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여건에 따라 교원역량 강화·학생맞춤형 학습지원 등 사업 실시
자유학기제 수업콘서트·성과발표회 등 통해 우수사례 확산 예정
![]() |
[뉴스핌=이보람 기자] 정부가 내실있는 중학교 '자유학기제'를 만들기 위해 올해에도 지역 특색을 반영한 자유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준식)는 시도교육청과 자유학기제 지역특화사업을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정부는 시도교육청이 특화된 프로젝트 운영을 희망하는 경우 신청을 받아 이를 지원하고 있다. 올해에는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등 9개 교육청에서 자유학기제 지역특화사업이 진행된다.
시도교육청별로 교원역량 강화나 과정중심평가 활성화, 개별학생 맞춤형 지원, 지역내 기관과의 연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서울의 경우 우수교사와 수업지원이 필요한 교사를 1대 1로 매칭한 멘토·멘티간 '수업틔움 공동체'를 구성키로 했다. 교육부는 이 과정에서 컨설팅과 연수를 지원할 예정이다.
경기는 학년초·말 각각 디딤 주간을 지정해 학습상담을 진행한다. 학생맞춤형 자기주도학습 역량 강화프로그램이다. 충남과 대전 등에서도 맞춤형 학습·평가를 실시하고 정부가 이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의 경우 지역 대학이나 유관기관들과 협력해 찾아가는 소프트웨어교육, 인문학교육 등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미래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특화사업인 해양이나 영화·영상산업을 중심으로 양질의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지역특화사업에서 발굴된 시도교육청별 우수사례는 오는 8월과 12월 열리는 자유학기제 수업콘서트와 성과발표회 등을 통해 전국 교육청으로 확산시킨다는 게 교육부의 계획이다.
이준식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이번 특화사업 지원은 지역이 중심이 돼 전국이 공유 가능한 우수사례를 발굴, 확산하는 의미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올해 그 성과가 우수한 과제는 향후 중학교 자유학기 교실의 변화를 위해 전국으로 확대 지원하는 등 자유학기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이보람 기자 (brlee1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