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분기 91곳 점포 닫았던 은행들, 3분기 폐점 8곳으로 뚝
대출규제·보안강화 흐름...은행 영업점 통폐합, 속도조절 국면으로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은행권의 영업점 감소세가 둔화하며 '속도조절 국면'에 접어들었다. 하반기 들어 가계대출 규제와 온라인 뱅킹 보안 강화가 겹치면서 오프라인 점포의 역할이 다시 부각된 영향으로 관측된다.
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개 시중 은행이 올해 3분기(6월~9월) 중 폐점한 점포(영업점·출장소) 수는 총 8개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 우리은행이 4곳을, 신한은행이 3곳을 폐점했으며 NH농협은행도 1곳의 점포를 정리했다.
![]() |
앞서 이들 시중은행은 올 초부터 점포 정리에 속도를 냈다. 1분기에는 영업점·출장소 총 91곳을 폐점했으며 2분기에는 21곳을 정리했다. 1·2분기 연속 두 자릿수 수준의 폐점을 단행하다 3분기 중 폐점 수가 한 자릿수로 줄며 감소세가 한층 완화된 것이다.
강화된 가계대출 규제 등과 맞물려 오프라인 점포의 역할이 다시 커진 점이 은행권의 폐점 속도 둔화의 한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정부가 6·27 부동산 대책에 이어 9·7, 10·25 대책을 연이어 내놓는 과정에서 은행들의 영업점 창구 역할이 부각됐다. 새로운 규제로 혼란을 겪은 고객들이 영업점을 찾는 상담·접수 수요가 몰렸기 때문이다. 반면 비대면 창구는 일시 중단 조치가 반복됐다. 새 규제 내용이 전산 시스템에 완전히 반영하는데 시간이 소요된 탓이다.
여기에 목표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가계대출 총량 한도 관리를 위해서도 비대면 대출의 접수 중단 조치가 활용됐다. 대출모집인을 통한 대출이나 비대면 상품 취급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대출 문턱을 높인 것이다.
해킹 등 보안 이슈 확산도 영업점 역할을 되살린 요인이다.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태가 속출하고 보이스피싱에 대한 경각심이 확산하자 은행들은 비대면 대출 시 영상통화 본인확인 절차를 의무화하는 등 보안 절차를 강화했다. 이에 따라 복잡한 인증 과정을 피하려는 고객들은 오프라인 창구를 방문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이처럼 규제 및 보안강화 흐름에 따라 은행 영업점 창구의 역할이 부각되면서 폐점 속도 조절이 불가피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은행권의 디지털 전환의 방향성 자체는 변하지 않았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6.27대책 직후 다수 고객들이 은행 영업점에 몰렸지만 추가 대책이 나올수록 수요가 줄어드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비대면 대출 등 전산 시스템상 규제 반영 시간은 계속 단축되고 있고 비대면 창구 이용자 비중은 계속 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했다.
romeok@newspim.com













