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본, 대기업 순차 소환조사 방침
[뉴스핌=이성웅 기자] 박근혜 전 대통령의 뇌물수수 혐의를 수사 중인 검찰이 CJ그룹과 롯데그룹 관계자에 대한 소환조사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달 초 검찰 특별수사본부가 재편된 후 처음으로 대기업 수사 방향에 대해 밝힌 것이다.
16일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에 따르면 이날 특수본은 기자들과 만나 "필요하다면 롯데와 CJ그룹 관계자도 소환해 조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특수본은 이날 김창근 전 SK 수펙스협의회 의장 등 3인을 소환하는 등 출연 기업들에 대한 재조사에 착수했다.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미르·K스포츠재단에 출연한 대기업들의 뇌물공여 의혹을 검찰에 지난 6일 이첩했다.
특검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뇌물공여 혐의로 기소한 데 이어 다른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 기업에 대한 뇌물공여 의혹을 특수본에 이첩한 바 있다.
특히 전날에는 면세점 인허가 업무를 맡고 있는 관세청 직원 2명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이는 롯데가 면세점 허가를 받는 데 있어 특혜가 있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또 CJ의 경우 이재현 CJ 회장의 지난해 8.15 사면에 청와대와의 모종의 거래가 있었는지를 파악하기 위함으로 해석된다.
특수본 관계자는 "어쩌다보니 SK 관계자들을 먼저 소환하게 됐을 뿐 큰 의미는 없다"라며 "필요하다면 순차적으로 소환해 조사할 것"이라고 전했다.
![]()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재계총수들이 지난 12월 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국정농단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1차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하고 있다. 사진 위쪽 시계방향으로 손경식 CJ 회장, 구본무 LG 회장, 김승연 한화 회장, 이 부회장, 최태원 SK 회장, 신동빈 롯데 회장, 조양호 한진 회장, 정몽구 현대차 회장. <사진=김학선 사진기자> |
[뉴스핌 Newspim] 이성웅 기자 (lee.seongwo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