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자국민에 대한 일본 관광과 일본 유학 자제 요청,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 조치를 내린 중국이 대일본 희토류 수출 금지에 나설지 주목된다.
중국 정부가 추가적인 대일본 제재를 시사하고 있으며, 중국 내 저명한 인사들이 대일본 희토류 수출 금지를 촉구하고 있다.
허융첸(何咏前)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20일 "중국은 일본 측에 잘못된 언행을 철회하고 양국의 경제무역 협력을 위한 좋은 환경을 조성할 것을 촉구했다"며 "일본 측이 고집스럽게 잘못된 길을 추구한다면 중국 측은 단호하게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며, 모든 책임은 일본이 지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상무부는 무역을 주관하는 부서이며, 특히 올해 들어 희토류 수출 통제를 발표하고 집행한 부서인 만큼, 상무부의 대변인의 발언 자체가 일본에 대한 희토류 수출통제를 연상시키고 있다.
특히 중국 내에서는 일본에 대한 희토류 수출 통제를 시행하라는 목소리가 높은 상태다.
중국은 지난 2010년 일본에 대해 희토류 수출 통제를 단행한 바 있다. 당시에도 중국의 희토류 카드는 위력을 발휘했다. 14년 전에 비해 현재 중국의 글로벌 희토류 공급망 장악력은 더욱 높아졌다. 실제로 올해 중국의 희토류 카드는 미국을 상대로도 강한 영향력을 발휘했었다.
가오즈카이(高志凱) 쑤저우(蘇州)대학 교수는 지난 17일 자신의 SNS에 "일본에 대한 희토류 수출 금지, 중국인 관광객들의 일본 방문 자제, 일본산 수산물과 농산물 수입 중단, 일본인에 대한 무비자 혜택 취소, 12개월 내 야스쿠니 신사 참배 인사의 입국 금지 조치를 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이 중 몇 가지는 이미 실현됐다.
가오즈카이 교수는 중국 외교부 출신이며 UN에서 근무했던 인사다. 외교부 퇴임 후 해외 언론 혹은 해외 방송사 패널로 자주 출연해 중국의 입장을 피력해왔다. 때문에 그의 희토류 발언에는 중국 내에서 상당한 무게감이 실려 있다.
푸젠(福建)성의 한 평론가는 "일본은 전기차 배터리나 스마트폰 반도체에 필수적인 희토류 수입의 90%를 중국에 의존한다"며 "2010년 대일본 희토류 제재 당시에도 일본의 주요 제조업체는 생산을 거의 중단하다시피 했다"고 대일본 희토류 제재를 촉구했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20일 사설을 통해 "다카이치 총리 발언 문제에 대해 중국은 어떤 타협이나 양보의 여지도 없다"며 "일본이 고집을 부리며 잘못된 발언을 철회하지 않고, 심지어 도발적인 행동을 한다면 중국은 더욱 강력한 대응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 |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다카이치 사나케 일본 총리가 지난달 31일 경주에서 만나 악수를 나누고 있다. [신화사=뉴스핌 특약] |
ys174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