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속보

더보기

포브스 '중국 10대 부호', 마윈 총자산 353억달러로 1위

기사입력 : 2017년07월27일 16:22

최종수정 : 2017년07월27일 16:27

[뉴스핌=황세원 기자] IT 시대에는 부자의 순위도 자주 바뀌고 하루 아침에 벼락 부자가 출현하는 일도 비일비재합니다. 모바일 혁신 시대 중국에서 가장 돈이 많은 사람은 누구일까요.

최근 발표된 포브스 선정 중국 10대 부호에 따르면 마윈 알리바바 회장이 영예의 1위를 차지했습니다. 마윈의 라이벌 마화텅 텐센트 회장과 부동산 엔터 왕국을 이끄는 왕젠린 완다그룹 회장이 각각 2위와 3위에 올랐고, 양후이옌 비구이위안 회장이 여성 기업인으로는 유일하게 명단에 이름을 올려 눈길을 끌었습니다. 중국의 부(富)를 대표하는 최고의 부자 10인을 함께 살펴보시죠.

◆ 마윈(马云) 알리바바(阿里巴巴) 회장

나이: 52세 (출생: 1964년 9월 10일생)

총자산: 353억달러

중국 최고 부자 1위를 차지한 영광의 주인공은 바로 마윈(馬雲) 알리바바(阿裏巴巴) 회장입니다.

1988년 항저우 사범대학을 졸업하고 영어 교사로 몇 년간 일하던 마 회장은 1999년 동료 17명과 함께 알리바바(阿裏巴巴)를 설립했습니다. 인터넷 열풍을 바탕으로 승승장구한 알리바바는 2007년 11월 홍콩 증시, 2014년 9월 뉴욕 증시에 입성했는데요. 알리바바는 뉴욕 증권거래소 상장 3년만에 시총 3842억달러 기업으로 성장하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습니다. 현지 매체에 따르면 현재 마 회장의 자산 규모는 무려 353억달러에 달한다고 합니다.

◆ 마화텅(马化腾) 텐센트(腾讯) 회장

나이: 45세(출생: 1971년 10월 29일)

총자산: 337억달러

올해 마화텅(馬化騰) 텅쉰(騰訊, 텐센트) 회장은 왕젠린 완다그룹 회장을 제치고 중국 최고 부자 2위에 올랐습니다.

마 회장은 1998년 대학 동문 장즈둥(張誌東) 등과 온라인 메신저 서비스 QQ를 출시하며 텐센트를 창업했는데요. 이후 텐센트는 2004년 6월 홍콩 증시에 상장, 시총 규모 28000억 홍콩달러의 공룡 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텐센트는 QQ와 위챗(微信, 웨이신) 등 ‘국민 메신저’를 통해 중국 모바일 시장을 재편했을 뿐만 아니라, 왕저룽야오(王者榮耀), 톈톈쿠파오(天天酷跑) 등 인기 게임 출시를 통해 명실상부 중국 최대 인터넷 서비스업체로 자리매김 했습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마 회장의 몸값은 최근 1년간 무려 75억달러가 올랐다고 합니다. 

◆ 왕젠린(王健林) 완다그룹(万达集团) 회장

나이: 62세(출생: 1954년 10월 24일)

총자산: 304억달러

2013년, 2015년, 2016년 포브스 선정 중국 최고 부호 1위에 오른 바 있는 왕젠린(王健林) 완다(萬達)그룹 회장. 올해는 마윈과 마화텅에 밀려 3위를 기록했지만 왕 회장은 여전히 중국 최고 부호 중 한명으로 꼽힙니다.

왕 회장이 이끌고 있는 완다그룹은 최근 몇 년간 사업 다각화에 나섰습니다. 35억달러에 미국 영화제작사 ‘레전더리 픽쳐스’를 인수했을 뿐만 아니라, 텐센트, 바이두 등과 함께 전자상거래 플랫폼 완다뎬상(萬達電商)을 설립하는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데요.

