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동훈 기자] 박근혜 대통령 선거를 도왔던 납골당과 사설 공원묘지 대표가 공기업의 비상임 이사로 선임돼 임금을 받아 챙겼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들은 업무 전문성이 전혀 없는 이른바 '낙하산'인사다.
이들을 비롯해 국토교통부 산하 공공기관 기관장 및 이사, 감사 자리에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당시 선거 캠프 참모진들이 대거 영입된 것으로 드러났다.
11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토교통부 국정감사에서 새정치민주연합 강동원 의원(전남 남원순창)에 따르면 국토부 산하 24개 공공기관 가운데 새누리당 선거 출마자나 주요 당직자, 그리고 청와대 참모 출신은 모두 16명에 이르고 있다.
또 지난해 세월호 사고에서 문제점으로 드러난 이른바 '관피아' 기관장도 11명이 재임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사 및 감사는 각각 73명과 13명이 새누리당이나 청와대 관련 인사가 차지했다. 감시를 비교적 덜 받는 비상임 이사는 66명이 새누리당 관련 인사다. 특히 이들 낙하산 인사는 정부가 '관피아' 근절을 주장했던 지난해 4월 세월호 참사사고 이후 집중됐다.
이는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철학과도 배치된다는 게 강 의원의 이야기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2013년 취임 직후부터 낙하산 인사를 척결하겠다는 의사를 여러번 밝힌 바 있다.
심지어 업무와 연관성이 전혀 없는 지난해 납골당, 사설공원묘지 운영단체 대표와 이사장 출신도 공공기관내 비상임 이사에 올라 혈세를 낭비하고 있다는 게 강 의원의 지적이다.
강 의원에 따르면 한국철도시설공단은 경기 파주소재 재단법인 동화경모공원 대표 이성민씨와 이사장 오영찬씨 2명을 비상임이사에 각각 임명했다. 이 가운데 이성민씨는 서울 중랑구청장 새누리당 예비후보까지 올랐던 인사다.
강동원 의원은 "LH와 도로공사에 이어 부채규모 3위를 기록하고 있는 철도시설공단이 공동묘지 대표와 이사장을 왜 이사로 채용했는지 도무지 납득하기 어렵다"며 "이들 마구잡이식 낙하산 인사는 결국 현 정권의 '홍위병'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뉴스핌 Newspim] 이동훈 기자 (donglee@newspim.com)
[AI의 종목 이야기] 아날로그 디바이스, 강한 수요 덕에 낙관적 1분기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