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문화·연예 대중문화·연예일반

속보

더보기

[변상문의 風流 여행기] 남도를 찾은 까닭은

기사입력 : 2013년07월08일 09:01

최종수정 : 2013년07월05일 16:59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30여 년 군 생활을 하면서 전국 각지를 돌아다녔다. 주민등록지만 스물두 번 옮겼다. 강원도 화천으로부터 경남 진해에 이르기까지, 전북 전주에서 경북 대구에 이르기까지 동서남북으로 누비며 다녔다. 가는 곳 마다 나름대로의 특징이 있고 멋이 있었다. 내가 직접 살면서 겪어 본 고장 중에서 ‘또 가보고 싶은 곳이 어디냐?’고 물어 온다면 나는 단연코 엄지손가락을 힘 있게 펴 보이며 남도를 꼽는다.

남도에 가면 맛과 멋이 있다. 남도엔 다른 고장에서 볼 수 없는 민속예술이 살아 숨 쉬고 있다. 누군가 ‘소리는 호남이요, 춤은 영남이다.’라고 했지만, 나는 소리와 춤이 모두 발달한 곳이 호남이라고 말하고 싶다. 남도엔 사람을 끄는 이상한 뭔가가 있다. 말부터 ‘그~으~라~제~이~잉...’하며 척 감기는 정감으로 사람을 잡아 당겨 놓고 시작한다.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도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에서 답사 일번지로 남도를 꼽았듯이, 남도에 가면 우리의 희로애락(喜怒哀樂)이 모두 담긴 기층문화를 만날 수 있다. 남도를 아무리 많이 가 보아도 남도를 다 말 할 수 없다. 남도에 살아도 남도를 다 말할 수 없다.

이번 이야기는 여러 해 동안 민속예술과 문화재를 중심으로 남도 일대를 여행한 내용이다. 어느 봄 날 청산도를 방문해 하얗게 쏟아지는 밤하늘의 별을 보며 인연의 법칙을 생각했다. 구례에서는 판소리 동편제를 만나 선 굵은 소리의 세계를 배웠다. 순천에서는 뒷간이 가장 아름다운 절 선암사에서 가슴속 응어리를 달랬다. 벌교읍을 찾아 조정래 소설 ‘태백산맥’ 주인공들과 대화도 나눴다.

찌는 듯이 무더운 여름날엔 홍도와 흑산도를 찾아 맘속의 ‘전투복’을 벗어 던졌다. 목포 유달산에서는 이난영의 ‘목포의 눈물’을 만나 민족혼을 목 놓아 부르기도 했다. 누런 가을볕이 내리던 가을 날 해남 땅 끝에서 고산 윤선도, 다산 정약용, 초의 선사, 송강 정철 등 제현님들을 역사책속에서 모시고 나와, 인생 한 수 가르쳐 달라고 어린아이처럼 응석 부리기도 했다. 여기, 그런 남도의 희한하게 아름다운 이야기를 펼쳐본다. 이번 여름휴가 때 가족과 함께 찾아 볼만한 여행 정보가 되길 아소망해 본다.

 

♦청산도 연가

풍류당비(나는 봄비를 풍류당비라고 한다) 내리는 서울을 빠져 나오는 맘은 꽃향기로 가득 찼다. 중화 참(中火 참)이 한 참 지나 완도 여객선 터미널에 도착했다. 늦은 점심을 먹고 청산도행 배에 오르니 꽃잎을 흩뿌린 듯 섬들이 바다 위에 점점이 펼쳐졌다. 조금은 쌀쌀한 바닷바람을 맞으며 '진도 아리랑'을 흥얼대다 보니 배는 청산도 선착장에 선수를 들이댔다. 해가 두 뼘 정도 남아 있었다.

