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 증식으로 낭비둘기 30마리 방사 목표
홍학·에뮤 번식 성공, 관람객에 새로운 볼거리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대공원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 상반기 토종동물 번식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거뒀다. 서울대공원은 지난 2023년부터 종보전센터를 운영 중인 가운데 올 상반기까지 멸종위기 토종동물 3종 11마리(여우 5, 저어새 1, 낭비둘기 5) 번식에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과의 공동 연구협약을 통해 반입된 산양과 여우를 바탕으로 지난해에는 산양 3, 여우 5마리가 번식에 성공한 바 있으며, 올해 여우도 5마리가 추가로 성공적으로 번식했다. 이들 개체는 국립공원연구원과 개체 교류를 통해 야생으로 방사될 수도 있다.
![]() |
토종동물(낭비둘기) [사진=서울대공원] |
서울대공원에 따르면 이번에 번식된 낭비둘기는 지난해 11마리 번식에 이어 올 상반기 5마리가 증식하는 등 2026년 낭비둘기 30마리 야생 방사를 목표로 지속 증식 중에 있다.
방사 개체수가 많을수록 방사 성공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사육 밀도를 감안해 최대한 건강하게 번식·사육 중에 있으며 향후 국내 야생에 200마리밖에 남지 않는 낭비둘기 보전사업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서울대공원측은 기대하고 있다.
또 쿠바 홍학 2마리가 부화해 관람객들에게 공개됐다. 서울대공원에서 홍학의 번식은 2019년 시작됐으며, 올 4월 2마리가 부화하는 성과를 올렸다. 지난해 11월 홍학의 동절기 번식을 준비하며 홍학의 둥지 재료인 황토 흙을 내실에 깔아주는 등 사육사의 노력이 보태진 결과다.
![]() |
에뮤(아기, 엄마, 알) |
호주 에뮤 2마리도 17년 만에 태어나 주목받고 있다. 1983년생인 수컷 에뮤가 먹이도 제대로 먹지 않고 한곳에 앉아 포란(抱卵)에 집중한 결과, 새끼 2마리가 건강하게 태어나 성장하고 있다. 이들 새끼는 특별한 식단과 관리를 통해 잘 자라고 있으며, 무더운 여름에는 물을 좋아하는 에뮤를 위해 수영장을 마련해 줄 예정이다.
박진순 서울대공원장은 "그간의 멸종위기종보전 노력과 생물다양성 보전의 결과 서울대공원에서 다양한 종의 동물이 태어나 건강하게 지내고 있다. 앞으로도 새끼 동물들이 잘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며, 성장 과정은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보여드리겠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시설 개선과 안정적 돌봄 등을 통해 지속적인 종보전·생물 다양성에 더욱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