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11/5 중국증시종합] 상하이종합 1%↓, 메타버스·베이징거래소株 강세

기사입력 : 2021년11월05일 17:15

최종수정 : 2021년11월05일 17:16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3대 지수 하락 마감, 3500선 하회
석탄·전력 등 섹터 약세
상하이·선전 거래액 11거래일째 1조 위안선

상하이종합지수 3491.57 (-35.30, -1.00%)

선전성분지수 14462.62 (-92.65, -0.64%)

창업판지수 3352.75 (-9.50, -0.28%)

[서울=뉴스핌] 조윤선 기자 =5일 중국 A주 3대 지수가 하락 마감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 내린 3491.57포인트로 다시 3500선 아래로 밀려났다. 선전성분지수는 0.64% 하락한 14462.62포인트로, 창업판지수도 0.28% 떨어진 3352.75포인트로 장을 마감했다.

상하이와 선전 양대 증시 거래액은 1조 1511억 위안으로 지난달 22일부터 11거래일 연속 1조 위안을 돌파했다.

해외자금은 유출세가 우위를 점했다. 이날 북향자금(北向資金·홍콩을 통한 A주 투자금)은 5억 9900만 위안의 순매도를 기록했다. 후구퉁(滬股通, 홍콩 및 외국인 투자자의 상하이 증시 투자)을 통한 거래는 19억 9400만 위안의 순매도를, 선구퉁(深股通, 홍콩 및 외국인 투자자의 선전 증시 투자)을 통한 거래는 13억 9500만 위안의 순매수를 기록했다.

[그래픽=텐센트증권] 11월 5일 상하이종합지수 주가 추이.

전 거래일에 이어 메타버스 테마주가 계속해서 강세를 연출했다. 대표적으로 미성문화(002699), 역상전시(002751), 카이저컬처(002425), 가창시신(佳創視訊·300264) 등 다수 종목이 상한가로 거래를 마쳤고 금과문화산업(300459)이 6% 이상 급등 마감했다.

최근 페이스북을 비롯한 바이두, 텐센트 등 빅테크 기업들이 메타버스 사업 관련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중국 최대 통신장비 업체인 화웨이(華為) 역시 메타버스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화웨이는 최근 최첨단 증강현실(AR) 애플리케이션인 '사이버버스(Cyberverse)'를 소개했다. 5G 네트워크·5G 기기·AR 기술 등이 융합된 사이버버스는 숲이나 우주 공간 등 환경을 생동감 있게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몰입감 있는 가상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화웨이의 참여가 가상·증강현실(VR·AR) 산업의 성숙을 촉진할 것이며, 관련 산업사슬에 포진한 기업들이 성장 기회를 맞이할 것으로 전망했다.

해당 소식이 전해진 후 5일 중국 증시에서는 화웨이의 독자 개발 운영체제(OS)인 훙멍(鴻蒙·하모니) 테마주도 들썩였다. 성매과기(300598)가 7% 이상, 윤화소프트웨어(300339)가 6% 가까이, 초도소프트웨어(300036)와 몽망과기(002123)가 4% 이상 급등 마감했다.

베이징증권거래소 테마주도 두드러진 상승세를 나타냈다. 북위통신(002148), 창업다크호스(創業黑馬·300688), 경투발전(京投發展·600683)이 상한가로 거래를 마쳤고 중관촌과기(000931)와 북경전자성투자개발(600658)이 각각 6%, 5% 가까이 상승 마감했다.

베이징증권거래소가 오는 15일 정식 출범할 것이란 소식이 해당 섹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는 지난달 30일 베이징증권거래소의 주식발행 및 융자, 지속적 감독, 거래소 관리 등 기초적인 제도 시스템을 마련했고, 해당 제도가 오는 15일부터 정식 시행된다고 밝혔다. 업계는 이를 '베이징거래소가 15일에 개장한다'는 의미로 해석했다.

재신증권(財信證券)은 베이징증권거래소 출범이 장기적으로 증권사와 벤처투자 기업에 호재가 될 것이며 증권사의 투자은행(IB), 자산관리(WM) 관련 업무 및 신삼판 매매수수료 등 관련 시장이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밖에도 친환경차, 고량주, 5G 섹터 등이 강세를 나타냈다. 반면 전력, 석탄, 철강 등 섹터는 약세를 연출했다.

그중 기중에너지(000937)와 란화과창(600123)이 6% 이상, 산서석탄국제에너지(600546)가 5% 이상 급락 마감하는 등 석탄 섹터는 5일에도 약세를 이어갔다.

