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부산지역 중소상공인들이 부산시의 지역화폐인 동백전 관련 예산 삭감을 정면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사)중소상공인살리기협회는 22일 오후 2시 부산시의회 3층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코로나19 장기화로 중소상공인 및 자영업자들이 위기를 맞으면서 탈출구로 여기지던 정책이 지역화페 정책"이라고 지적하며 "부작용과 문제점이 노출됐지만 개선해 나가야 하는데 예산을 삭감하려하고, 부산시 동백전 예산도 500억원 밖에 책정되지 않았다"고 질타했다.
![]() |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사)중소상공인살리기협회는 22일 부산시의회 3층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동백전의 예산 증대와 활성화를 부산시에 요구하고 있다. 2022.11.22 ndh4000@newspim.com |
협회는 "부산시는 동백전이 출범한지 3년이 돼가고 있지만 동백전 가맹점에 대한 제대로 된 심층조사를 시행한 적이 없다"고 꼬집으며 "이에 우리가 동백전 746곳을 대상으로 동백전 가맹점 설문조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협회는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91.1%'가 가맹점이 동백전이 필요한 정책이라고 동의했으며, 동백전 충전한도 및 인센티브 축소 후 가맹점 '88.7%' 매출이 감소했다.
동백전이 유지되기 위한 최소한의 인센티브를 묻는 질문에 '10%'라고 응답한 비율은 '77.8%', 충전가능한도와 인센트브를 묻는 질문에는 '100만원/10%'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51.4%'로 확인됐다.
인센티브 지원비율과 월별 결제한도 중 선호하는 정책을 문는 질문에는 소비자는 '인센티브의 비율을 높이는 것'에 대한 답변이 '64.4%', 판매자는 '월별 결제한도를 높이는 것'에 대한 답변에는 '63.9%'로 사용자와 수혜자 입장에 따른 차이가 드러났다.
협회는 "동백전이 발행되고 동백전에 대한 홍보가 인센티브로만 강조돼 왔음을 반증하는 결과"라며 "지역화폐로써 지역공동체에 대한 홍보가 전혀 없었으며, 소비자 입장과 판매자 입장에서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결국 충전한도 및 인센티브 위주의 방식에서 벗어나 동백전내에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으로 보완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며 "동백전의 지속성을 담보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긍적적 효과를 창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동백점 가맹점이 추가 수수료 2%정도를 부담해 고객에게 더 많은 인센티브를 주게 만드는 마케팅 방안에 대해 응잡자의 83.7%가 부산시의 정책내용에 따라 참여할 것이라고 답했다"면서 "그 중 30.8%는 해당 운영정책운영 시 적극적으로 참여할 의사를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협회는 "가맹점들이 동백전을 통해 추가 매출을 올릴 수 있다면 추가 인센티브 부담은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가맹점들의 매출을 올릴 수 있고 소비자에게 혜택을 많이 줄 수 있게 만드는 메케팅 수단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기 떄문에 부산시의 조속한 시행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ndh40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