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한해 SK그룹 임직원들이 가장 많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기업하는 말로 글로벌 경영이 꼽혔다.
SK그룹는 "사보 'SK Management'12월 호에서 주요 계열사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5시간 동안 번개형식으로 조사한 ‘2006 최고 화두’설문에서 글로벌 경영이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설문은 한 사람에게 3개의 경영 관련 용어를 적도록 하는 주관식 으로 진행되었는데 총 744명이 참가했는데, 이중 약 70%인 514명이 글로벌 경영, 글로벌리티 제고, 차이나 인사이더 등의 글로벌 관련 용어를 제시했다.
그룹측은 "임직원들이 글로벌 경영관련 용어에 대해 가장 많은 답변을 제시한 것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해외사업을 크게 강화하는 등 글로벌 역량이 강화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최태원 회장등 경영진이 연초 신년사를 통해 글로벌리티 제고를 올해의 경영 화두로 제시한 뒤,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글로벌 경영을 직접 실천했고, 임직원들이 적극적으로 동참한 것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다음으로 많이 나온 답변이 행복경영과 관련한 용어들이다.
전체 응답자 중 452명의 임직원이 SK그룹이 지난 2004년말 경영이념으로 공식 채택한 ‘행복의 극대화’를 반영한 행복이 들어가 있는 ‘행복날개’ 및 ‘행복경영’등의 용어가 나왔다.
특히 ‘행복날개’는 전체 응답자 중 총 393명이 동일한 답변으로 제시해 행복경영과 행복날개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행복날개 이념에 대한 자긍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2004년 그룹의 자원봉사단화를 선언한 이래 소외계층 자활을 돕기 위한 일자리 창출, 집짓기, 자원봉사 등이 기업 문화로 자리잡으면서 사회공헌 활동과 관련한 용어들이 3위를 기록했다.
이외에 SK그룹의 고유한 경영법의 하나로 ‘따로 또같이’가 정착되면서 ‘따로 또같이’가 4위를 이었고, 투명경영, 윤리경영 및 시스템경영등의 경영법과 관련한 용어들이 5위를 기록했다.
그룹 관계자는 “이번 설문 결과는 그룹의 경영전략과 방향에 대한 임직원들의 이해도가 매우 높을 뿐 아니라,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것이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
SK그룹는 "사보 'SK Management'12월 호에서 주요 계열사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5시간 동안 번개형식으로 조사한 ‘2006 최고 화두’설문에서 글로벌 경영이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설문은 한 사람에게 3개의 경영 관련 용어를 적도록 하는 주관식 으로 진행되었는데 총 744명이 참가했는데, 이중 약 70%인 514명이 글로벌 경영, 글로벌리티 제고, 차이나 인사이더 등의 글로벌 관련 용어를 제시했다.
그룹측은 "임직원들이 글로벌 경영관련 용어에 대해 가장 많은 답변을 제시한 것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해외사업을 크게 강화하는 등 글로벌 역량이 강화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최태원 회장등 경영진이 연초 신년사를 통해 글로벌리티 제고를 올해의 경영 화두로 제시한 뒤,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글로벌 경영을 직접 실천했고, 임직원들이 적극적으로 동참한 것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다음으로 많이 나온 답변이 행복경영과 관련한 용어들이다.
전체 응답자 중 452명의 임직원이 SK그룹이 지난 2004년말 경영이념으로 공식 채택한 ‘행복의 극대화’를 반영한 행복이 들어가 있는 ‘행복날개’ 및 ‘행복경영’등의 용어가 나왔다.
특히 ‘행복날개’는 전체 응답자 중 총 393명이 동일한 답변으로 제시해 행복경영과 행복날개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행복날개 이념에 대한 자긍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2004년 그룹의 자원봉사단화를 선언한 이래 소외계층 자활을 돕기 위한 일자리 창출, 집짓기, 자원봉사 등이 기업 문화로 자리잡으면서 사회공헌 활동과 관련한 용어들이 3위를 기록했다.
이외에 SK그룹의 고유한 경영법의 하나로 ‘따로 또같이’가 정착되면서 ‘따로 또같이’가 4위를 이었고, 투명경영, 윤리경영 및 시스템경영등의 경영법과 관련한 용어들이 5위를 기록했다.
그룹 관계자는 “이번 설문 결과는 그룹의 경영전략과 방향에 대한 임직원들의 이해도가 매우 높을 뿐 아니라,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것이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