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중국이 핵 공격에도 견딜 수 있는 세계 최초의 부유식 인공섬을 건설하고 있다고 홍콩 SCMP(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21일 전했다.
인공 섬이 고정된 바다의 암초를 기반으로 건설된다면, 부유식 인공섬은 반잠수 해상 플랫폼 형태로 건설되어 이동이 가능하다.
중국이 건설 중인 부유식 인공섬은 7만 8000톤 규모의 플랫폼으로, 중국의 최신 항공모함인 푸젠(福建)함과 배수량이 비슷하다. 238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으며, 보급 없이 4개월 동안 운행이 가능하다. 이는 인공섬이 중국 근해를 넘어서 대양에서도 장기간 활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중국은 심해 과학 연구를 위해 연구자들의 장기 체류가 가능한 플랫폼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이는 군사용으로도 전용이 가능하다.
특히 인공섬은 반잠수식으로 핵 충격파로 인한 충격을 분산시키는 설계가 적용됐다. 때문에 핵 공격을 받아도 주요 기능은 지속 작동된다.
이 같은 개념은 양더칭(楊德慶) 상하이자오퉁(交通)대학 교수가 지난달 중국 내 과학 저널인 '중국함선연구'에 논문으로 발표한 바 있다. 양더칭 교수는 부유식 인공섬 설계팀을 이끌고 있는 인물이다.
부유식 인공섬은 10년간의 연구와 계획 끝에 설계가 완성됐다. 이 인공섬은 길이가 138m, 너비가 85m이며, 주갑판은 수면 위로 45m 높이로 올라간다.
해당 인공섬은 2028년 운영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국의 군사 전문가 샹리강(項立剛)은 부유식 인공섬이 군사용으로 사용된다면 그 전략적 중요성은 항공모함보다 파괴적일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부유식 인공섬은 모듈화 제작될 수 있으며, 여러 개를 연결하면 이동식 해상 요새가 될 수 있다. 전략 폭격기와 대형 수송기를 이착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축함과 잠수함의 모항으로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방공망에 더해 전자기포와 레이저 방어 시스템을 갖춘다면 충분한 방어력을 구현할 수 있다. 때문에 남중국해와 대만 등 중요한 지역에서 장기간 주둔하게 되면 그 전략적 가치는 파괴적일 것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항공모함의 경우 유지비용이 높다는 점을 부유식 인공섬이 상쇄할 수 있다는 점도 강점으로 제시됐다.
![]() |
| 중국이 건설중인 부유식 인공 섬 이미지 [사진=SCMP 캡처] |
ys174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