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동치는 연준 금리 인하 관측
월가 인하 전망 철회 움직임
"추가 급락해야 연준 나설 것"
이 기사는 11월 24일 오후 2시34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뉴욕 주간 프리뷰] '격렬한 횡보장' ①"AI 투자의 ROI가 답할 때까지">에서 이어짐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요동치는 금리 관측
연준의 12월 정책금리 인하 여부를 둘러싼 불확실성 해소도 주식시장의 시세 반등을 위한 과제다. 역대 최장기간으로 불렸던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 사태'로 인해 경제지표 공백이 발생해 연준의 정책판단이 어렵게 되자 최근 금융시장의 정책금리 경로 관측은 그야말로 요동쳤다.
![]() |
| 존 윌리엄스 미국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 [사진=블룸버그통신] |
현재 금융시장의 인하 기대감은 다시 가파르게 치솟은 상태다. 단기금리 선물시장에 반영된 12월 인하 확률은 지난주 초 30%에서 현재 70%로 상승했다. 지난주 21일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의 '정책금리 인하 여지 존재' 발언이 인하 기대감을 되살린 덕이다.
전문가 사이에서는 12월 인하는 여전히 예단하기 어려운 영역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셧다운 사태로 인해 연준이 다음 달 연방공개시방위원회(FOMC, 12월 9~10일) 회의를 앞두고 확보할 수 있는 고용지표는 9월분이 마지막이다. 10·11월분은 12월16일로 발표가 연기됐고 10월분은 데이터 수집 누락으로 일부만 공개된다.
공개된 9월분마저 고용시장의 정확한 동태를 파악하기가 어려운 채로 공개됐다. 신규 일자리 수는 11만9000개로 이코노미스트 기대치를 넘어섰지만 실업률은 4.4%로 4년 만에 최고치로 올라섰다. 또 과거 지표 통계분은 하향 수정됐다. 고용통계의 각 지표가 서로 엇갈린 신호를 보내며 연준의 다음 행보를 예측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물가지표 상황은 더 심각하다.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는 취소된 한편 11월분은 발표 일정이 10일에서 FOMC가 끝난 뒤인 18일로 연기됐다. 물가·고용 안정이라는 2가지 정책 목표를 추구하는 중앙은행으로서는 통화정책을 결정하기에 까다로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연준의 지표 공백에 대한 우려는 지난 10월 FOMC 회의분 의사록에서도 드러난다. 의사록은 "[여러 위원이] 경제 상황을 정확히 평가하는 능력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며 "또 대부분이 높은 물가 수치와 고용시장의 매우 완만한 둔화 배경 하에서 전개되는 추가 인하는 높은 물가를 고착화할 위험을 더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고 했다.
![]() |
|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의 트레이더 [사진=블룸버그통신] |
월가의 주요 은행 사이에서는 당초 12월 인하 전망을 철회하는 시각이 나오고 있다. 모간스탠리의 이코노미스트들은 "12월 인하를 더 이상 예상하지 않는다"며 전망을 수정했다. 이어 "정책금리 경로는 여전히 고도로 데이터 의존적"이라며 "고용통계가 혼재상을 그린 만큼 연준은 더 많은 지표를 확인하려 할 것"이라고 했다.
◆2019년식 투항?
일부 전문가는 연준의 정책금리 인하는 위험자산 가격이 추가로 홍역을 치른 뒤에야 나올 수 있다고 본다. 시장이 붕괴 수준으로 치달아야 연준이 그제서야 압박감을 느끼고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얘기다. 일각에서는 2019년 당시와 같은 연준의 '항복 인하'를 예상하기도 한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마이클 하트넷 전략가는 연준이 결국 정책금리를 인하하게 되는 투항 국면으로 내몰리고 있다고 봤다. 그는 최근 암호화폐 가격의 폭락세에 대해 '유동성 이벤트'라고 규정하고 연준의 투항을 강제하는 '첫 압박'이 암호화폐에서 나타나고 있다고 했다.
하트넷 전략가는 현재 상황에 대해 2018년 12월과 흡사하다고 했다. 당시 정책금리가 인상되자 위험자산 가격이 급락했고 결국 연준은 2019년 금리를 인하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바꿨다. 그는 당장 첫 압박은 암호화폐에서 나타나고 있다면서도 연준의 투항으로 가는 가장 빠른 경로는 은행·증권주 주도의 급락이라고 했다.
미국 경제의 최신 상황을 가늠할 지표가 부족해진 만큼 전문가들은 이번 주 추수감사절 연휴 소비 동향이 그 가늠자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커먼웰스파이낸셜네트워크의 크리스 파시아노 마켓 전략가는 "블랙먼데이와 사이버먼데이에 대한 조기 지표들이 평소보다 중요할 것"이라며 "경제 상황의 중요 판단 근거가 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번 주 미국 주식시장은 추수감사절 연휴로 인해 27일 당일 하루 휴장하고 이튿날 28일에는 오후 1시 조기 마감한다. 네이션와이드의 마크 해킷 수석 전략가는 "아직 시장의 판이 바뀌었다고 말하기에는 이르지만 새로운 정보 조각들에 주목할 때"라고 했다.
bernard0202@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