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으로 산자부는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해외자원개발 등 정책수요가 늘어난 분야에 대한 조직역량이 강화되고, 3단계의 효율적 의사결정체제와 성과중심형 행정체제로 급속히 전환될 전망이다. □ 6.12(월) '93년 상공-동자부 통합이후 최대규모의 조직개편과 전면적·쇄신적 인사발령을 단행한 정세균 산자부장관은 전 직원이 참석한 월례조회에서 금번 조직개편을 계기로 정책수요가 늘어난 분야에의 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국민들에게 보다 질 좋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조직문화를 변화시켜 나갈 것을 당부하였다. ㅇ 산자부는 금번 조직개편에서 상생협력팀과 에너지자원개발본부가 신설되고, 산업별 조직을 재편하여 신성장산업을 효과적으로 육성하도록 미래생활산업본부를 두었으며, 전자상거래과도 디지털전략팀으로 전환하여 디지털시대에맞는 산업발전전략을 추진하도록 한 바 있다. ㅇ 또한, 일하는 방식을 획기적 개선하여 행정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 위임전결규정을 전면 개정하여 장·차관의 결재비율을 현재 13.7%에서 4.5%로, 본부장․기획관의 결재비율은 40.4%에서 10.5%로 축소하는 대신, 팀장·팀원의 전결권을 현재 46%에서 85%로 확대하여 일상․반복적인 업무는 팀 단위에서 권한과 책임을 갖고 일하고, - 장·차관과 본부장․기획관 등 간부진은 정책환경 변화에 맞는 새로운 정책의 개발과 팀 단위 직원들에 대한 지도 및 컨설팅 역할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 또한, 모든 조직구성원들이 차별화된 어젠다(고유미션)를 책임과 권한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하도록 6월중에 직무성과계약을 체결하고 온라인시스템을 통해 어젠다별 업무추진현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며, 이를 철저하게 평가하여 인사․급여 등의 보상체계와 연계하기로 하였다.□ 정세균 장관은 직원들에게 이러한 조직개편 후의 조직운영방향을 밝히면서, 철저한 업무 인수인계와 조속한 업무파악을 통해 환율하락에 따른 수출애로 해소 및 경쟁력 제고, 고유가에 대응한 에너지절약과 해외자원개발, 질 좋은 성장전략, 한·미 FTA 등 현안과제를 차질 없이 추진하고 , ㅇ 상생협력·지역균형발전·차세대성장동력 중·장기과제에 대해서도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배전의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역설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