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통한 면세품 선별 탑재...연간 2200만원 유류비 절감
[뉴스핌=전선형 기자] 에어부산이 4차 산업사회 진입을 위한 준비에 나섰다.
에어부산은 지난 5월말부터 기내 면세품 탑재 및 판매에 빅데이터를 활용해 탄력적 운영에 나섰다고 20일 밝혔다.
해당 빅데이터는 지난해 국제선 전 항공편의 면세품 탑재·판매 정보를 모두 데이터화해 분석한 자료다. 에어부산은 빅데이터 분석 결과 노선과 따라 네가지 타입으로 분류해 최적화된 면세품을 기내 탑재했다. 에어부산은 이번 면세 물품 조정을 통해 에어부산은 연간 2200만원 이상의 연료비 절감 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이같은 에어부산의 움직임은 4차 산업사회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다. '4차 산업사회 선도'는 모기업인 금호아시아나 그룹의 경영방침이다.
![]() |
FOQA를 통해 분석한 자료를 참고하고 있는 에어부산 운항승무원<사진=에어부산> |
이미 에어부산은 지난 1월 IT 전략팀을 신설하고 전 분야의 팀원들로 구성된 4차 산업 관련 테스크 포스팀(TFT)을 발족하는 등 4차 산업사회에 대한 준비 기반을 마련해왔다.
특히 FOQA(Flight Operational Quality Assurance 비행자료 분석 프로그램)를 통해 산출된 모든 정보를 빅데이터화해 공항별, 노선별, 계절별 특성 등으로 분석, 도출된 운항 정보들을 운항승무원의 교육, 훈련에 활용하고 있다.
나아가 에어부산은 운항승무원과 캐빈승무원 훈련에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장비를 도입해 현장감이 있는 훈련으로 직원들의 대처능력을 키울 계획이다. VR 장비를 활용한 운항승무원 훈련은 국적 항공사 최초로 시도된다.
한태근 에어부산 사장은 “에어부산은 4차 산업사회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라며 “현재 실행 중인 사안을 정착시키고, 다른 사안들도 이른 시일 내에 실행에 옮겨 미래 변화에 더욱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항공사가 되겠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전선형 기자 (inthera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