완다그룹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스페인) 지분을 인수하는 등 스포츠 산업에도 손을 뻗치며 중국 축구의 부흥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 쉬자인(许家印) 헝다디찬(恒大地产) 회장

나이: 58세(출생: 1958년 10월 9일)

총자산: 251억달러

중국 최고 부호 4위에는 헝다(恒大)그룹의 쉬자인(許家印) 회장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쉬 회장이 이끄는 헝다그룹은 명실상부 중국 최대 부동산 업체로 성장했는데요. 최근에는 금융, 여행,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며 종합 기업으로 변모하는 모습입니다. 산하 축구 클럽인 광저우헝다(廣州恒大)은 중국 내 뜨거운 축구 열풍을 일으킨 주역이기도 하다네요.

◆ 왕웨이(王卫) 순펑쑤윈(顺丰速运) 회장

나이: 46세(출생: 1971년)

총자산: 197억달러

중국 최고 부호 5위에는 왕웨이(王衛) 순펑쑤윈(順豐速運) 회장이 선정됐습니다. 왕웨이는 마윈이 존경하는 '택배왕'으로도 유명한데요.

1993년 22살을 갓 넘긴 왕웨이는 광둥(廣東)에서 순펑쑤윈을 설립하고 1996년부터 본격적으로 택배업에 뛰어들었습니다. 이후 왕웨이는 순펑쑤윈을 단기간 내 중국 최대 택배사로 키워내며 자신의 진면목을 증명했습니다. 2017년 순펑쑤윈은 순펑홀딩스(順豐控股)로 이름을 바꾸고 홍콩 증시에 성공적으로 입성했는데요. 현재 순펑쑤윈의 시총은 2000억 홍콩달러로, 왕웨이의 몸값도 200억달러대에 달한다고 합니다.

◆ 딩레이(丁磊) 왕이(网易) 회장

나이: 45세(출생: 1971년 10월 1일)

총자산: 179억달러

딩레이(丁磊) 왕이(網易, 넷이즈) 회장은 중국 대표 포털 사이트 신랑(新浪)의 창립자 왕즈둥(王誌東), 써우후(搜狐)의 창립자 장차오양(張朝陽) 등과 함께 ‘중국 1세대 인터넷 삼총사’로 꼽힙니다.

1997년 5월 설립한 넷이즈는 2000년 6월 미국 나스닥에 상장한 이래 게임, 해외 직구 등 분야에서 고성장세를 이어가며 승승장구 하고 있습니다. 현재 넷이즈의 시총 규모는 400억달러로, 딩레이의 몸값은 179억달러에 달한다고 합니다.

◆ 양후이옌(杨惠妍) 비구이위안(碧桂园) 회장

나이: 36세(출생: 1981년)

총자산: 156억달러

양후이옌(楊惠研) 비구이위안(碧桂園) 회장은 포브스 선정 중국 10대 부호 중 유일한 80허우이자 여성 기업가입니다.

2005년 부친 양궈창(楊國強)로부터 비구이위안 대부분의 지분을 양도 받은 양 회장은 2007년 4월 비구이위안 그룹이 홍콩 증시에 상장하면서 하루 아침에 중국 최연소 부자에 등극했는데요. 당시 양 회장의 나이는 불과 26살에 불과했다고 합니다.

양 회장은 지극히 내성적인 성격으로 대외적으로 알려진 정보는 많지 않지만, 부드러운 카리스마로 혁신을 꾀하며 자신만의 경영 스타일을 보여주고 있다고 하네요.

◆ 허샹젠(何享健) 메이디그룹(美的集团) 창립자

나이: 74세(출생: 1942년 10월)

총자산: 154억달러

허샹젠(何享健) 메이디(美的)그룹 회장은 중국의 '전문경영인 시대'를 활짝 연 인물로 꼽힙니다.

1968년 플라스틱 병마개를 생산하는 소규모 사업으로 시작해 지금의 가전 종합 대기업 메이디 그룹을 일궈낸 허 회장은 2012년 회장직을 팡훙보(方洪波) 메이디뎬치(美的電器) 회장에게 물러주며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습니다. 이전까지만 해도 중국에서 창업자가 경영권을 승계하지 않고 전문경영인에 회사를 물려준 일은 거의 유례가 없었기에 중국에서 큰 화제가 됐다고 하네요.

