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전국 광주·전남

속보

더보기

광주시, ‘안전하고 친절한 광주만들기’ 시민운동협의회 개최

기사입력 : 2019년03월08일 16:32

최종수정 : 2019년03월08일 16:32

[광주=뉴스핌] 조준성 기자 = 광주광역시가 안전하고 친절한 광주만들기 시민운동을 본격 추진한다.

시는 8일 오전 시청 3층 소회의실에서 자치구, 경찰청, 교육청, 유관기관,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등 31명이 참석한 가운데 시민운동협의회(공동위원장 정종제 행정부시장·김갑숙 전 YWCA회장)를 개최했다.

‘안전하고 친절한 광주만들기’ 시민운동협의회 회의[사진=광주광역시]

이번 회의는 7월 광주에서 열리는 2019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의 성공 개최를 지원하고 ▲교통안전-교통사망사고 ZERO ▲친절‘안녕하세요’ 먼저 인사하기 등 2대 핵심과제를  추진키로 했다.

회의는 또 시민운동 전개와 시민참여를 위한 기관·단체 간 협조사항 등을 논의했다.

먼저 광주지방경찰청, 광주녹색어머니연합회, 어린이안전학교, (사)광주선진교통문화범시민운동본부, 광주시 버스, 택시운송사업조합 등이 ‘교통사망사고 줄이기 협업팀’을 운영하고 교통질서 준수 캠페인,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 환경 조성 등 교통약자 맞춤형 대책을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또 200여 개의 마을만들기사업 참여 단체와 50곳의 마을 소통방, 주민자치회 등 유관 단체, 안녕네트워크 등 자원봉사단체가 연계해 가정, 학교, 직장 등 일상생활 속에서 시민운동을 확산키로 했다.

정종제 행정부시장은 “올해 국제행사인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가 성공을 위해서는 시민들의 선진의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전국에서 가장 안전하고 친절한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기관·단체, 시민들이 시민운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시는 2019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를 계기로 광주가 전국에서 가장 안전하고 친절한 도시로 거듭나도록 지난해 10월부터 민·관 협의체인 ‘시민운동협의회’를 구성해 시민운동을 추진하고 있다.

 

js343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특검 "尹, 구속연장 없이 기소도 검토" [의왕=뉴스핌] 김학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된 이후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출석 요구에 잇달아 불응한 가운데 15일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의 모습.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기간 연장 없이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07.15 yooksa@newspim.com   2025-07-15 14:38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