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이차전지 수출 13% 급감 '고전'
대미 수출 4.7% 줄고 EU 30% 급감
정부 'K-배터리 대책' 실효성 미지수
[세종=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이차전지 수출이 2년째 내리막길을 걸으며 고전하고 있다. '배터리 강국' 대한민국의 위상이 흔들이고 있다.
가격 경쟁력을 내세웠던 중국이 품질 면에서도 대등하게 올라서면서 우리 업체들의 입지가 점점 좁아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정부가 28일 'K-배터리 경쟁력 제고 방안'을 발표했지만, 중국에 대한 반격카드로 활용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 올해 이차전지 수출 13% 급감…2년째 내리막
올해 이차전지 수출액은 전년대비 10% 이상 급감하면서 고전하고 있다.
올해 들어 10월까지 누적 수출액은 58.4억달러에 그쳤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13/1%나 급감한 것이다(그래프 참고).
앞서 지난해 이차전지 수출액도 82억달러에 그치면서 전년(98.3억달러) 대비 16.6%나 급감했다. 현 추세라면 2년 연속 10%대 내리막길을 걸을 전망이다.
![]() |
국가별로 보면, 우선 최대 수출국인 미국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다. 올해 들어 10월까지 누적 대미 수출액은 29억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4.7% 감소했다.
2위 수출국인 유럽연합(EU)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같은 기간 7억7000만달러에 그치면서 29.6%나 급감했다. 그 밖에 중국도 6.3% 줄었고 아세안은 33.6%나 급감했다(아래 그래프 참고).
다만 중동(+10.2%)과 중남미(+17.1%)에서 선전하고 있지만, 수출 규모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차전지 주요 수출국인 미국과 EU 시장에서 수출이 줄어들면서 전반적으로 고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중국산 약진에 수출업체 '고전'…뾰족한 반격카드 없어 고심
이차전지 수출 부진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다.
우선 트럼프 정부의 정책 변화로 미국시장이 크게 위축됐고, EU의 수입규제도 더욱 까다로워지고 있다.
무엇보다 가격경쟁력을 앞세웠던 중국이 품질까지 올라서면서 주요 시장에서 점유율을 점차 높여가는 모습이다.
이에 업계는 위기감이 팽배하다. 정부도 정책적인 지원을 적극 모색하고 나섰다. 28일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8차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에서 'K-배터리 경쟁력 제고 방안'을 제시했다.
![]() |
전고체ˑ리튬금속ˑ리튬황 등 차세대 배터리의 기술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이차전지 소재 및 광물 공급망을 대폭 강화하고, 방산 및 로봇, 선박 등 신수요도 적극 창출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오는 2029년까지 차세대 배터리 R&D를 선도하기 위해 2800억원을 투입하고, 연구개발(R&D) 이후 조기 상용화를 위한 인프라ˑ표준ˑ특허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하지만 이런 수준의 지원책으로 중국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보일 수 있을 지 의문이다. 차세대 배터리 기술도 중국이 이미 앞서가고 있다는 게 업계의 인식이다.
때문에 보다 과감한 세제 지원과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황경인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번 K-반도체 대책에 대해 "차세대 배터리 기술개발 지원 확대라든가 공급망 강화, 신수요 창출 지원 강화 등 좋은 내용이 많이 담겼다"고 평가했다.
다만 "업황 부진, 중국 부상, 해외 정책 불확실성 확대라는 삼중고에 처한 업계의 어려움 고려할 때 좀 더 과감한 지원대책이 필요하다"면서 "특히 국내 생산 기반을 확충하려면 소재 기업의 국내 생산을 촉진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과감한 세제나 재정 지원 등이 포함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dream@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