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일본

속보

더보기

[오늘의 일본 주요 뉴스] 10/25(목)

기사입력 : 2018년10월25일 08:35

최종수정 : 2018년10월25일 08:35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 아베 총리, 중국으로 출발...내일 정상회담서 '안정화' 목표/지지
安倍首相、中国へ出発=あす首脳会談、安定化目指す

- 중일, 과거의 관계악화 뛰어넘을 '제5의 정치문서' 찾는다...총리 방중/아사히
日中探る「第5の政治文書」 過去の関係悪化ふまえ 首相きょう訪中、地ならしへ

- 헤노코 이전 관련 현민투표 조례 성립...현의회가 가결·내년봄까지 실시/아사히
辺野古県民投票、条例成立へ 県議会委が可決 来春までに実施

- 후생노동성, 전자머니 급여지불 해금...'현금없는사회'로 한걸음/닛케이
給与、デジタルマネー払い解禁 脱・現金へ一歩

- 야스다, 귀국길 올라 "기쁘다"...터키남부에서 출발/지지
安田さん、帰国の途に=「うれしい」-トルコ南部を出発

- 시리아 과격무장단체 초조해졌나...내전서 궁지에 몰려 "인질이 부담됐다" 지적도/아사히
解放、過激派に焦りか シリア内戦で窮地に 「重荷になった」指摘も 安田純平さん保護

- 아베 총리, 소신표명서 구심력 유지에 부심...'남은 3년'에 의욕으로 저자세를 강조/아사히
首相、求心力維持に腐心 「残り3年」意識、低姿勢強調 所信表明

- 日야당, 입국관리법 철저히 심의한다...개헌이나 각료 자질도 추궁해 '여야연대' 과제/아사히
入管法、野党徹底追及へ 改憲や閣僚の資質も 連携には課題

- 재무성, 방위비를 5년간 1조엔 규모로 절감요구/아사히
防衛費、5年間で1兆円規模の節減要求 財務省

- 지방의사 확보 위한 의학부 '지역선발' 인원, 일부가 '일반선발'로 활용?...후생노동성 조사/아사히
医学部の「地域枠」、「一般枠」に流用か 厚労省「1割超に疑い

- 사우디에 일본 첫 은행지점 생겨...카슈끄지 사건으로 개업식은 중지/아사히
サウジに邦銀初の支店 記者殺害事件で式典は中止 三菱UFJ

- "빨대로 인한 오염? 폐기방법의 문제인데"...일본 최대 제조사, 빨대 폐기분위기에 의문/아사히
ストロー、「問題は廃棄方法なのに…」 国内シェアトップ、廃止機運に疑問

- 토요타, 신형 렉서스 발매...거울대신 카메라/아사히
新型レクサス発売 ミラー代わりにカメラ トヨタ自動車

- 가상공간에서 공연하는 가상극단 탄생, 자유로운 무대연출이 장점/아사히
バーチャル演劇、自在な舞台

- 금융청, 암호화폐 투기색을 억제...이용자보호 철저히 한다/닛케이
仮想通貨、投機色を抑制 利用者保護を徹底

- 미즈호, 2020년까지 전 거점을 은행·신탁·증권 공동점포로...원격기술 활용/산케이
みずほFG、全拠点を銀信証共同店舗に リモート技術活用

- 도쿄의과대, 본래 합격커트라인 넘었던 입학자 재입학 허가...올해 수험쳤던 50명 대상/도쿄신문
東京医大、本来合格者入学許可へ 今年の受験生50人

 