청산도는 전남 완도군 청산면으로써 완도군의 1,004개 섬 중 하나다. 섬에서 시간이 멈춘 듯 묘한 분위기가 엄습해 왔다. 어둡기 전 서둘러 남도 장례문화 특징 중 하나인 초분(草墳 : 사람이 죽으면 곧바로 땅에 묻지 않고 시신의 물이 빠질 때까지 임시로 만들어 놓은 무덤)을 둘러보았다. 초분에서 지수화풍(地水火風)으로 이루어진 육신의 허망함이 밀려왔다. 저녁상을 물리고 숙소가 마련돼 있는 마을 고샅을 걸었다. 마을 사람도 답사 객도 없는 고샅엔 개 짖는 소리만이 가끔 들렸다. 초분의 허망이 또 다시 머릿속을 맴돌았다. 척박한 땅을 일구며 캐낸 돌로 쌓아 만든 돌담위엔 갓 돌 지난 아이의 앞니 같은 별들이 은하수와 함께 쏟아져 내렸다. 희한한 아름다움이 까만 어둠속에 깔리고 있었다.

어둠속에서 문화유산으로 지정돼 있는 돌담길을 더듬거리며 걸었다. 희락정, 주왕암, 협동조합 가게, 졸고 있는 가로등, 슬레이트 처마 끝에서 곰삭은 섬마을 향기가 풍겨왔다. 꼬막 속 핏줄 같은 길을 따라 걷고 또 걸었다. 맘이 편해졌다. 서울에 두고 온 근심덩어리들이 달려오다간 도망치고, 도망갔다간 또다시 다가왔다. 청산도의 밤은 그렇게 어린아이 잠처럼 깊어 갔다.
 
청산도 아침은 옥색이었다. 해송 너머 해변 가에 이르는 길옆엔 옥색 햇살을 등지고 老부부가 마늘밭을 가꾸고 있었다. 기품 있는 해송들이 뿌리를 내린 작고 좁은 자드락길을 걸었다. 새벽녘 자리끼 마실 때나 느낄 수 있는 감사의 마음이 가슴속에 강물처럼 흘렀다.
청산도에서 가장 인상적인 것은 농업문화유산 제1호인 '구들장 논'이었다. 자투리 땅뙈기 하나라도 놀리지 않기 위해 돌 땅 위에 구들장을 놓고, 그 위에 다시 진흙을 덮어 만든 논이었다. 구들장 논바닥엔 가난, 한숨, 핍박, 설움, 얼룩, 눈물 등 온갖 시련이 켜켜이 싸인 거름되어 도전, 극복, 이룸, 나눔, 베 품, 신명, 희망 등 이 세상 모든 사랑을 피워내는 것 같았다. 박제된 문화가 아니라 생활 속에 온전히 살아 숨을 쉬는 문화유산인 것이다.

서편제 영화 길은 고왔다. 임권택 감독이 "서편제는 귀신이 도와 줘서 성공한 영화다. 그 길 위로 회오리바람이 불어 주었기 때문에 명장면이 될 수 있었다."고 말한 그 길을 걸으며 진도아리랑을 영화 속 유봉처럼 질러댔다.

‘문경 세재는 웬 고갠가 구부야 구부구부가 눈물이로구나. 청천 하늘엔 잔별도 많고 우리내 가슴엔 희망도 많다. 만나니 반가우나 이별을 어이해 이별을 헐랴거든  왜 만났든고. 약산동대 진달래 꽃 한 송이만 피어도 모두 따라 핀다. 춥냐 덥냐 내 품안으로 들어라 베개가 높고 낮거든 내 팔을 베거라. 노다 가세 노다 가세 저 달이 떴다 지도록 노다나 가세. 해당화 한송이 와자자지끈 꺽어 우리님 머리위에다 꼿아나 줄까. 치어다 보느냐 만학은 천봉 내려 굽어보니 백사지로구나. 왜 왔든고 왜 왔든고 울고나 갈 길을 내가 왜 와든고. 만경창파에 둥둥둥 뜬 배 어기여차 어야디어라 노를 저어라.’

