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순방 일정으로 국내 부재
與, 국조 단독 처리 어려울 전망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여야가 대장동 국정조사 방식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며 합의가 장기화할 조짐이다.
여야 원내대표와 원내수석부대표는 18일 점심회동에 이어 국회에서 회동까지 두 차례 만남을 이어갔지만, 더 논의하기로 결론냈다.
![]() |
|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대장동 사건 기소·항소포기' 국정조사 방식과 관련해 협의를 하기 위해 회동을 가지고 있다. 2025.11.18 pangbin@newspim.com |
민주당은 당초 국민의힘과 합의 불발 시 단독으로라도 대장동 국정조사 요구서를 제출하겠다는 뜻을 밝혔지만, 당분간은 일방 처리하지 않겠다고 정리했다.
민주당이 당분간 수세를 멈춘 데는 전날 시작한 이재명 대통령의 순방 일정과 맞물린다. 이 대통령이 7박 10일 일정의 4개국 순방을 위해 전날 출국한 만큼 여당은 단독 처리 일정 등을 최대한 자제하겠다는 모양새다.
여야는 이날 회동을 통해 대장동 국정조사 시 수사 대상에 대해서는 의견을 좁혔지만, 여전히 방식을 두고는 이견을 드러냈다.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이 주장하는 조작수사, 국민의힘이 주장하는 항소포기 외압의혹 내용을 다 포함하는 것까지는 합의가 됐지만 현재 국조를 추진하는 방식에 관해서 국민의힘은 국정조사특별위원회를 구성해서 국회 차원에서 진행하자는 입장이고, 민주당은 법사위에서 진행하자는 입장서 아직까지 서로간의 접점을 찾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여야 합의에 따르면 대장동 국정조사 추진 시 대장동 수사를 '조작 사건'으로 규정하고, 항소 포기에 반발한 일부 검사들의 집단행동을 진상조사가 가능하다. '항소 포기 외압'과 관련한 강압·조작 수사·기소에 대한 책임도 물을 수 있게 된다.
다만 민주당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차원의 국정조사를, 국민의힘은 특별위원회 구성을 통한 별도 조사 방식을 요구하는 만큼 합의가 쉽게 이뤄지지 않을 전망이다.
chaexoung@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