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송주오 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적극적인 투자 활성화 당부에도 불구하고 지난 3분기까지 국내 500대 기업의 투자가 부진한 것으로 조사횄다.
3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 사이트인 CEO스코어가 500대 기업 중 3분기 실적을 공시한 296개사의 3분기 누적 투자(유무형자산취득) 실적을 조사한 결과 총 94조5751억원으로 작년동기(95조5190억원) 대비 1% 줄었다.
전체적으로 크게 줄지 않았지만 대기업 그룹으로 갈수록 투자 감소폭이 더 컸다.
500대 기업 내 30대 그룹 155개사의 투자액은 68조2555억원으로 작년동기 대비 5.1% 줄었고, 10대 그룹은 4.1%, 5대그룹은 6% 감소했다.
이 기간 10대 그룹 매출은 3.4% 증가했으며 영업이익과 순이익 역시 각각 4.8%, 3.1% 늘었다. 특히 5대 그룹의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은 각각 5.7%, 12.1%, 12.9%로 더 큰 폭의 실직개선을 이뤘다.
반면 매출 증가율도 1.5%에 머물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각각 29.7%, 3.5% 줄어든 30대 그룹 밖 141개 중견기업들의 투자액은 26조3197억원으로 11.5%나 크게 늘었다.
이처럼 대기업들의 투자 감소폭이 더 큰 것은 국내 최대 기업으로 30대 그룹 총 투자액의 23%를 차지하는 삼성전자가 투자를 18.6%나 크게 줄였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를 제외할 여우 30대 기업 투자 증가율은 0.3%플러스로 돌아선다.
삼성과 같이 투자를 줄인 10대 그룹은 SK, LG, GS,, 한진, 한화 등 6곳이고 현대자동차와 롯데, 포스코, 현대중공업 등 4곳은 투자를 늘려 대조를 이뤘다.
투자를 늘린 '4인방' 중 포스코, 현대중공언은 매출이 각각 3%, 4.9%, 영업이익은 14.9%, 63.6% 감소하는 부진한 실적이었고, 현대차도 매출은 3.7% 소폭 늘었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8.9%, 4.5% 줄어드는 어려운 환경에서 투자 확대를 감행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투자를 줄인 삼성, LG, SK 등은 실적이 양호했다. 삼성은 매출 12.2%,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16.8%, 18.6%나 늘었다. LG도 매출·영업이익·순이익이 각각 5.5%, 27.7%, 95 확대됐다. SK의 경우 매출은 3.3% 줄었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각각 44.6%, 71.2% 급증했다.
30대 그룹으로 넓히면 에쓰오일과 대우건설의 투자 증가율이 각각 169.7%, 149.9%로 작년동기대비 2배를 넘어섰다. 그 외 현대(12.0%), 두산(10.8%), 현대백화점(4.5), CJ(2.3%, 금호아시아나(1.2%), LS(0.02%) 등 10대 그룹 포함 투자실적이 플러스를 기록한 곳은 12곳에 불과했다.
국내 최대 기업인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의 투자 성향도 엇갈렸다.
부동의 1위 삼성전자 투자액은 15조7291억원으로 작년동기 대비 18.6%나 급감했다. 연구개발(R&D)투자액 10조5259억원을 포함해도 총 투자비용은 26조2549억원으로 5.9% 감소했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는 매출 16.8%, 영업이익 37.6%, 순이익 37.9%가 증가하는 경이적인 실적을 거뒀다.
반면 2위인 현대자동차는 총 투자액이 2조6572억원으로 삼성전자에 비해서는 규모가 적지만 증가율은 12.8%로 양호했다. 연구개발(R&D)투자액 4865억원을 포함해 총 투자비용은 3조1437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1.7%나 확대됐다.
이 기간 현대자동차의 매출은 5.9% 늘었지만 영업이이과 순이익은 8.1%, 4.2% 줄어 부진한 실적 속에 투자확대를 단행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투자액을 가장 많이 줄인 곳은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STX로 65.3% 감소를 기록했다.
[뉴스핌 Newspim] 송주오 기자 (juoh85@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