했지만 수출은 10.9% 늘어난 수치다.

스포티지는 4월 한 달 간 글로벌 시장에서 4만3645대 판매되며 최다 판매 모델에 올랐다. 셀토스가 2만6301대, 쏘렌토가 1만8975대로 뒤를 이었다.

국내 시장에서는 국내 SUV 최강자인 쏘렌토가 6835대로 가장 많이 판매됐다. 뒤이어 카니발이 6481대, 스포티지 6282대, 셀토스 4119대로 대부분의 SUV 모델이 4000대 이상 판매됐다. 순수 전기차인 EV6 2694대를 포함해 RV 모델은 총 2만9489대가 판매됐다.

스포티지 [사진=기아]

세단은 레이 4158대, K8 4011대, K5 2739대, 모닝 2164대 등 총 1만4225대가 판매됐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반도체 부품 수급 차질 현상이 점진적으로 완화되며 생산 물량 증가로 공급 확대가 지속 중"이라며 "SUV 및 친환경차 중심의 믹스 개선을 동반한 양적 성장을 통해 수익성 향상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KG 모빌리티와 GM 한국사업장(한국지엠)도 만족스러운 4월 판매 실적을 받아들었다.

KG모빌리티는 지난 4월 내수 5583대, 수출 4346대를 포함해 총 9929대를 판매했다. 전년 동기 대비 21.6% 늘어난 수치다.

이에 대해 고물가와 고금리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으로 인해 전월 대비 판매량은 줄었지만 토레스 호조세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22%, 누계 대비 43.4% 증가했다는 것이 KG모빌리티 측 설명이다.

내수는 토레스가 상승세를 이끌며 전년 동월 대비 15.4%, 늘었다. 토레스는 3553대가 판매되면서 지난해 7월 출시 후 누적 판매 4만2889대로 4만대를 돌파했다.

수출 역시 헝가리, 벨기에, 칠레 등으로의 판매가 늘며 3월에 이어 4000대 판매를 넘어섰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31.7% 늘었다.

트랙스 크로스오버 [사진= GM]

GM은 4월 한 달 동안 총 4만1233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기 대비 108.4% 판매량이 증가했다.

4만1233대는 지난 2020년 12월 이후 최대 월간 판매 실적이며 10달 연속 전년 동기 대비 상승한 것이다.

4월 해외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113.9% 증가한 총 3만6003대를 기록하며 13달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다.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는 4월 한 달 동안 총 2만2693대가 해외 시장에 판매되며 전년 동월 대비 판매량이 183.6% 증가했다.

트랙스 크로스오버 역시 4월 한 달간 글로벌 시장에서 1만3310대 판매되며 해외 판매 실적을 견인했다.

GM의 4월 내수 판매는 총 5230대로 전년 동기 대비 77.2% 증가했다. 특히 트랙스 크로스오버는 3월부터 고객 인도를 시작해 4월 한 달 동안 총 3072대가 판매되며 내수 실적을 견인했다.

여기에 주요 수입 제품인 콜로라도, 트래버스, 볼트 EUV의 4월 판매도 전년 동기와 비교해 모두 판매량이 늘었다.

르노코리아는 완성차 5개사 중 유일하게 전년 동기 대비 판매량이 줄었다. 르노코리아는 지난 4월 한 달 간 내수 1801대, 수출 7779대로 9580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2.8% 줄어든 수치다.

지난달 반등했던 수출은 다시 줄었다. 르노코리아의 4월 수출은 7779대로 전년 동기 대비 56.8%로 줄었다. 이는 선적 스케줄 조정에 따른 일시적 영향이라는 것이 르노코리아 측의 설명이다.

XM3(수출명 르노 아르카나)는 E-TECH 하이브리드 2037대를 포함 5588대 선적됐으며 QM6(수출명 르노 꼴레오스)는 2177대가 수출됐다.

