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자동차

속보

더보기

[시승기] 기아차 'K3 GT', 속도 즐기는 20대 첫 고성능차로 ‘딱’

기사입력 : 2018년11월26일 17:30

최종수정 : 2018년11월27일 06:36

2천만 원 대 부담 없는 가격, 고속 안정성 탁월

[파주(경기)=뉴스핌] 전민준 기자=기아자동차가 지난 22일 K3의 고성능버전 ‘K3 GT’를 출시했다. 기아차의 K3는 세대별로 쿠페와 왜건 등 파생모델이 나왔었는데, 이번에는 고성능이다.

고성능버전이라고 해서 프리미엄 브랜드의 고성능 차량들처럼 출력이 300마력을 넘어서는 건 아니지만, 그래도 K3 역사상 가장 강력한 모델이 등장했다. 

K3 GT.[사진=기아자동차]

기자가 K3 GT를 처음 만난 건 출시 당일 경기도 파주시 롯데프리미엄아울렛 시승행사장이었다.

K3 GT를 보자마자 ‘와~’라는 감탄사가 나왔다. 평범한 세단과 달리 날렵하게 기울어진 창문과 전용 후면등, 전용 범퍼 등을 적용해 잘 달릴 것 같은 인상을 마구 뿜어냈다.

얼른 타지 않으면 이 차가 급한 성격을 참지 못하고 기자에게 돌진해 올 것 같았다.

‘설마 그런 일이 벌어지겠느냐’ 하면서 곧장 차에 올라 속도감을 느껴보기로 했다. 이날 시승코스는 파주에서 출발해 경기도 남양주 진건 읍까지 편도 80㎞로, 80% 이상이 고속구간이다.

시동을 걸자, 머플러에서 약간의 배기음이 흘러나왔다. 밖에서 들으면 잘 들리고, 실내에서 창문을 닫으면 거의 들리지 않을 정도로 조용하다. 그러나 가속 시 확연히 달라졌다.

생각했던 것 보다 배기음이 커졌고, 속도를 올릴수록 변속 소리와 맞물려 프리미엄 고성능차에서 느낄 수 있었던 청각적 즐거움도 충분히 즐길 수 있었다.

주행모드는 총 4가지로 버튼을 통해 컴포트, 에코, 스마트를 선택할 수 있다.

기어레버를 좌측으로 당기면 스포츠모드로 전환된다. GT의 매력은 역시 스포츠모드에서 발휘된다고 생각해 자유로에 진입하자마자 스포츠모드로 전환, 가속페달을 꾹 밟았다.

K3 GT.[사진=기아자동차]

이전까지는 평범한 패밀리카 수준의 사운드를 뿜어냈는데, 스포츠 모드로 전환하자 의외의 사운드가 들려오기 시작했다. K3 GT에 적용된 전자식 사운드 제너레이터(ESG)는 실내로 들이치는 소리를 더욱 즐겁게 만들어 준다.

K3 GT에는 1.6ℓ터보 엔진과 7단 듀얼클러치변속기(DCT)가 장착돼 있다. 이 조합은 가속페달을 밟을 때마다 민첩한 변속응답성으로 답했다. 주행 부분에서는 고속에서 흔들림이 적고 차로 변경할 때의 안정적이었던 게 인상 깊었다.

또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뒷 거동이 즉각 반응했다. 코너링에서는 진입과 탈출이 자연스러웠다.

K3 GT에 탑재한 첨단 안전기능을 느끼는 것도 이 차의 매력이다.

전방 충돌방지 보조(FCA), 전방 충돌 경고(FCW)는 물론 차로 이탈 방지 보조(LKA), 차로 이탈 경고(LDW), 운전자 주의 경고(DAW), 하이빔 보조(HBA)까지 기본 사양으로 탑재했다. 특히 ADAS 기능이 인상적이었다.

수입 고성능차보다 뛰어나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차간 거리 유지나 차선 유지에 있어서 일련의 과정들을 부드럽게 구현해 냈다.

K3 GT의 가격은 4도어 ▲GT 베이직(수동) 1993만원 ▲GT 베이직 2170만원 ▲GT 플러스 2425만원이고, 5도어는 ▲GT 베이직 2224만원 ▲GT 플러스 2464만원이다. 2000만 원대로 높지 않은 가격에 일상에서 고속을 즐기고 싶은 20대에게 안성맞춤이라는 생각이 든다. 

