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글로벌정치

속보

더보기

[팬데믹 현황] 확진자 250만명 육박…WHO "일본 증가세 우려" (21일 13시38분 기준)

기사입력 : 2020년04월21일 17:00

최종수정 : 2020년04월21일 17:00

WHO "일본 추세 우려…대규모 집단 감염 단계는 아냐"
트럼프 대통령, 미국으로 이민 중단 행정명령 서명 예고

[서울=뉴스핌] 김은빈 기자 = 전 세계 코로나19(COVID-19) 확진자가 하루 사이 7만4000여명 늘어 누적 확진자 수는 250만명에 육박하고 있다. 사망자 수는 17만명을 넘겼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서태평양지국장은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는 일본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백신을 찾기 전까지는 코로나19 전염병에 적응하는 과정이 뉴노멀이 될 것이라면서, 바이러스가 돌고 있는 한 압도적인 발병 사태로부터 안전한 나라는 없다"고 경고했다. 또 성급하게 봉쇄를 완화하면 안 되고 점진적으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 내 감염자 수는 전날에도 300여명이 늘어나면서 1만2000명에 육박하고 있다. 이 같은 증가세에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에 대한 회의적인 여론도 늘고 있다. 최신 일본 내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본인의 57%는 아베 총리가 "지도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코로나19 확산과 미국 내 일자리 보호를 위해 미국으로 이민을 잠정 중단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백악관은 자세한 적용 시기 및 대상 등에 대해서는 아직 밝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로 인한 항공업계 위기도 심각해지고 있다. 호주의 2위 항공사인 '버진 오스트레일리아'는 코로나19로 인한 수요 감소로 자발적 법정관리에 돌입했다. 대형 항공사 가운데 세계 첫 파산 사례다. 노르웨이의 저가항공사인 노르웨이 에어셔틀의 스웨덴·덴마크 법인도 파산을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시스템사이언스 시스템사이언스·엔지니어링 센터(CSSE) 코로나19 상황판에 따르면 한국시간 21일 오후 1시 38분 기준 전 세계 누적 확진자와 사망자는 각각 247만8359명, 17만59명으로 집계됐다. 하루 전보다 각각 7만4110명명, 4825명 늘었다.

국가·지역별 누적 확진자는 ▲미국 78만7901명 ▲스페인 20만210명 ▲이탈리아 18만1228명 ▲프랑스 15만6493명 ▲독일 14만7065명 ▲영국 12만5856명 ▲터키 9만980명 ▲중국 8만3849명 ▲이란 8만3505명 ▲러시아 4만7121명 등이다.

또 국가·지역별 누적 사망자는 ▲미국 4만2364명 ▲이탈리아 2만4114명 ▲스페인 2만852명 ▲프랑스 2만292명 ▲영국 1만6550명 ▲벨기에 5828명 ▲이란 5209명 ▲독일 4862명 ▲중국 4636명 ▲네덜란드 3764명 등이다.

일본 정부의 코로나19 긴급사태 선언에도 여전히 붐비는 도쿄의 지하철 개찰구. 2020.04.08 [사진=로이터 뉴스핌]

◆ WHO "일본 증가세 우려스러워"…향후 2주가 기로

가사이 다케시(葛西健) 세계보건기구(WHO) 서태평양지역 사무국 사무국장은 21일 온라인 회견을 통해 "일본내 감염자 수 증가를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가사이 국장은 "일본은 아직 대규모 도시 내 감염이 발생하는 단계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NHK에 따르면 이날 11시 53분 기준 일본 내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전일비 351명 늘어난 1만1869명이다. ▲일본 국내 확진자 1만1143명 ▲크루즈선 712명 ▲전세기 확진자 14명을 더한 것으로 집계 수치는 NHK가 각 지자체 발표를 취합한 것이다.

특히 도쿄(東京)도에서 연이어 세자리 수 확진자가 발생했다. 전날엔 102명의 추가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누적 확진자 수는 3184명으로 집계됐다. 그 외 오사카(大阪)부에서 85명, 지바(千葉)현 22명, 가나가와(神奈川)현 17명, 사이타마(埼玉)현에서 12명이 추가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처럼 감염자 수가 증가하자 일본 내 여론도 일본 정부에 회의적으로 바뀌었다. 이날 아사히신문이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아베 총리가 "지도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전체의 57%였다. 일본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53%가 "높게 평가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일본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향후 2주가 코로나19 확대 여부를 가를 중요한 시기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이날 NHK에 따르면 가쿠 미쓰오(賀来満夫) 일본 도호쿠(東北)의과약과대학 특임교수는 "앞으로 2주간 정도가 감염이 확대될지 여부를 가르는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상황에 대해 그는 "낙관할 수 있는 상태는 아니지만 일일 확자수를 보면 도쿄도에서는 전날보다 줄어드는 날이 있고, 효고(兵庫)현 등처럼 며칠 간 분명하게 감소한 지역도 나오고 있다"며 "앞으로 2주 정도의 추이가 긴급사태 선언에 따라 우리들(일본인)의 행동이 바뀌었는지 평가를 내릴 중요한 기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가쿠 교수는 향후 전망에 대해서는 "비록 한번 감염자 수가 줄었다고 해도 바이러스는 방심한 순간 감염자 수가 증가서로 바뀔 우려가 있어 제어가 대단히 어렵다"고 말했다.

