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수석 협상관 "젤렌스키가 대통령으로 있는 한 영토 절대 못 줘"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영토를 포기하는 평화 합의에는 절대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고 27일(현지시간) 미 시사잡지 '디 애틀랜틱(The Atlantic)'이 단독 보도했다.
디 애틀랜틱은 우크라이나의 수석 협상가 안드리 예르막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이 전쟁 종식을 위한 다음 단계 협상에서 가장 민감한 쟁점인 러시아의 영토 요구에 대해 명확한 '레드라인'을 그을 계획이라면서 이같이 전했다.
러시아의 전면 침공 이후 줄곧 젤렌스키의 비서실장, 수석 협상가, 최측근으로 활동해 온 예르막은 "정신이 온전한 사람이라면 아무도 영토를 넘기는 문서에 서명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젤렌스키가 대통령으로 있는 한 우리가 영토를 포기할 것이라고 누구도 기대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예르막은 디 애틀랜틱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이 영토를 넘기는 서명을 하지 않을 것으로 확신하면서 "헌법이 이를 금지하고 있다. 헌법과 우크라이나 국민을 거스르지 않으려면 누구도 그런 일을 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매체는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영토 요구를 철회할 어떠한 신호도 보여주지 않았으며, 러시아군이 통제하지 못한 지역까지 포함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우크라이나 입장은 평화협상 타협 여지를 크게 줄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최근 며칠 동안 협상이 진전을 보이긴 했지만, 핵심 쟁점인 영토 문제에서 간극이 너무 커 사실상 타협은 어려워 보인다고 분석했다.
![]() |
| 11월 19일(현지시간) 튀르키예 앙카라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의 공동 기자회견에 참석한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
◆ 러의 영토 요구, 우크라 '양도 불가' 레드라인과 정면 충돌"
러시아는 지난 2014년 크림반도를 신속 점령하며 처음으로 우크라이나의 영토 일부를 합병했다. 그리고 전면 침공 첫해인 2022년 9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남부·동부의 네 지역—도네츠크, 루한스크, 자포리자, 헤르손, 즉 우크라이나 전체 영토의 약 15%—가 앞으로 "영원히" 러시아의 일부가 될 것이라고 선언했다.
러시아는 이어 주민투표를 가장한 절차로 이들 지역의 합병을 승인하고 러시아 헌법상 영토로 규정해, 푸틴이 이를 번복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문제는 우크라이나가 여전히 도네츠크, 헤르손, 자포리자 지역의 상당 부분을 통제하고 있다는 점이다.
러시아군은 지난 4년 가까이 이 지역을 무력으로 완전히 점령하기 위해 싸워왔으며, 가장 치열한 전투는 우크라이나 산업 중심지인 도네츠크에서 벌어지고 있다.
우크라이나군은 도네츠크 내 남은 영토를 방어하기 위해 방어선을 구축하고 무기를 배치해 러시아군의 진격을 막아냈는데, 푸틴은 협상 과정에서 이러한 영토를 요구하며 우크라이나가 전투 없이 넘긴다면 공격을 멈추겠다는 입장이다.
미국과 우크라이나 대표단은 지난 일요일 제네바에서 만나 미국의 평화안을 다시 손질했는데, 이 안은 러시아에 지나치게 유리한 조항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매체는 특히 최근 몇 달간 러시아군이 막대한 사상자를 내며 느리게 전진한 도네츠크 영토를 우크라이나가 양도해야 한다는 요구가 포함돼 있었다고 전했다.
또 제네바 협상 종료 시점에, 트럼프 대통령의 사위 재러드 쿠슈너와 특사 스티브 위트코프와 함께 참석한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미국을 대표한 가운데, 협상가들은 우크라이나에 가장 불리했던 러시아 측 요구를 상당 부분 삭제했다고 덧붙였다.
이후 화요일 아부다비에서 협상이 이어졌고, 그 결과 "우리의 이익을 침해하지 않으며 우리의 레드라인을 반영하는" 새 제안이 마련되었다고 예르막은 말했다. 우크라이나 영토와 관련된 모든 사항을 포함해 몇몇 핵심 문제는 미국과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직접 결정하도록 남겨두었다.
젤렌스키 측은 이번 주말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을 요청했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먼저 위트코프를 모스크바로 보내 새 평화안에 대한 러시아의 입장을 듣기로 결정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화요일 기자회견에서 러시아가 핵심 요구사항, 즉 도네츠크 및 동·남부 지역 영토 요구를 굳건히 고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kwonjiu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