한편 허 회장이 이끄는 메이디그룹은 지난해 도시바 백색가전 사업을 인수한데 이어 올해 1월에는 독일 대표 산업용 로봇 전문기업 쿠카를 인수하는 등 해외 M&A에 적극 나서며 글로벌 기업으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왕원인(王文银) 정웨이궈지(正威国际) 회장

나이: 49세

총자산: 144억달러

왕원인(王文銀) 정웨이궈지(正威國際)그룹 회장은 그야말로 밑바닥부터 성공 신화를 쌓아 올린 입지적 인물입니다.

대학을 졸업 후 선전(深圳) 한 기업의 창고관리원으로 입사한 왕 회장은 뛰어난 업무 능력을 발휘하며 1년만에 총경리 비서로 초고속 승진했는데요. 이후 왕 회장은 사회 초년생 시절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비철금속 기업 정웨이궈지를 설립했습니다. 현재 정웨이궈지의 연매출 규모는 3400억위안 상당으로, 왕 회장의 몸값은 144억달러에 육박한다고 합니다.

◆ 리옌훙(李彦宏) 바이두(百度) 회장

나이: 48세(출생: 1968년 11월 17일)

총자산: 139억달러

중국 포털 시장을 장악한 바이두(百度)의 리옌훙(李彥宏) 회장. 지금은 경쟁사 수장인 마윈 알리바바 회장과 마화텅 텐센트 회장에 많이 밀린 모습이지만, 여전히 중국 최고의 IT 기업인으로 손꼽힙니다.