또 그는 이어 "5월 6일에 긴급사태선언을 한번에 해제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라며 "유행상황을 보면서 연장하거나 단계적으로 해제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말했다.

[워싱턴 로이터=뉴스핌] 이홍규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 코로나19(COVID-19) 대응 태스크포스(FT)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옆에서 그의 발언을 듣고 있다. 2020.04.19 bernard0202@newspim.com

◆ 트럼프 "미국으로 이민중단 행정명령 발동"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코로나19(COVID-19) 사태 대응과 미국 내 일자리를 보호하기 위해 미국으로의 이민을 잠정 중단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위터에 "보이지 않는 적의 공격과 우리의 위대한 미국 시민의 일자리를 보호해야 할 필요성을 고려해 미국으로의 이민을 잠정 중단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적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보이지 않는 적'은 코로나19를 언급한 것으로 풀이된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런 결심을 하게 된 배경, 적용 시기 및 대상, 법적 근거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내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프랑스와 독일 등 유럽 '솅겐 지역' 26개 국가와 영국과 아일랜드, 그리고 중국 등에서 지난 2주 동안 체류한 외국인의 입국을 금지하고 있다.

지난달 중순에는 전 세계 대부분 국가에서 이민 및 비(非)이민 비자 발급을 포함한 모든 일상적인 비자 발급 업무를 중단했다. 다만 비상(emergency) 비자 발급은 계속해왔다. 의료 전문가에 대한 비자 발급에 대해서도 열려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최근에는 인력난으로 농작물 수확에 어려움을 겪는 미국 농가를 지원하기 위해 임시 H2A비자 규정을 완화, 관련 농가가 근로자를 고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로이터는 설명했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미국 동부시간 21일 오전 1시 220 기준 미국 내 누적 확진자는 78만459명, 누적 사망자는 3만7793명이다. 존스홉킨스대학의 CSSE 집계치와는 차이가 있다.

주(州)별 확진자는 ▲뉴욕 24만7543명(이하 사망 1만4347명) ▲뉴저지 8만8806명(4377명) ▲메사추세츠 3만9643명(1809명) ▲펜실베이니아 3만4005명(1366명) ▲캘리포니아 3만3862명(1223명) ▲미시건 3만1927명(2466명) ▲일리노이 3만1508명(1359명) ▲플로리다 2만7050명(822명) ▲루이지애나 2만4523명(1328명) ▲텍사스 2만45명(523명) 등이라고 NYT는 전했다.

[시드니 로이터=뉴스핌] 오영상 전문기자 = 버진 오스트레일리아의 항공기. 2020.04.21 goldendog@newspim.com

◆ 호주 '버진항공' 법정관리...항공대기업 코로나 파산 1호

 호주 2위 항공사인 '버진 오스트레일리아'가 코로나19로 인한 수요 감소를 견디지 못하고 자발적 법정관리에 돌입했다. 전 세계 대형 항공사 가운데 코로나19로 파산한 첫 사례라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21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버진항공은 전부터 실적 부진에 빠져 있었지만, 코로나19에 의한 항공 수요 급감에 추가타를 얻어맞았다"고 지적했다.

자발적 법정관리란 호주의 기업 파산 절차 중 하나로 기업이 부채를 상환할 수 없다고 판단했을 때 선언한다. 이사회에서 임명한 법정관리인이 회생 방안을 강구한다. 버진항공은 대형 회계법인 딜로이트의 간부 4명을 지명했다.

버진항공의 부채 총액은 약 50억호주달러(약 3조9000억원)이다. 회사는 호주 정부에 14억호주달러를 지원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버진항공은 영국 '버진 레코드'를 창업한 리처드 브랜슨이 이끄는 버진그룹의 호주 자회사로 설립됐다. 2000년 호주 국내선에 진출해 저가를 무기로 노선을 적극 확대해 왔다.

하지만 저가항공사(LCC)들과 치열한 가격 경쟁을 벌이면서 경영이 악화됐다. 지난해 6월 결산까지 7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노르웨이의 LCC '노르웨이 에어셔틀'도 20일(현지시간) 스웨덴과 덴마트의 4개 법인이 파산을 신청했다고 발표했다. 노르웨이 사업은 정부의 휴업 지원책으로 멈춰 있는 상태지만 사실상 파산 상황에 있다.

