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속보

더보기

韩中日产业机器人现状 韩国使用度居首中国市场最大

기사입력 : 2019년04월10일 10:02

최종수정 : 2019년07월19일 15:57

韩国、中国和日本正在掀起一场与机器人产业有关的竞争。在产业机器人领域,韩国使用度居首,中国市场最大,日本产能领先。

【图片=网络】

据业界9日消息,日本是机器人生产大国。2017年全球产业机器人共销售38.1万台,其中56%为日本企业生产。日本专利局分析称,全球十大产业机器人专利企业中,7家来自日本。

在相当于人眼的图像传感器、感知接触强度的压力传感器以及植入机器人关节的马达技术等方面,日本占全球市场的九成以上。由于积累在产业机器人上获得的核心技术和经验,日本可将此运用至服务机器人。

即便如此,日本业界也担心,机器人产业的核心力量是否会从硬件转变为软件或人工智能算法。信息通信技术振兴中心表示,日本业界存在“在机器人制造方面取胜,但在机器人业务方面可能输给美国”的危机感。这种危机感反映在日本政府2015年发布的《机器人新战略》(以下简称《战略》)中。

《战略》提出世界机器人创造基地、世界第一的机器人应用国家和迈向世界领先的机器人时代三大核心目标。战略制定了5年计划,政府投资1000亿日元。不仅如此,日本将于明年举行夏季奥运会,政府希望借大量投入服务机器人,让本国机器人产业再次腾飞。

韩国是一个非常喜欢用机器人的国家。据国际机器人联盟(IFR)发布的数据,从机器人密度来看(2017年为准),每万名劳动者中设置机器人的数量为710台,是全球平均值(85台)的8倍左右,位居榜首。随后依次为新加坡(658台)、德国(322台)、日本(302台)和瑞典(240台)。

此外,中国成为全球最大的机器人市场。IFR发布的一项报告显示,2017年中国产业机器人市场规模位居榜首,销量为13.97万台。随后为日本(4.56万台)、韩国(3.97万台)、美国(3.32万台)、德国(2.14万台)、台湾(1.09万台)、越南(8300台)和意大利(7700台)。从销售额来看,中国以45亿美元居首,随后为北美(25亿美元)、德国(18亿美元)和韩国(6.6亿美元)。

然而专家表示,韩国在机器人制造领域仍有很长的路要走。目前,韩国没有一家可在国际市场竞争的机器人企业。也正因为如此,韩国机器人核心零部件往往需要进口。

有声音建议,韩国在培养相关领域人才方面应多效仿中国。为培养机器人人才,中国举办国际机器人奥林匹克大会(IRO),在全国开设约120所机器人相关专业职业院校,掀起一股专业学习机器人技术的热潮。从IRO选手年龄层来看,韩国选手中初高中生虽占较高水平,但中国选手中小学生比率较高,这反映早期教育的重要性。

专家分析认为,中国人才早早涉足机器人领域,若他们把目光放在融合技术,韩国不仅将很难赶超,技术差距也将愈发明显。为此,政府应出台对策,加强机器人领域人才培养,提高韩国相关产业竞争力。

记者 주옥함(wodemaya@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강선우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국회에 국방부, 국가보훈부, 통일부, 여성가족부에 대한 인사청문 보고서 송부를 재요청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금주 내에 임명을 마무리하고 신속한 국정 안정을 꾀하기 위해 기한은 오는 24일 목요일로 요청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레젭 타입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현행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는 임명동의안 등이 제출된 날로부터 20일 이내에 청문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 만약 국회가 이 기간 내에 청문보고서를 송부하지 않을 경우, 대통령은 그로부터 열흘 이내 범위에서 기한을 정해 국회에 송부를 재요청할 수 있다. 앞서 이 대통령은 논문 표절 논란이 불거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지명을 철회했으며, 보좌진 '갑질' 등 의혹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 절차를 이어가기로 했다. 강 후보자와 관련해 야당뿐 아니라 시민사회단체들로부터도 반대 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parksj@newspim.com 2025-07-22 15:52
사진
[단독] '근로감독관법' 입법 초읽기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근로감독관 직무·권한·수사권 행사 기준 등 근로감독 업무 전반에 대해 체계적인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근로감독관법 제정안이 발의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이후 근로감독관 증원 의지를 꾸준히 밝혀왔다. 이 대통령 대선 공약에는 임기 내 근로감독관을 최대 1만명까지 늘린다는 계획이 담겼다. 전문가들은 현행 근로감독에 대한 법적 근거가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과 훈령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한 만큼, 증원에 앞서 법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1일 국회에 따르면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근로감독관법 제정안 발의를 준비 중이다. 이르면 이번주 발의를 마무리하고 국회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4회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제정안은 근로감독의 내용과 감독관의 책임 및 권한 등을 명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반복 위반 및 중대한 위법행위에 대한 즉각적 수사 착수 기준을 밝히고, 정기·수시·특별감독 유형 구분과 감독결과에 대한 처리기준을 명문화했다. 근로감독행정 정보시스템 및 노동행정포털 구축 등 디지털 행정 기반 마련, 권리구제지원관 도입 등 근로감독 역량 강화를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 근거도 포함했다. 전문가들은 근로감독관 증원, 근로감독권 지방 이양 등 근로감독 관련 대통령 공약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법체계 정비가 먼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현행 법체계를 보면 근로감독관에 대한 법적 근거는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인 '근로감독관 규정'이 가장 상위 법령이고, 그 아래 시행규칙인 '근로감독관증 규칙'과 훈령 '근로감독관 집무규정'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하다. 근로감독 내용과 감독관 권한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법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근로감독관 증원 및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 필요성을 반복 강조해 왔다.  이 대통령는 지난 10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과 이를 위한 근로감독관 대폭 증원 등을 지시한데 이어, 지난 17일에는 "산업안전 업무를 담당할 근로감독관을 300명 정도라도 신속하게 충원해 예방적 차원의 현장 점검을 불시에 상시적으로 해 나가기를 바란다"며 구체적 증원 규모까지 언급했다. 이 대통령이 근로감독관 확대를 추진하는데는 근로감독관 인력 부족이 한계치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노동사건은 급격히 증가하는데 반해, 이를 조사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임금체불 등 근로기준법 분야를 다루는 근로감독관 수는 2236명으로 지난 2019년 이후 정체 현상이 뚜렷하다.  김근주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근로감독관과 더불어 이들이 2~3년마다 순환 근무하는 노동위원회 조사관의 업무가 증폭하고 있어 인원 확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근로감독) 권한 일부를 지방정부에 이양하는 등의 논의도 있다"며 "이런 부분이 현행 체제로는 가능하지 않아 법체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이번 제정안을 두고 "독자적인 근로감독법을 제정한다면 근로감독이라는 행정권한의 위상이 법적으로 확립될 것"이라며 "노동행정의 실행력이 강화될 뿐 아니라 일선 근로감독관의 전문성 제고와 집행의 일관성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7-21 18:0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