최근 바이두는 AI기업으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습니다. 자율 주행, 이미지 인식 기술 등 AI 관련 다양한 분야 투자를 확대하며 우위 선점에 주력하고 있는데요. 리 회장이 이끄는 바이두가 AI기술 경쟁력 확보를 바탕으로 다시 한번 업계 선두기업으로 부상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뉴스핌 Newspim] 황세원 기자 (mshwangsw@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 지지율 2.3%p↓, 38.1%…"與 총선참패 '용산 책임론' 영향"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소폭 하락해 30%대 후반을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8일 발표됐다. 종합뉴스통신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업체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15~1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에게 물은 결과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는 38.1%로 집계됐다. 부정평가는 59.3%로 나타났다. '잘 모름'에 답한 비율은 2.5%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간 격차는 21.2%포인트(p)다. 긍정평가는 지난 조사 대비 2.3%p 하락했고, 부정평가는 1.6%p 상승했다. 연령별로 보면 40대에서 긍·부정 평가 격차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만 18세~29세에서 '잘함'은 36.0% '잘 못함' 61.0%였고, 30대에서는 '잘함' 30.0% '잘 못함' 65.5%였다. 40대는 '잘함' 23.9% '잘 못함' 74.2%, 50대는 '잘함' 38.1% '잘 못함' 59.8%로 집계됐다. 60대는 '잘함' 51.6% '잘 못함' 45.9%였고, 70대 이상에서는 60대와 같이 '잘함'이 50.4%로 '잘 못함'(48.2%)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잘함' 38.5%, '잘 못함'은 60.1%로 집계됐다. 경기·인천 '잘함' 31.4% '잘 못함' 65.2%, 대전·충청·세종 '잘함' 32.7% '잘 못함' 63.4%, 부산·울산·경남 '잘함' 47.1% '잘 못함' 50.6%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은 '잘함' 58.5% '잘 못함' 38.0%, 전남·광주·전북 '잘함' 31.8% '잘 못함' 68.2%로 나타났다. 강원·제주는 '잘함' 37.1% '잘 못함' 60.5%로 집계됐다. 성별로도 남녀 모두 부정평가가 우세했다. 남성은 '잘함' 34.7% '잘 못함' 63.4%, 여성은 '잘함' 41.6% '잘 못함' 55.3%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윤 대통령 지지율 하락 배경에 대해 "108석에 그친 국민의힘의 총선 참패가 '윤 대통령의 일방적·독선적인 국정 운영 스타일로 일관한 탓이 크다'라는 '용산 책임론'이 대두되며 지지율이 하락했다"고 평가했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선거 결과에 대해 실망한 여론이 반영됐을 것"이라며 "최근 국무회의 발언 등을 국민들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도 아니고 경제 상황도 나아지고 있지 않아 추후 지지율은 더 낮아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할당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표본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ARS 전화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응답률은 3.9%,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통계보정은 2024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 값을 부여(셀가중)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parksj@newspim.com 2024-04-18 06:00
사진
이재명, 범진보 대권주자 적합도 '압도적 1위' 질주 [서울=뉴스핌] 홍석희 기자 = 22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을 이끈 이재명 대표가 범진보 진영 차기 대권주자 적합도에서 압도적 1위를 질주했다. 여의도에 입성한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2위, 김동연 경기지사가 3위, 김부겸 전 총리가 4위로 뒤를 이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15~1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에게 범진보 진영 인물 중 차기 대권주자로 누가 가장 적합한지 물어본 결과 이 대표 35.4%, 조 대표 9.1%, 김 지사 8.5%, 김 전 총리 6.5%로 나타났다. 뒤이어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8%,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1.6%로 집계됐다. 기타 인물은 16.7%, 적합 후보 없음 15.1%, 잘 모르겠음 5.2%였다. 이 대표는 전체 연령대에서 1위를 차지했다. 다만 60대 이상에선 다소 차이가 좁혀졌다. 만18세~29세에서 이 대표 35.4%, 조 대표 12.1%, 김 지사 10.1%, 김 전 총리 5.8%였다. 30대에선 이 대표 38.7%, 김 지사 6.5%, 김 전 총리 6.2%, 조 대표 5%순이었다. 40대의 경우 이 대표 50.6%, 조 대표 12.6%, 김 지사 5.9%, 김 전 총리 5.1%로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 50대에선 이 대표 41.1%, 조 대표 10.2%, 김 지사 8%, 김 전 총리 5.6%였다. 60대에선 이 대표 23.9%, 김 지사 10.4%, 조 대표 7.8%, 김 전 총리 6.4%순이었다. 70대 이상의 경우 이 대표 19.5%, 김 지사 10.8%, 김 전 총리 10.5%, 조 대표 6%로 나타났다. 이 대표는 전체 지역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수도권 및 호남에서 격차를 벌렸고 영남에선 차이가 다소 좁아졌다. 서울에서 이 대표 32.9%, 조 대표 9.2%, 김 지사 8.2%, 김 전 총리 4.4%였다. 경기·인천에선 이 대표 43.8%, 김 지사 9.9%, 조 대표 7%, 김 전 총리 4.8%순이었다. 광주·전남·전북의 경우 이 대표 42.9%, 조 대표 9.2%, 김 전 총리 11.5%, 김 지사 6.8%였다. 대구·경북에선 이 대표 21%, 김 전 총리 11.6%, 조 대표 10.3%, 김 지사 8.8%로 나타났다. 부산·울산·경남은 이 대표 27.1%, 조 대표 9.9%, 김 전 총리 7.2%, 김 지사 5.6%였다. 대전·충청·세종에선 이 대표 32.3%, 조 대표 13.5%, 김 지사 10.9%, 김 전 총리 4.4%였다. 강원·제주에선 이 대표 36.2%, 조 대표 8.4%, 김 지사 7.8%, 김 전 총리 7.3%로 집계됐다. 지지 정당별로 살펴보면 민주당 지지층에선 이 대표 74.6%, 조 대표 5.7%, 김 지사 4.5%, 김 전 총리 1.7%로 이 대표가 압도적 지지를 받았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김 지사 12.4%, 김 전 총리 9.5%, 이 대표 8.5%, 조 대표 3.4% 순이었다. 조국혁신당 지지층의 경우 이 대표 45.9%, 조 대표 38.5%, 김 지사 4.7%, 김 전 총리 2.2%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 대표는 '과반 의석 달성'과 함께 원내 1당을 지키며 대권주자 위상이 더욱 강화했다"며 "조 대표는 비례대표 12석을 얻으며 단숨에 경쟁력 있는 차기 대선후보 반열에 올랐다"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성별·연령대별·지역별 인구비례할당 후 무작위로 추출된 표본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자동응답조사(ARS) 방식으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3.9%고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통계보정은 2024년 1월 말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지역별 셀가중값을 부여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여론조사결과 등록현황을 참고하면 된다. hong90@newspim.com 2024-04-18 06: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