kebj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공무원 당직제' 76년만에 전면 개편 [세종=뉴스핌] 김범주 기자 = 1949년 도입된 공무원 당직 제도가 76년만에 처음으로 전면 개편된다. 무인 전자경비장치 등 도입 여부에 따라 재택당직을 적극 도입하고, 인공지능(AI) 민원응대 시스템도 도입된다. 인사혁신처는 이 같은 내용을 반영한 '국가공무원 복무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한다고 24일 밝혔다. 당직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AI 당직 민원 시스템을 통한 신속한 민원응대가 이번 개정안의 핵심이다. 이번 개정안은 크게 재택당직 확대, 상황실 중심 당직 전환, 통합당직 운영, 인공지능 민원응대 도입 및 소규모 기관 당직 감축 등 4가지 측면에서 추진된다. 지방자치단체 당직근무 유형 예시[제공=인사혁신처] 우선 무인 전자경비장치와 통신체계가 마련된 기관의 경우, 인사처나 행정안전부와의 사전 협의 절차 없이 자율적으로 재택당직을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또 기존 2~3시간이었던 사무실 대기시간은 1시간으로 단축된다. 외교부, 법무부 등 24시간 상황실을 운영하는 기관은 기존 당직실 대신 상황실에서 당직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조정된다. 당직 부담이 큰 기관은 인력 보강이나 인원 조정이 가능하게 했다. 같은 청사나 인접 지역에 위치한 여러 기관은 협의를 통해 당직 운영을 '통합'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전청사 내 8개 기관이 각각 1명씩 당직을 서던 기존 방식 대신, 앞으로는 3명의 통합당직 근무자가 8개 기관을 관리하는 방식이다. 야간이나 휴일에 전화 민원이 빈번한 기관에는 AI 당직 민원 시스템이 도입된다. 민원은 국민신문고로 연계하고, 화재나 범죄는 119·112 신고로 연결된다. 긴급 사안은 당직자에게 직접 연결되는 시스템이 도입된다. 이외에도 24시간 상황실 운영 기관의 일반 당직이 폐지되면 공무원들이 본연의 업무에 더욱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사처는 연간 약 169억~178억원 규모의 예산 절감 효과와 함께 356만 근무시간이 추가 확보될 것으로 전망했다. 최동석 인사처장은 "시대 변화에 맞지 않는 비효율적인 당직 제도는 공무원들의 불필요한 업무 부담을 가중하고 공직 활력을 저해하는 요인"이라며 "실태조사와 현장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 만큼, 공무원들이 업무에 더욱 집중하고, 국민에게 보다 질 높은 행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wideopen@newspim.com 2025-11-24 12:00
사진
카카오톡 '친구탭'-목록형 중 택일 [서울=뉴스핌] 남정훈 기자 = 카카오톡의 대표 기능 중 하나인 '친구탭'이 다음 달부터 기존의 목록형 방식 UI(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다시 이용 가능해질 전망이다. 23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내부 테스트를 거쳐 다음 달 정식 업데이트에서 두 가지 UI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현재 적용돼 있는 소셜미디어형 친구탭과, 기존처럼 단순하게 친구 목록만 표시되는 목록형 UI 중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지난 9월 경기도 용인 카카오AI캠퍼스에서 열린 'if(kakao)25' 컨퍼런스 현장.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기조연설을 통해 카카오톡 개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양태훈 기자] 당초 업계에서는 카카오가 이달 안에 기존 UI 복구를 마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지만, 카카오는 안정성 확보 및 일부 기능 보완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업데이트 시점을 한 달가량 늦춘 것으로 전해졌다. 친구탭 개편은 지난 9월 23일 열린 개발자 행사 '이프 카카오(if(kakao)25)'에서 공식 공개됐다. 당시 홍민택 카카오 최고제품책임자(CPO)는 "프로필이 단순한 정보 표시에서 벗어나 개인의 취향과 일상을 담아내는 형태로 확장될 것"이라며 새로운 방향성을 강조했다. 하지만 개편 직후 사용자 불만이 급격히 늘었다. 피드 형식의 화면이 메신저 본래 기능과 맞지 않는다는 의견과 함께 광고 노출이 지나치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실제로 개편 이후 카카오톡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이용자 평점이 1점대까지 떨어지는 등 서비스 신뢰도에도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 이용자 불만이 이어지자 카카오는 결국 연내에 기존 UI를 되돌리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 역시 이달 7일 3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이용자 의견을 바탕으로 친구탭 개편을 포함한 전반적인 서비스 개선을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언급하며 기존 방향 수정 의지를 재확인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올해 4분기 내 목록형 친구탭을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하겠다는 계획은 변함이 없다"라며 "이용자 편의성 강화를 위해 다양한 의견을 계속 수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wcn05002@newspim.com 2025-11-23 14:21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