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국 장관, 항생제 내성 대응 협력키로
[세종=뉴스핌 이진성 기자]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등 3국은 감염병 공동대응을 위해 감염병 및 출입국 검역 정보를 공유하기로 했다. 또 국제사회에서 면역 부작용으로 논란이되고 있는 항생제 내성 대응을 위한 협력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은 4일 부산에서 열린 제9차 한·중·일 보건장관회의에 참석해 이 같이 밝혔다. 보건장관회의는 지난 2007년 신종인플루엔자 대응을 위해 우리나라 제안으로 시작됐다. 매년 3국간 순환 개최를 통해 공통된 보건 이슈와 관리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이 자리에는 정 장관을 비롯해 리 빈 중국 전국위생·가족계획위원회 장관과 시오자키 야스히사 일본 후생노동대신, 신영수 WHO 서태평양지역 사무처장, 이종현 한·중·일 3국 협력사무소 사무차장 등이 참석했다.
![]() |
|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사진=보건복지부> |
3국은 이날 기존의 대유행 인플루엔자와 신종·재출현 감염병 공동대응에 관한 협력각서와 공동실천계획을 개정하고, 검역 분야로까지 협력범위를 높이는 데 합의했다.
정 장관은 이와 관련해 지난달부터 시범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해외로밍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검역정보시스템을 소개했다. 이는 해외 로밍데이터를 활용해 감염병 오염국가에서 국내 입국하는 사람을 확인 후 감염병 잠복기간 동안 모니터링 하는 검역정보화 사업으로 내년 4월 전면 시행될 예정이다.
정 장관은 "검역시스템은 우리만 잘갖춘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면서 "우리 스마트검역정보시스템을 소개하자, 참석한 관계자들이 서로 방역체계를 높이자는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비공개로 진행된 토론회에서 3국 관계자는 항생제 내성 대응과 ICT와 빅데이터를 통한 보건 증진, 보편적 건강보장 등을 새로운 협력과제로 제시했다. 각국의 항생제 내성 대응을 위한 정책을 공유하고, 현황 모니터링을 위한 보건당국 협의체를 구성한다는 방침이다.
의료 신기술에 대한 관심도 컸다. 3국 관계자는 제4차 산업혁명을 들어, 원격의료나 정밀의료 등 유망분야에서 ICT와 빅데이터의 결합으로 얻는 파급효과를 구체화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한·중·일 보건장관회의가 2007년 첫 개최된 이후 지난 10년의 기간을 거쳐 3국간의 대표적인 협력 테이블로 자리잡았다"면서 "앞으로 보건의료 분야 협력의 폭과 깊이를 넓혀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이진성 기자 (jinlee@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