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종달 기자]골프를 잘하고 싶은가. 그러면 바로 그 생각부터 바꿔야 한다. 골프는 ‘실수’의 게임이기 때문이다. 스코어는 실수를 얼마나 줄이느냐에 달려있다. 물론 볼을 잘 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실수를 줄이는 것이다.
골프를 하면서 하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금기사항이다.
예를 들어보자 보기 플레이어가 더블보기를 하면 봐 줄수 있다. 얼마든지 할 수 있다. 하지만 트리플 보기는 다르다. 달라도 엄청 다르다. 트리플보기에는 해서는 안 될 사항을 꼭 포함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말하는 하지 말아애 할 사항은 이런 것이다. ‘벙커에서 한번에 텅출하지 못하고 두 세 번 연속치기’, ‘3퍼트 이상하기’, ‘그린에지에서 뒤땅치기’, ‘러프에서 다시 러프로 치기’, ‘3연속 미스샷하기’ 등등이다.
로스트볼이나 OB가 아닌데 트리플보기가 나왔다면 반드시 이 가운데 한 두가지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뭐 이런 실수가 ‘실력’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일어날 수밖에 없는 것이라면 말도 안 한다. 이는 실력이 아닌 ‘욕심’ 아니면 ‘안이하게 대충한 삿’ 때문이라는 점이다.
파4홀에서 세 번째 샷이 벙커에 빠졌다고 치자. 계산상으로는 4온 2퍼트로 더블보기다. 이게 정상이다. 하지만 골퍼는 볼이 벙커에 빠지는 순간, 볼을 홀에 붙일 생각을 한다. 그냥 탈출하면 2퍼트로 더블보기는 하는데 홀에 붙이겠다는 욕심 때문에 벙커에서 두 세 번 푸석댄다.
보기플레이어가 트리플보기를 범하지 않으려면 트러블이 발생했을 때 트리플보기 가능성을 염두에 두는 것이다.
트리플보기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보기를 해서 트러블를 만든 미스샷을 만회하려고 하지 말고 더블보기를 목표로 하는 것이다. 미스샷에 대한 어드밴티지를 바라지 말라는 얘기다.
트리플보기를 범한 뒤 더블보기를 아쉬워해 봐야 ‘죽은 자식 불알 만지기’다.
[뉴스핌 Newspim] 이종달 기자 (jdgolf@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