진도 아리랑엔, 신명 속의 한으로 구성된 내용 따라, 시김새와 꺽임이 많은 남도 민요 특징이 오롯이 들어 있다. 소리길 위로 어깨춤이 덩실대며 뿌려졌다. 일본인 답사 객들도 흥에 겨워 손끝 따라 춤사위를 만들었다. 양귀비 꽃 보다 더 고운 진도 아리랑 사랑이 서편제를 넘어가고 있었다. 청산도를 빠져 나오는 뱃길은 피안의 세계였다. 무릎 위에 청산도 사랑을 올려놓고 세마치장단을 쳤다. 육자배기가 진한 여운을 남기며 뱃고동과 함께 울렸다.

변상문 전통문화연구소장 (02-794-8838, sm2909@hanmail.net)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추경호 체포동의안 본회의 통과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12.3 비상계엄 당시 국민의힘 의원들의 계엄해제 표결을 방해한 의혹을 받는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27일 여당 주도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국회는 이날 본회의를 열고 '국회의원(추경호) 체포동의안'을 상정해 표결을 진행했다. 투표 결과 재석 180인 가운데 찬성 172표, 반대 4표, 기권 2표, 무 2표로 가결됐다. 불체포특권이 있는 현역 국회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은 재적 의원 과반 출석에 출석 의원 과반 찬성이 가결 조건이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본인의 체포동의안에 대한 신상발언을 마치고 나서며 동료 의원들의 격려를 받고 있다. 2025.11.27 pangbin@newspim.com 국민의힘 의원들은 표결에 반발하며 표결에 참여하지 않고 본회의장에서 퇴장했다. 이들은 로텐더홀에서 정부여당 및 특검 규탄대회를 벌였다. 신동욱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규탄대회에서 "우리가 추경호"라며 "반드시 싸워서 심판해야 한다"고 말했다. 추 의원은 지난해 12월3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을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로서 의원총회 장소를 국회와 당사 등으로 여러 차례 바꿔 국민의힘 의원들의 계엄해제 표결 참여를 방해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내란 특별검사(조은석 특검팀)은 지난 3일 추 의원에 대해 내란중요임무종사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법무부는 이틀 뒤인 5일 국회에 체포동의요청서를 제출했으며, 13일 국회 본회의에 보고됐다. 국회가 동의함에 따라 법원은 조만간 추 의원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실시한다. 결과에 따라 추 의원의 구속 여부가 결정된다. 추 의원은 투표 전 신상발언 기회를 얻어 특검 수사는 정치탄압이라고 주장했다. 추 의원은 "특검은 제가 언제 누구와 계엄에 공모, 가담했는지 어떠한 증거도 제시하지 못하면서 영장을 창작했다"며 "특검은 계엄 공모를 입증하지도, 표결을 방해받았다는 의원을 특정하지도 못했다"고 강조했다. right@newspim.com 2025-11-27 15:41
사진
영국계 단타, 11월에만 5조 팔았다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연중 고점을 기록한 코스피가 11월 들어 조정을 받는 가운데, 외국인 매도세를 주도한 주체는 영국계 자금으로 나타났다. 9~10월 단기 매수세로 코스피를 4000선 위로 끌어올렸던 영국계 투자자들은 이달 들어 약 5조원 규모의 주식을 순매도하며 수급 전환의 중심에 섰다.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 자료를 종합하면, 영국계 자금은 상반기까지는 관망세를 보이다가 9월부터 순매수로 전환해 지수 급등을 견인했다. 그러나 11월 들어 매도세로 돌아서며 단기간에 코스피를 다시 4000선 아래로 밀어냈다. 전문가들은 이를 투자 이탈보다는 업종 재배치·수익 실현·헤지 전략 등 다층적 조정 흐름으로 해석하고 있다. ◆ 영국계, 활발한 거래에도 낮은 보유 비중…'단타 성향' 뚜렷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영국계 투자자는 이달 1일부터 24일까지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 총 4조9900억원을 순매도했다. 같은 기간 외국인 전체 순매도 금액은 13조5328억원으로, 영국계 자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36.9%에 달한다. 