XM3 [사진= 르노코리아자동차]

origi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공무원 당직제' 76년만에 전면 개편 [세종=뉴스핌] 김범주 기자 = 1949년 도입된 공무원 당직 제도가 76년만에 처음으로 전면 개편된다. 무인 전자경비장치 등 도입 여부에 따라 재택당직을 적극 도입하고, 인공지능(AI) 민원응대 시스템도 도입된다. 인사혁신처는 이 같은 내용을 반영한 '국가공무원 복무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한다고 24일 밝혔다. 당직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AI 당직 민원 시스템을 통한 신속한 민원응대가 이번 개정안의 핵심이다. 이번 개정안은 크게 재택당직 확대, 상황실 중심 당직 전환, 통합당직 운영, 인공지능 민원응대 도입 및 소규모 기관 당직 감축 등 4가지 측면에서 추진된다. 지방자치단체 당직근무 유형 예시[제공=인사혁신처] 우선 무인 전자경비장치와 통신체계가 마련된 기관의 경우, 인사처나 행정안전부와의 사전 협의 절차 없이 자율적으로 재택당직을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또 기존 2~3시간이었던 사무실 대기시간은 1시간으로 단축된다. 외교부, 법무부 등 24시간 상황실을 운영하는 기관은 기존 당직실 대신 상황실에서 당직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조정된다. 당직 부담이 큰 기관은 인력 보강이나 인원 조정이 가능하게 했다. 같은 청사나 인접 지역에 위치한 여러 기관은 협의를 통해 당직 운영을 '통합'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전청사 내 8개 기관이 각각 1명씩 당직을 서던 기존 방식 대신, 앞으로는 3명의 통합당직 근무자가 8개 기관을 관리하는 방식이다. 야간이나 휴일에 전화 민원이 빈번한 기관에는 AI 당직 민원 시스템이 도입된다. 민원은 국민신문고로 연계하고, 화재나 범죄는 119·112 신고로 연결된다. 긴급 사안은 당직자에게 직접 연결되는 시스템이 도입된다. 이외에도 24시간 상황실 운영 기관의 일반 당직이 폐지되면 공무원들이 본연의 업무에 더욱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사처는 연간 약 169억~178억원 규모의 예산 절감 효과와 함께 356만 근무시간이 추가 확보될 것으로 전망했다. 최동석 인사처장은 "시대 변화에 맞지 않는 비효율적인 당직 제도는 공무원들의 불필요한 업무 부담을 가중하고 공직 활력을 저해하는 요인"이라며 "실태조사와 현장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 만큼, 공무원들이 업무에 더욱 집중하고, 국민에게 보다 질 높은 행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wideopen@newspim.com 2025-11-24 12:00
사진
카카오톡 '친구탭'-목록형 중 택일 [서울=뉴스핌] 남정훈 기자 = 카카오톡의 대표 기능 중 하나인 '친구탭'이 다음 달부터 기존의 목록형 방식 UI(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다시 이용 가능해질 전망이다. 23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내부 테스트를 거쳐 다음 달 정식 업데이트에서 두 가지 UI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현재 적용돼 있는 소셜미디어형 친구탭과, 기존처럼 단순하게 친구 목록만 표시되는 목록형 UI 중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지난 9월 경기도 용인 카카오AI캠퍼스에서 열린 'if(kakao)25' 컨퍼런스 현장.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기조연설을 통해 카카오톡 개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양태훈 기자] 당초 업계에서는 카카오가 이달 안에 기존 UI 복구를 마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지만, 카카오는 안정성 확보 및 일부 기능 보완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업데이트 시점을 한 달가량 늦춘 것으로 전해졌다. 친구탭 개편은 지난 9월 23일 열린 개발자 행사 '이프 카카오(if(kakao)25)'에서 공식 공개됐다. 당시 홍민택 카카오 최고제품책임자(CPO)는 "프로필이 단순한 정보 표시에서 벗어나 개인의 취향과 일상을 담아내는 형태로 확장될 것"이라며 새로운 방향성을 강조했다. 하지만 개편 직후 사용자 불만이 급격히 늘었다. 피드 형식의 화면이 메신저 본래 기능과 맞지 않는다는 의견과 함께 광고 노출이 지나치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실제로 개편 이후 카카오톡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이용자 평점이 1점대까지 떨어지는 등 서비스 신뢰도에도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 이용자 불만이 이어지자 카카오는 결국 연내에 기존 UI를 되돌리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 역시 이달 7일 3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이용자 의견을 바탕으로 친구탭 개편을 포함한 전반적인 서비스 개선을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언급하며 기존 방향 수정 의지를 재확인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올해 4분기 내 목록형 친구탭을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하겠다는 계획은 변함이 없다"라며 "이용자 편의성 강화를 위해 다양한 의견을 계속 수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wcn05002@newspim.com 2025-11-23 14:21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