천풍증권(天風證券)은 당국의 공급 보장과 가격 제한 조치가 강화되는 가운데, 석탄 증산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고 수입 석탄 가격도 내리기 시작했으며, 석탄 재고도 다소 늘어났다고 진단했다. 전체적으로 무연탄 수급 긴장 사태는 잠시 일단락됐지만, 낮은 수준의 재고가 회복되기까지는 시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해커에 행정망 뚫렸다...국정원 "피해사실 확인"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해커집단으로 추정되는 세력이 온나라시스템을 비롯한 정부 행정망에 침투해 자료를 열람한 것으로 파악됐다. 국가정보원은 17일 보도자료를 통해 공공부문 및 민간업체의 해킹피해 상황을 전하면서 "지난 7월 온나라시스템 등 공공ㆍ민간분야 해킹 첩보를 사전에 입수, 행안부 등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정밀 분석을 실시해 해킹 사실을 확인하고 추가피해 방지를 위한 대응에 적극 나섰다"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국정원이 17일 정부행정망 온나라시스템에 대한 해킹 피해 사실을 공개하면서 설명을 위해 제공한 해커들의 침투 개요도. [사진=국정원] 2025.10.17 yjlee@newspim.com 국정원은 "해커는 먼저 다양한 경로로 공무원들의 행정업무용 인증서(GPKI)ㆍ패스워드 등을 확보한 것으로 보이며, 인증체계를 면밀히 분석한 뒤 합법적 사용자로 위장해 행정망에 접근한 것으로 밝혀졌다"며 "이후 인증서(6개) 및 국내외 IP(6개)를 이용해 2022년 9월부터 올해 7월까지 행안부가 재택근무를 위해 사용하는 원격접속시스템(G-VPN)을 통과, 온나라시스템에 접속해 자료를 열람했다"고 밝혔다. 점검 결과, 정부 원격접속시스템에 본인확인 등 인증체계가 미흡하고 온나라시스템의 인증 로직이 노출되면서 복수기관에 접속이 가능하였고 각 부처 전용 서버에 대한 접근통제가 미비한 것이 사고원인으로 드러났다. 이에따라 국정원은 해커가 악용한 6개 IP주소를 全 국가ㆍ공공기관에 전파ㆍ차단하는 등 해커의 접근을 막는 긴급 보안조치를 단행했다. 또 △정부 원격접속시스템 접속시 ARS 등 2차 인증 적용 △온나라시스템 접속 인증 로직 변경 △해킹에 악용된 행정업무용 인증서 폐기 △피싱사이트 접속 추정 공직자 이메일 비밀번호 변경 △각 부처 서버 접근통제 강화 △소스코드 취약점 수정 등의 조치를 통해 추가 해킹 가능성을 차단했다고 국정원은 설명했다. 다른 부처에도 해킹 정황은 드러났다. 국정원은 "A 부처 행정메일 서버 소스코드 노출이 확인되었는데 해킹에 악용될 우려가 있어 개발업체와 함께 소스코드를 분석해 보안이 취약한 것으로 판단되는 부분을 수정했다"며 "또 일부 패스워드가 노출된 B 부처 행정업무용 인증서(GPKI)의 패스워드를 변경했다"고 밝혔다. 서울 내곡동 국가정보원 본부 청사와 원훈석 [뉴스핌 자료사진] 해커가 구축한 피싱사이트에 접속한 것으로 보이는 180여개의 공직자 이메일 계정에 대해서도 해킹 가능성에 대비해 전체 비밀번호를 변경했으며 현재까지 이로 인한 별다른 피해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국정원은 전했다. 또 민간의 경우 서버인증서 노출, 원격관리시스템(VPN) 접속 페이지 노출 등의 피해가 있어 해당업체에 위험성을 통보, 보안조치를 요청했으며 통신업체에 대해서는 과기정통부가 피해여부를 별도로 확인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사태의 배후와 관련 국정원은 "미국 해커 잡지인 '프랙'은 이번 해킹을 자행한 배후로 북한 '김수키' 조직을 지목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금번 해킹에서 확인된 해커 악용 IP주소 6종의 과거 사고 이력, GPKI 인증서 절취 사례 및 공격방식ㆍ대상의 유사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중이지만 현재까지 해킹소행 주체를 단정할만한 기술적 증거는 부족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또 "해커가 한글을 중국어로 번역한 기록, 대만 해킹을 시도한 정황 등이 확인 되었지만 국정원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해외 정보협력기관 및 국내외 유수 보안업체와 협력해 공격 배후를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창섭 국정원 3차장은 "온나라시스템 등 정부 행정망은 국민의 생활과 행정 서비스의 근간인 만큼, 진행중인 조사를 조속히 마무리하고 재발방지를 위한 범정부 후속대책을 마련해 이행할 계획"이라고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yjlee@newspim.com 2025-10-17 13:31
사진
전 프로야구 선수 조용훈, 생방송 중 추락사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국가대표 출신 전직 프로야구 선수 조용훈(37)씨가 경기 부천시의 한 아파트 옥상에서 추락해 숨졌다. 17일 경기 부천 원미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24분께 부천시 원미구 소재 아파트 옥상에서 조씨가 추락했다는 신고가 112에 접수됐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당국은 현장에서 이미 숨진 조씨를 발견해 경찰에 인계했다. 119 구급차. 사진은 기사와 무관. [사진=뉴스핌 DB] 조씨는 사고 당시 유튜브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던 중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방송 중 옥상에서 이상 행동을 보이자 이를 지켜보던 시청자들이 즉각 경찰에 신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씨는 2006년 투수로 현대 유니콘스에 입단해 넥센 히어로즈 등에서 활약했으며, 2014년 은퇴했다. 은퇴 후에는 유튜버로 활동해왔다. 경찰은 범죄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정확한 사망 경위를 조사 중이다. dconnect@newspim.com 2025-10-17 22:07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