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영섭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까지 진행하는 제3차 전파진흥기본계획의 일환으로 5G(5세대) 이동통신 주파수 추가 확보·공급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전문가 작업반을 본격 운영한다고 30일 밝혔다.
현재 이동통신용으로 확보돼 있는 700㎒, 2.3㎓, 2.5㎓ 대역 주파수는 향후 통신량 증가에 대비해 광대역 주파수로 사용하기에는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별도의 5G 주파수 등을 추가로 발굴·확보하기 위해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작업반을 운영한다.
우선, 작업반에서는 공공용 주파수와의 간섭우려로 5G 주파수 경매에서 제외된 3.4~3.42㎓ 대역의 20㎒폭에 대해 간섭분석을 통해 이동통신용 주파수로의 확보 가능 여부를 검토한다.
이를 위해 작업반은 고정 및 고정위성용으로 분배돼 있는 3.7~4.2㎓ 대역에서 기존 무선국 운용 및 주파수 이용실태 조사 등을 통해 이동통신 사용 가능성을 검토할 계획이다.
![]() |
| [사진=과기정통부] |
또한 주파수 회수 및 재배치, 주파수 분배 변경 과정에서 기존 무선국 시설자 등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및 협의·조정을 위해 쟁점사항별로 이해관계 조정 협의체를 구성·운영할 예정이다.
아울러 국제 5G 주파수 및 장비·단말 동향 등을 고려해 24㎓ 이상 대역에서도 추가 주파수 확보를 검토, 이미 이동통신용으로 활용이 가능한 700㎒, 2.3/2.5㎓대역 주파수에 대한 공급방안도 마련할 방침이다.
kimys@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