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 불법주정차 사고특성 분석
[뉴스핌=이지현 기자] 불법주정차로 인한 사고가 1년에 2200억원 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현대해상 교통기후연구소는 자사 교통사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불법주정차 연계형 사고의 특성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교통사고 빅데이터 467만여건(2011.1~2015.12) 중 불법주정차 연계형 사고는 11만4968건, 사고 손실금액은 전국에 걸쳐 약 2200억 수준이었다.
2011년 이후 불법주정차 관련 사고건수는 연 평균 22.8%, 지급보험금은 연 평균 27.7% 증가했다. 큭히 2011년 사고건수(1만5011건) 대비 작년 사고건수(3만4145건)은 2.3배나 급증했다.
서울시 25개구의 사고율과 지역별 도시교통 특성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상업·업무지역 주차장 확보율이나 1km당 교차로 수가 증가할수록 불법주정차 연계형 사고가 증가했다. 공업지역의 경우 화물차 수가 많고 주거지역 주차장 확보율이 낮을수록 사고가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강남구의 경우 상업·업무지역 주차장 확보율이 155.5%로 가장 높았지만, 주차요금이 상대적으로 비싼 지역이어서 주차장보다 이면도로에 주차하는 경우가 많아 사고율이 서울 평균 대비 1.4배 높았다.
공업지역이 존재하는 7개구(강서·구로·금천·영등포·도봉·성동·양천구)는 건설기계, 화물, 특수차 등 중차량 사고가 전체사고 중 23.5%를 차지해 사고당 지급 보험금이 서울평균 대비 1.4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시간대별 발생빈도는 비공업지역이 오후 2시~6시에 39.5%로 집중됐고, 공업지역은 저녁8시~밤12시까지 35.7%가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야간사고(오후6시~오전6시) 구성비는 비공업지역(32.2%) 대비 공업지역(41.2%)이 8.9%포인트 높았다. 공업지역 내부 주차장 확보율이 낮아 야간 주거지역 이면조로에 주차가 증가하기 때문.
김태호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 박사는 "불법주정차 사고규모 추정을 바탕으로 사회적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 대한 지역별 과태료 차등화 방안 도입 등이 필요하다"며 "공업지역이 인접한 주거지역의 경우 사고가 집중되는 저녁 8시 이후 건설기계 중차량 주차가 가능한 지역을 정해주는 등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
지역 및 시간대별 불법주정차 연계 사고 발생 현황<자료=현대해상교통기후연구소> |
[뉴스핌 Newspim] 이지현 기자 (jh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