에어셔틀은 스웨덴과 덴마크 정부에 구제 금융을 요청했지만 불발되면서 사업 단념을 결정했다. 에어셔틀의 파산으로 인해 스웨덴과 덴마크에서는 약 4700명이 일자리를 잃게 됐다.

에어셔틀은 유럽과 미국을 연결하는 저가 노선으로 인기를 끌었지만, 코로나19에 의한 전 세계적인 이동제한 조치 등에 직격탄을 맞았다. 제이콥 쉬램 CEO는 "코로나19는 항공 업계에 전례 없는 타격을 주고 있다"고 토로했다. 

kebj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부지법 난동' 4명 오늘 선고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지난 1월 서울서부지법 난동 사태 당시 언론사 취재진을 폭행하거나, 법원에 난입하는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들에 대한 법원의 선고가 16일 내려진다. 서울서부지법 형사합의11부(재판장 김우현)는 이날 오전 10시 우 모 씨 등 4명의 선고기일을 연다. 지난 1월 19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방법원 청사 유리창과 벽면이 파손되어 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 구속영장이 발부되자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서울서부지법에 난입해 유리창을 깨고 집기를 훼손하는 등 난동을 부려 경찰이 강제진압에 나섰다. [사진=뉴스핌 DB] 우 씨는 지난 1월18일 서부지법에서 취재 중이던 MBC 취재진에게 가방을 휘둘러 전치 2주의 상해를 입힌 혐의를 받는다. 남 모 씨와 이 모 씨는 시위대를 법원 밖으로 이동시키려던 경찰을 폭행한 혐의(공무집행방해 등)를 받는다. 안 모 씨는 서부지법 경내에 들어간 혐의(건조물침입)다. 지난 30일 결심공판에서 검찰은 우 씨, 남 씨, 이 씨에게 징역 1년 6개월, 안 씨에게 징역 1년을 구형했다. 피고인들은 모두 죄를 반성하며 선처를 호소했다. 앞서 '서부지법 난동' 첫 판결이 나온 지난 14일, 서부지법 형사6단독 김진성 판사는 특수건조물침입 등 혐의를 받는 김 모 씨와 소 모 씨에게 징역 1년 6개월과 징역 1년을 각각 선고했다. chogiza@newspim.com 2025-05-16 07:26
사진
사직 전공의 복귀 수요조사 마무리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대한수련병원협의회가 정부에 전공의 복귀를 위한 '5월 추가 모집'을 공식 건의할 예정이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공의 수련병원 단체인 대한수련병원협의회는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복귀 희망 여부를 조사한 설문 결과를 마무리했다.  복지부는 지난 7일 이달 중 복귀를 원하는 사진전공의를 대상으로 복귀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전공의 수련은 3월과 9월에 각각 상·하반기 일정을 게시한다. 만일 사직전공의가 하반기 모집에 맞춰 복귀하면 다음 해 2월에 실시되는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이에 일부 사직 전공의들이 복귀할 방안을 요구했고, 복지부가 추가 모집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다만 복지부는 복귀 의사가 확인돼야 추가 모집을 검토하겠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정부가 복귀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는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추가 모집을 실시할 예정이다. 사진은 6일 서울시내 한 대학병원의 의료진 모습. 2025.02.06 yooksa@newspim.com 이에 따라 수련병원협의회는 사직 전공의 복귀 의사를 파악하기 위해 지난 8일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에 참여한 전공의 중 절반가량은 '조건부 복귀'를 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5월 복귀 시 수련 인정,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재논의, 제대 후 복귀 보장 등을 조건으로 내세웠다. 아직까지 실제 복귀 의사를 밝힌 사직 전공의는 미미한 수준이다. 앞서 대한의학회가 시행한 설문 조사에서 복귀 의사를 밝힌 사직 전공의는 300명에 불과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전국 수련 병원에서 근무 중인 전공의는 올해 3월 기준 1672명으로 지난해 전공의 집단 사직 이전 1만3531명 대비 12.4% 수준이다. 전공의 사직 이전의 50%(6765명)까지 돌아오려면 최소 5093명이 돌아와야 한다. 익명을 요청한 한 사직 전공의는 "바뀐 게 없는데 복귀하겠느냐"며 "복귀하지 않겠다는 전공의가 대부분"이라고 상황을 설명했다. 한편, 복지부는 의료 단체들의 설문 조사 결과를 받은 후 추가 모집 결정을 구체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다만 복귀 마지노선이 5월인 점을 감안해 조속히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오늘 오후 기준 전달 받은 설문 결과는 없다"며 "설문 조사 결과를 받게 되면 검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sdk1991@newspim.com 2025-05-14 17:1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