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부동산 분양

속보

더보기

올해 최고가 거래 아파트 '한남더힐' 84억..2015년부터 최고가

기사입력 : 2019년08월26일 14:38

최종수정 : 2019년08월26일 14:38

직방 빅데이터랩 분석 보고서..용산구 최고가 비중 43%
한강이남·한강이북 가격차, 실거래가 발표 이후 최고치

[서울=뉴스핌] 김성수 기자 = 올해 서울 지역 아파트 중 가장 높은 가격에 거래된 아파트는 용산구 한남동 '한남더힐'로 조사됐다.

26일 부동산정보서비스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격을 분석한 결과 올해 최고가에 거래된 한남더힐 아파트 전용면적 244㎡는 지난 1월 84억원에 거래됐다. 이는 지난 2006년 실거래가격 발표 이후 최고가다. 한남더힐은 지난 2015년 이후로 최고가 아파트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올해 거래가격 기준 상위 100위 안에 포함된 아파트는 모두 강남구, 서초구, 성동구, 용산구에 있었다. 용산구는 100위 내에 집계된 아파트 비중이 43%로 가장 높았다.

상위 100위 이내의 자치구별 거래 건당 평균가격은 △용산구 50억1591만원 △성동구 49억833만원 △강남구 43억4681만원 △서초구 40억4974만원 순이었다.

용산구는 한남더힐의 다양한 면적(전용면적 208.478㎡~244.749㎡)이 거래되며 상위 10위를 모두 차지했다. 성동구는 총 6건의 거래 중 5건이 성수동1가 갤러리아 포레였고 나머지 1건은 성수동1가 트리마제였다.

강남구는 삼성동 아이파크, 상지리츠빌카일룸, 압구정동 현대7차(73~77, 82, 85동), 현대65동(대림아크로빌)을 비롯한 다양한 단지가 포함됐다. 서초구는 반포동 반포주공1단지, 래미안퍼스티지, 아크로리버파크, 반포자이, 방배동 방배롯데캐슬로제의 총 5개 단지가 있었다.

지난 2006년 이후 거래 건당 평균가격 추이를 보면 한강이남과 한강이북의 가격차가 갈수록 벌어졌다. 지난 2011~2016년까지는 두 지역 간 가격차이가 1억5000만~1억7000만원 선을 유지했다. 하지만 지난 2017년 상반기부터 한강이남 아파트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며 격차가 2억원 이상 벌어졌고 올해에는 3억3000만원까지 차이났다.

한강이남과 한강이북의 최고 거래가격을 살펴봤을 때는 이와 양상이 달랐다. 지난 2009년 상반기까지는 한강이남 지역이 17억8000만원부터 최고 24억2000만원까지 격차를 보였다. 하지만 지난 2009년 하반~2014년 하반기까지 혼전양상을 보이다가 지난 2015년부터 한강이북 아파트가 평균 20여억원 격차를 벌이며 최고가를 기록했다.

반기별로 최고가를 기록한 아파트로는 한강이남 지역에서는 타워팰리스와 아이파크, 더미켈란을 제외하고는 20가구 미만의 소규모 고급형 아파트가 주를 이뤘다.

한강이북 지역의 최고가 아파트는 중구 장충동1가 상지리츠빌장충동카일룸과 성동구 성수동1가 갤러리아 포레를 제외하면 모두 용산구 아파트였다.

 

 

sungsoo@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특검 "尹, 구속연장 없이 기소도 검토" [의왕=뉴스핌] 김학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된 이후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출석 요구에 잇달아 불응한 가운데 15일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의 모습.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기간 연장 없이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07.15 yooksa@newspim.com   2025-07-15 14:38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