이는 지난 10월 영국계가 2조4000억원을 순매수하며 전체 외국인 순매수(4조2050억원)의 절반 이상을 견인했던 흐름과는 대조적이다. 영국계 자금은 올해 외국인 매매에서 가장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 지난 1~8월 유가증권시장에서 영국계 투자자는 총 557조원 규모(매수 273조9270억원, 매도 283조730억원)를 거래하며 외국인 전체 거래액의 44.7%를 차지했다. 국적별 기준으로는 거래 비중 1위였지만, 보유 비중은 10%대 초반에 머무는 등 높은 회전율이 특징적이다. 이는 중·단기 차익 실현에 집중하는 유동적 자금 특성을 드러낸다는 분석이다. 실제 영국계 자금은 9월 2조2000억원, 10월 2조4000억원 등 두 달간 총 4조6000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며 국내 증시 랠리를 이끌었다. 이 기간 외국인 전체 순매수의 상당 부분을 담당했고, 코스피는 9월 말 3424포인트에서 10월 말 4107포인트까지 약 20% 급등했다. 이후 이달 3일에는 장중 사상 최고치인 4221.87포인트를 기록했다. 당시 외국인의 현·선물 동반 매수가 지수 상승을 뒷받침했고, 거래 비중에서도 영국계 영향력은 두드러졌다. 하지만 11월 들어 매도세로 돌아서면서 코스피는 한 달 새 300포인트 넘게 밀리며, 전날(26일) 기준 3960.87로 마감했다. ◆ 수익 실현 흐름 속 업종·자산군 재배치 뚜렷…"ETF 투자도 변화 감지" 코스피 4000선을 끌어올렸던 외국인 수급이 11월 들어 주춤하면서, 이번 수급 전환의 배경에는 반도체 중심의 차익 실현과 업종 간 포트폴리오 조정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외국인 자금은 특정 업종에서 수익을 실현한 뒤, 해외 자산이나 새로운 산업군으로 비중을 재조정하는 흐름을 보였다. 이 같은 변화는 상장지수펀드(ETF) 매매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코스콤 ETF체크에 따르면 최근 일주일간 외국인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상품은 'KODEX 레버리지'(93억8000만원)였고, 이어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64억2000만원), 'TIGER 차이나항셍테크'(64억원), 'TIGER 차이나전기차SOLACTIVE'(55억200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순매수 상위 10개 ETF 중 절반이 중국 테크 및 미국 증시 관련 상품으로 구성돼 외국인 자금의 관심이 해외 주요 지수로 이동한 모습이다. 반면 외국인은 국내 주식형 ETF를 중심으로 대규모 매도에 나섰다. 같은 기간, 'TIGER 2차전지TOP10'(-79억원), 'TIGER200선물레버리지'(-68억원), 'KODEX AI반도체'(-56억9000만원) 등이 외국인 순매도 상위에 올랐으며, 상위 10개 가운데 9개가 국내 ETF였다. 개별 종목에서도 자금 재배치 흐름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달 1~25일 외국인 순매도 상위 종목에는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두산에너빌리티, KB금융, NAVER, 한화오션 등이 포함됐다. 반면 셀트리온, 이수페타시스, LG 씨엔에스, SK바이오팜 등이 외국인 순매수 상위권을 차지했다. 전통 반도체주에서 인프라, 바이오, AI 관련 종목으로 수급이 분산되는 모습이다. 시장에서는 이 같은 움직임을 외국인 자금의 '이탈'이라기보다는 전략적 '재편'으로 해석하고 있다. 현물 매도를 통해 일부 비중을 축소하는 동시에, 선물·옵션을 활용한 헤지 전략이나 국채 등 대체 자산으로의 분산 투자가 병행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흐름이 외국인 자금의 유출보다는 포트폴리오 조정 과정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반도체 업종의 내년 이익 전망치가 빠르게 상향되고 있어 외국인 수급이 재개될 여지가 충분하다"며 "외국인 유입에 기반한 증시 상승 기대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분석했다. 이상현 메리츠증권 센터장은 "코스피 4000 돌파는 단기 유동성이 아니라 기업 실적이 만들어낸 구조적 상승이었다"며 "현재 조정은 큰 흐름이 끝났다는 신호가 아니라 다음 단계 상승을 위한 숨 고르기 성격이 강하다"고 강조했다.    nylee54@newspim.com 2025-11-27 08:20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