 

minjun8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국힘 대선후보 김문수 56.53% 득표 [서울=뉴스핌] 국회사진취재단 = 국민의힘 대선후보로 선출된 김문수 후보가 3일 오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5차 전당대회에서 당직자들과 손을 들며 인사하고 있다. 2025.05.03 photo@newspim.com   2025-05-03 17:28
사진
李 파기환송심 서울고법 재판장은?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유죄 취지로 서울고법에 돌려보낸 지 하루 만에 이 후보의 파기환송심을 맡을 재판부와 첫 공판기일이 정해졌다. 서울고법은 2일 오후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파기환송심을 형사7부(재판장 이재권)에 배당했다. 또 이날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과 관련해 소환장 및 기일통지 발송에 이어, 집행관 송달을 촉탁했다. 집행관 송달은 우편송달이 되지 않을 때 진행하는 특별송달이다.  서울고법의 선거사건 전담 재판부는 형사2부, 6부, 7부 3곳인데 이 후보의 기존 항소심 재판부인 형사6부는 배당 대상에서 제외됐고 6부의 대리 재판부인 형사7부에 배당됐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노총과의 정책협약식에 참석하고 있다. 이날 대법원은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을 파기 환송했다. 2025.05.01 yooksa@newspim.com ◆ 이재권 재판장, '민주당 돈봉투' 등 사건 맡아 해당 재판부는 '민주당 돈봉투' 사건으로 기소된 이성만 전 의원과 송영길 소나무당 대표의 전 보좌관 박용수 씨 사건을 심리하고 있다. 이밖에 폐수 불법 배출 혐의를 받는 HD현대오일뱅크 사건,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사건 관련 허위 면담보고서 작성 혐의를 받는 이규원 조국혁신당 전략위원장(전 부부장 검사) 사건도 맡고 있다. 해당 재판부는 이재권(사법연수원 23기) 부장판사와 박주영(33기)·송미경(35기) 고법판사로 구성됐다. 재판장은 이 부장판사가, 주심은 송 고법판사가 맡는다. 이 부장판사는 제주 서귀포 출신으로 제주제일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대를 졸업했다. 1997년 서울중앙지법 판사로 임관한 뒤 서울행정법원 판사, 제주지법 부장판사, 수원고법 부장판사 등을 거쳐 지난해 2월부터 서울고법 부장판사로 근무하고 있다. 특히 이 부장판사는 2005년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연구심의관, 2006년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실 판사, 2021~2024년 사법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 등을 역임했다. 이용훈·양승태 전 대법원장 재임 당시인 2010년~2012년에는 대법원장 비서실 판사로도 근무했다. 박 고법판사는 서울과학고등학교와 서울대 산업공학과를 졸업했다. 2004년 서울중앙지법 판사를 시작으로 서울서부지법 판사, 수원지법 판사, 부산지법 부장판사, 의정부지법 부장판사를 역임했고 올해 2월 서울고법에 부임했다. 송 고법판사는 부산서여자고등학교와 이화여대 법학과를 졸업한 뒤 같은 대학원 법학과 석사과정을 거쳐 2006년 서울중앙지법에서 판사 생활을 시작했다. 서울남부지법 판사, 부산지법 판사, 인천지법 판사 등을 거쳐 2022년 2월부터 서울고법에서 근무하고 있다. 김명수 대법원장 시절인 2019년~2022년에는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지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노총과의 정책협약식에 참석하고 있다. 이날 대법원은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을 파기 환송했다. 2025.05.01 yooksa@newspim.com ◆ 첫 파기환송심 15일...李 불복 뒤 재상고 가능성 커 파기환송심 첫 공판기일은 오는 15일 오후 2시로 지정됐다. 이날 사건이 배당된 지 약 한 시간 만에 재판부가 기일을 지정하면서 이 후보 사건은 신속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파기환송심 선고 결과가 나오더라도 이 후보가 이에 불복해 대법원에 재상고할 것으로 보여 오는 6월 3일 대선 전 최종 판결이 나오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대법 전합은 전날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 상고심 선고기일을 열고 이 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 판결을 파기환송했다. 재판부는 이 후보가 대장동 개발사업의 핵심 실무자였던 고(故)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과 골프를 쳤다는 의혹과 관련해 '사진이 조작됐다'는 취지로 한 발언, 백현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과 관련해 국토부의 압박 내지는 협박이 있었다고 한 발언이 선거인의 정확한 판단을 그르칠 정도에 해당해 허위사실공표라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김씨를 하위직이라서 몰랐다는 발언과 함께 골프 발언을 듣는 일반 선거인으로서는 출장은 같이 갔지만 함께 간 해외줄장 기간에 골프를 치지는 않았다는 의미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된다"며 "그런데 피고인은 김씨 등과 함께 간 출장 기간에 골프를 친 것이 사실이므로 이 발언은교유행위에 관한 허위사실 공표에 해당한다"고 판시했다. 또 "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과 관련해 '국토부가 이 사건 의무조항을 들어 용도지역 변경을 압박했다'는 취지의 발언과 '국토부가 이 사건 의무조항에 따르지 않으면 직무유기를 문제 삼겠다고 협박했다'는 취지의 발언은 사실의 공표이지 단순히 과장된 표현이거나 추상적인 의견 표명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대법원 판결은 기속력이 있기 때문에 파기환송심은 이를 뒤집을 만한 중대한 증거가 새롭게 제시되지 않는 이상 대법원 판결 취지에 따라 이 후보에 대한 추가 양형 심리를 거쳐 유죄를 선고하게 된다. 이 후보의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한 1심은 의원직 상실형인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바 있다.  shl22@newspim.com 2025-05-02 18:5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