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새정부 첫추경 국회 본회의 의결
정부안 1862억원→국회 확정 2934억원
콩 수매·비축예산 1021억…총 10개사업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이재명 정부 첫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이 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가운데 농림축산식품부 분야 예산은 2934억원으로 확정됐다.
이날 농식품부는 당초 정부가 제출했던 2차 추경안 1862억원 외 총 1072억원이 추가로 반영됐다고 밝혔다.
먼저 국산 콩 안정적 수급 관리에 필요한 콩 수매·비축 예산 1021억원을 추가 반영해 정부 비축 여력을 확보한다.
![]() |
농림축산식품부 전경 [사진=뉴스핌DB] 2025.01.08 plum@newspim.com |
2만톤 규모의 콩을 연내 추가 수매해 정부 비축 물량을 확보하고, 향후 가격 안정과 가공 수요 확대 등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후계농·청년농을 육성하기 위한 '후계농육성자금' 이차보전 6억원(융자규모 3000억원)을 추가로 반영해 약 1500명 내외 신규 후계농에게 추가로 자금 지원을 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청년농의 영농 정착 부담을 덜고, 농업 경영을 위한 시설투자·농기계 구입 등을 지원한다.
아울러 농식품 등 수출을 뒷받침하기 위해 2개 사업, 45억원을 반영했다.
중소 수출업체의 경영 안정과 수출 경쟁력 제고를 위해 농식품글로벌육성지원자금(융자) 40억원, 농산업수출활성화 사업 5억원을 추가 투입한다.
특히 중소 농식품 수출업체를 중심으로 수출에 필요한 운영자금 지원을 확대한다. 지원비율은 중소기업은 최대 90%까지, 중견기업 등은 최대 805까지다. 지원금리는 고정 2.5~3.0% 또는 변동이다.
이 밖에도 스마트팜·농기자재 등 농산업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인허가 취득, 마케팅, 보험·보증 등을 기업당 최대 5000만원까지 지원해 농식품과 연관산업 수출 확대를 뒷받침한다.
농식품부는 "이번 추경에 반영된 예산이 콩 수급 안정, 청년농의 안정적 영농 정착, 농식품과 연관산업 수출 활력 제고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신속 집행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